728x90 반응형 원예특작과학원 자료740 감자(6) - 생장단계별 관리요령 씨뿌림 후 출현 단계 싹이 자라기 시작한 씨감자를 심을 경우 심은 후20~30일경 지상부로 싹이 출현한다. 씨감자의 싹은5℃ 이상에서 자라기 시작하므로 싹이 빨리 땅위로 올라오게 하기 위해서는 온도, 토양수분 등의 환경을 알맞게 조절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봄재배와 단경기에 .. 2015. 9. 26. 감자(5) - 생장 및 발육단계 싹(맹아)의 출현과 생육 감자의 덩이줄기에서 싹이 발생하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먼저 저장 중인 감자에서 싹의 출현은 손실을 의미한다. 즉, 덩이줄기 내 전분과 같은 유용물질이 먹을 수 없는 감자의 싹으로 변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수분이 빠르게 없어져.. 2015. 9. 26. 감자(4) - 생육단계와 환경 감자의 생육에 관여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중에 대표적인 요소로는 온도, 일조량, 강수량 및 토양등이 있다. 온 도 감자의 생육은 싹의 출현부터 살펴보면, 싹은 5℃부터 자랄 수 있고 생육에 적당한 온도가 비교적 낮은(호냉성) 작물이다. 덩이줄기가 굵어지는 데 좋은 온도.. 2015. 9. 26. 감자(3) - 우리나라 감자재배 현황과 감자 산업의 전망 1. 우리나라 감자재배 현황 우리나라의 감자재배 형태는 전통적으로 봄재배, 여름재배와 가을재배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시설을 활용한 내륙의 겨울 시설재배와 제주도의 가을재배 수확기가 연장되면서 연중 신선한 감자가 공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각 가꿈꼴(작형)들도 조기재.. 2015. 9. 25. 감자(2) - 감자의 식물학적 분류 및 분포와 생태적 특성 1. 감자의 식물학적 분류 및 분포 감자는 식물학적 분류학상 Solanaceae과, Solanum속, Petota 아속에 속하며, 아속의 하위그룹으로 18계열(Series)이 있고, 그 아래에 약 230여 종(Species)이 자연생태계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olanum속에는 약 2,000종 이상이 있으며, 그 중 덩이줄기를 .. 2015. 9. 25. 감자(1) - 기원과 전래, 생산현황 1. 감자의 기원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중부 고원지대에서 많은 종류의 야생종 감자가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이 지역이 감자의 원산지로 알려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1만 3천 년 전부터 칠레 해안을 따라 자라는 야생감자가 안데스산맥으로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믿는 과학자들도 있다. .. 2015. 9. 25. 고구마(19) - 산지 유통 실태 및 유통 마진 산지 유통 실태 가. 생산자 (1) 지역별 재배형태 및 작형 고구마의 재배형태는 대부분 전문 임대농으로, 해남과 여주에서는 1인당 재배면적이 3만~6만 평인 대규모 재배농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토지 임대기간은 1년 단위로 하며, 해남은 평당 임대료가 800~1,000원이고, 여주와 논산.. 2015. 9. 25. 고구마(18) - 유통경로와 소비지 유통실태 맟 개선 방안 고구마 유통경로 주 유통경로는 생산자 → 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의 3단계임. (그림 1)고구마의 유통경로 소비지 유통실태 가. 도매상 (1) 가락동 도매시장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에 반입되는 물량은 서울 전체 반입량의 50~60% 정도를 점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나머지 물량은 수도권(구.. 2015. 9. 25. 고구마(17) - 수확후관리 : 품질 기준과 판정 가. 고구마 품질평가 고구마의 품질은 크게 외관, 조직감, 풍미, 영양적 가치 및 안전성 등의 종합적 가치이다. 최근 다이어트나 건강식품으로서의 영양적 가치나 보건성, 농약 잔류량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표1>. <표1> 품질구성 요소 (1) 품질평가의 중요성 지역별로 또.. 2015. 9. 25. 이전 1 ··· 3 4 5 6 7 8 9 ··· 83 다음 728x90 반응형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