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크랩/문화예술

조니 레이의 ‘크라이’ - 엘비스를 예고한 ‘백만불짜리 눈물’

by 내오랜꿈 2008. 1. 31.
728x90
반응형

엘비스를 예고한 ‘백만불짜리 눈물’
[세상을 바꾼 노래] ⑮ 조니 레이의 ‘크라이’(1951년)

박은석/대중음악평론가 
출처 : <프레시안> 2008년 01월 31일 



CRY - Johnnie Ray & The Four Lads 1951


» 조니 레이의 ‘크라이’(1951년)

조니 레이의 <크라이>(1951년) 

영국출신 뉴웨이브 밴드 ‘덱시스 미드나이트 러너스’의 1983년 히트곡 <컴 온 아일린>은 몇 가지 면에서 기억할 만한 얘깃거리를 남긴 노래다.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마이클 잭슨의 메가 히트곡 <빌리 진>과 <비트 잇> 사이 틈바구니를 비집고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에 올라섰다는 점이 그랬고, 피들과 밴조를 전면에 내세워 신서사이저 사운드가 대세이던 동시대의 경향을 거스른 독특함이 그랬다. 더불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조니 레이에 대한 당대의 관심을 부활시켰다는 점이다. “가여운 조니 레이”로 시작하는 노랫말과 조니 레이의 전성기 기록필름을 사용한 뮤직비디오 도입부는 박물관의 (전시실도 아닌) 수장고에서 잠자던 유물을 사람들 북적대는 쇼핑몰의 진열장으로 옮겨놓은 것과 비슷했다. 

조니 레이(1927~1990)는 오랫동안 잊혀진 이름이었다. 불꽃같은 전성기를 보내고 이내 후발주자에 밀려나는 일이야 연예계의 속성상 비일비재한 일이지만, 레이의 경우에는 불가항력적인 측면이 있었다. 귀가 멀었기 때문이다. 사고로 왼쪽 귀의 청력을 잃어 14살 때부터 보청기를 끼고 다녀야 했던 그는 성공가도에 있던 1958년 수술을 결행했지만 오히려 나머지 한쪽 귀마저 잃는 최악의 상황과 맞닥뜨렸다. 뮤지션에게 귀란 반 고흐가 잘라낸 그것과는 다른 의미다. 이후 레이는 한동안, 청각을 상실한 이후의 베토벤이 그랬던 것처럼, 전업 작곡가로서의 인생을 살았지만 대중으로부터 잊혀지는 일을 막을 수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조니 레이의 위상이 대중음악사에서 지울 수 없는 의미를 갖는 것은 그가, 비평가 마크 페이트리스의 말마따나 “프랭크 시나트라와 엘비스 프레슬리 사이의 미싱링크”라는 점 때문이다. 스탠더드 팝의 감미로운 크루닝과 리듬 앤 블루스의 강렬한 샤우팅이 주류에서의 위상을 맞바꿈 하던 과도기에 양자의 미덕을 고루 갖춘 조니 레이의 등장은 시대의 변화를 상징했다. 히스테리에 가까운 열광으로 그를 맞은 젊은 팬들의 반응은 시나트라 열풍의 재연인 동시에 엘비스 혁명의 전조였다. 그래서 페이트리스는 조니 레이가 “2차 대전 이후 등장한 새로운 세대의 청소년들로부터 진정한 환호성을 이끌어낸 최초의 인물”이라고 평했다. 

마이크스탠드를 잡고 흔들거나 무대바닥에 드러눕기를 마다하지 않았던 조니 레이의 신들린 듯한 쇼맨십 또한 미문의 것이었다. 스스로가 ‘새로운 세대’의 일원이었던 밥 딜런이 “난생처음 목소리와 스타일 모두에 탐닉하게 된 뮤지션”으로 레이를 꼽은 이유다. 또한 “흐느낌의 대가”라거나 “백만 불짜리 눈물” 같은 애칭에서도 알 수 있듯, 절정에 이르러 종교적 초월에 북받친 자를 연상시켰던 울음 섞인 목소리 연기는 조니 레이만의 전매특허였다. 제의적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보다 열광적 분위기를 끌어내는 요즘 대중음악의 공연기법이 그에게 빚진 바다. 

<크라이>는 조니 레이의 최초이자 최대 히트곡이다. <빌보드>가 “1951년의 최고 인기곡”으로 공인했던 이 노래는 레이의 독특한 개성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표본이다. 당대 흑인음악의 트렌드를 차용한 ‘두웝’ 스타일 사운드와 울음이 배어나는 특유의 열정적 창법에서 우리는 엘비스 프레슬리 등장의 징후를 찾을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