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고 보고 듣는 것들/Note

11. 1923년 11월 20일 - 언어학의 공준 4장-(2)

by 내오랜꿈 2009. 12. 1.
728x90
반응형



1923년 11월 20일 - 언어학의 공준 4장-(2)

1. 언어활동은(langage)은 정보적이고 소통적이다?



2. ‘외생적인’ 어떤 요소에 호소하지 않는, 언어라는 추상적 기계가 존재한다?


이 공준을 반박하기 전에 우선 3장에서 언급된 ‘배치의 4가성’을 예비적으로 고찰한다. 이때의 4가는 내용과 표현의 두 개의 선분, 그리고 각각마다 포함하는 탈영토화의 첨점 및 재영토화가 이루어지는 지대를 지칭한다. 모든 배치는 이 네 가지를 포함한다. 내용의 선분은 기계적 배치를 이루고, 표현의 선분은 연표행위의 집합적 배치를 이룬다. eg.) ‘비행기-기계', '감옥-기계'


1)내용과 표현


“두 가지 형식화는 동일한 본질을 갖지 않으며 각각은 이질적이고 독립적이다.”(I, 92)


eg.) 칼은 머리를 자르지만 얼굴을 자르지는 못한다. 반면 얼굴은 머리가 잘리지 않고도 잘릴 때와 같은 고통스런 표정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언표라는 표현자는 신체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표현이 표상은 아니며, 신체 역시 지시체는 아니다.


“비신체적 속성을 표현할 때, 동시에 그것을 신체에 귀속시킬 때, 우리는 표상하거나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개입을 하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화행이다. 표현이나 표현자가 내용에 끼어들며 내용에 개입하는 것은 내용을 표상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것을 예견하거나 철회하며, 지연시키거나 촉진시키기 위해서,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위해서, 혹은 다른 방식으로 재단하기 위해서란 사실이, 표현의 형식이 내용의 형식이라는 두 형식의 독립성을 반박하진 않으며, 반대로 확인해준다.”(I, 92) “요컨대 두 형식 간의 기능적 독립성은 그들 간의 상호전제의 형식일뿐이며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끊임없는 이행일 뿐이다.”(I, 93)


스피노자의 평행론 : “이러한 독립성이 평행론은 아니며, 하나가 다른 하나를 표상하는 식의 관계도 아니다. 그것은 각자가 다른 것에 삽입되고 하나의 레지스터에서 다른 것으로 비약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I, 93) 신체와 비신체의 평행성과 작용방식의 질적 차이. 표상으로 이해하는 것은 질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고, 분리에 그치는 것은 평행성을 지우는 것이다(다른 종류의 언표의 계열이 발생했다는 것은 그와 ‘나란히’ 어떤 신체적 내용의 변용이 발생했음을 뜻하며, 반대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비신체적 변환은 순간성의 형태로, 신체적 변환은 연속성의 상태로 평행선을 그린다). 여기서 상이한 두 개의 질적 계열이 서로 교차하고 비약하며 개입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cf.) 알튀세르의 평행론 : 실재 대상과 이론적 대상의 분리, 개념은 개념을 가공할 뿐이다. (G1, G2, G3)


2)배치의 4가성


“우리는 '배치(Agencement)'의 성질에 대해서 일반적 결론을 끄집어 낼 수 있다. 우선 수평적인 첫째 축에서 본다면, 배치는 내용과 표현이라는 두 개의 선분을 포함한다. 한편에서 그것은 신체의, 능동과 수동의, 기계적 배치며, 서로 간에 반응하는 신체의 혼합이다. 다른 한편 그것은 행위와 언표의, 언표행위의 집합적 배치고, 신체에 귀속되는 비신체적 변환이다. 그런데 수직적인 방향의 축에서 본다면, 한편에서 그것은 영토적 측면의 배치 내지 그것을 안정화시키는 재영토화된 배치며, 다른 한편에선 그것을 제거하는 탈영토화의 첨점이다.”(I, 94)


eg.1) 비행기-기계는 하나의 고유한 배치를 갖는다. 제트엔진과 날개, 벽과 문 등등. 그것은 하나의 기계적 배치다. 또한 그것은 비행과 관련된 고유한 언표행위의 배치를 갖는다. 관제탑의 언표, 조종사의 언표, 승무원의 언표. 그것은 개인이 발화하는 경우에도 특정한 집합적 배치 안에서 이루어진다. 반면 비행기 납치는 이 언표행위의 배치에서 벗어나는 언표행위들로 인해 시작된다. “모두 꼼짝마! 머리에 손을 얹고···" 이 언표는 비행기-기계의 신체를 탈영토화한다(탈영토화의 첨점). 총 내지 폭발물과 계열화되면서 문은 잠겨지고, 비행기-기계는 감옥-기계로 재영토화된다(영토성 혹은 재영토화된 배치). 신체적 변용을 야기하는 비신체적 변환은 이처럼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고, 시계가 표시하는 이 문턱을 넘으면서 신체는 다른 신체로 변용된다. 개입 내지 삽입. 이 감옥-기계의 기계적 배치를 탈영토화하는 첨점은 기계적인 배치 상에서, 혹은 언표행위의 배치 상에서 다시 출현할 수 있다(288~289쪽).

eg.2) 봉건제의 배치에서 4가성(289~290쪽)


3) 언어학의 외부


① 평행론의 상응성에 대한 오해 : 내용과 표현의 평행론을 상응 내지 반영의 관계로 보는 것이다. 맑스주의에서 토대와 상부구조의 관계가 전형적. 들뢰즈/가타리는 내용과 표현의 관계가 반영으로 보일 때라도 양자 사이의 인과관계가 작용하지 않음을 들어 이를 비판한다. 또한 내용의 실체와 형식, 표현의 실체와 형식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을 수도 있음을 보이며 비판을 보충한다.


“표현이 내용을 ‘반영하는’ 힘에 따를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그것에 반작용하는 경우에조차도, 내용은 표현을 인과적인 작용(action)에 의해 결정하지 않는다.”(I, 95) “내용을 경제적이라고 말한다면, 내용의 형식은 경제적이라고 할 수 없으며, 상품의 생산과 그 자체로 고려된 생산수단을 알기 위한 단순한 추상으로 환원된다. 마찬가지로 표현이 이데올로기적이라고 말한다면, 표현의 형식은 이데올로기적이지 않으며, 추상으로서, 공동선의 배열(disposition)로서 언어로 환원된다.” (I, 95)


상품의 순수한 생산수단으로서 도구와 기계; 정보와 소통의 순수한 생산수단으로서 언어-->이는 내용에 대해 내용의 형식이, 표현에 대해 표현의 형식이 독립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내용이 형식 없이 존재할 수 없다면, 내용의 형식은 내용뿐만 아니라 표현 내지 표현의 형식에서 독립적이며, 표현이 형식 없이 존재할 수 없다면, 표현은 내용뿐만 아니라 내용의 형식에서 독립적이다.


eg.1) 동일한 상품 또한 어떠한 계열을 이루는가에 따라 다른 배치 속에서 기능한다(W-G-W'; G-W-G'). 상품이 아니라 생산물을 상품화하는 특정한 배치가 있을 뿐이다. 문제는 배치를 바꾸는 것이다(소생산과 상품시장 형성의 실패)


eg.2) 역사는 기술과 도구의 발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것을 둘러싼 배치의 변화에 의해 진행되었다. 말과 칼, 기사로 이루어지는 배치는 해자와 성벽으로 이루어진 배치와 관련된다. 화약의 발명이나 총 내지 대포의 발명이 이를 바꾸지는 못했다. 그러나 화약과 대포에 바퀴가 계열화되면서 성벽이 무의미해지게 만드는 새로운 배치가 탄생한다. 이는 전쟁의 양상을 크게 바꾸어놓는다. 도시는 성벽을 통해 정의되었고, 그것을 통해 유지되었다. 그러나 바로크 이후 도시는 성벽을 갖지 않는다. 여기서도 문제는 용법이고, 용법을 변환시키는 배치가 문제다.


② 평행론의 독립성에 대한 오해 : 양자의 평행론을 양자가 독립적임을 뜻하는 것으로 파악하며, 표현형식을 그 자체로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것. 이 관념이 바로 언어학의 두 번째 공준을 함축한다.


소쉬르, 촘스키는 언어가 장기처럼 외생적인 어떤 것에도 호소하지 않는 추상기계라고 생각했다. 모든 언어가 계열체/통합체 또는 명사구/동사구의 공시적 독립적 구조라는 점에서 공통이라고 보는 추상화 작업을 했다. 또, 언어학적 체계로서 표현형식의 충분성을 믿는다. 기표의 계열축과 통합축 체계 내에서의 기표간의 놀이, '기표의 물질성'을 말한다. 이렇듯 언어의 보편적이고 구조적인 성격을 강조하는 구조언어학에서는 언어나 기호의 이러한 공시적 체계를 모든 언어 내지 언어활동에 공통된 ‘추상적 구조’로 간주한다.


“진정한 추상기계는 배치 전체와 연관된 것이기 때문이고, 그 배치의 다이어그램(diagrame)으로서 정의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언어적인 것이 아니라 다이어그램적인 것이고 초선형적인 것이다. 내용은 기의가 아니며 표현은 기표가 아니다. 양자 모두는 배치의 변수들이다.”(I, 96)


그러나 들뢰즈/가타리는 다양한 언어 외적인 화용론적 맥락을 함께 고려해 언어학을 취급할 때, 언어학은 더 이상 언어적인 것이 아니라 ‘다이어그램’적인 것(내용과 표현, 탈영토화의 첨점과 재영토화의 지대로 이루어진 배치!)이 되며, 선형적인 것이 아니라 ‘초선형적인 것’(선형적인 기표 그 자체 외에도 음조와 음색, 음고, 표정 등의 성분이 모두 다 함께 발음되는 초선형성!)이 된다고 지적한다.


이상에서 보듯이 들뢰즈/가타리가 이 공준의 예를 들어 언어학자들의 통상적인 관념을 비판하는 가장 주요한 측면은 언어학자들이 추상적인 언어구조를 가정한다는 사실을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공준이 ‘충분히 추상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공준은 알다시피 언어의 보편성과 공통성을 찾으려 하며 언어 내지 언어활동을 ‘추상적 구조’로 간주한다. 저자들은 소쉬르와 촘스키의 언어학을 이런 시도의 전형이라고 평가하며 이들의 충분하지 못한 추상을 비판한다(3장에서 두가지 추상의 본성적 차이). 언어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중 그것들은 언어학적 요인을 상수로 떼내어 그 자체만으로 다루게 한다는 것이며, 그렇게 할 경우 언어의 내부에서 항상 언어를 따라 다니는 언어 외적인 화용론적 맥락(잉여성)을 놓칠 수 있다는 것이 들뢰즈/가타리의 비판이다. 즉, 언어들에 공통된 어떤 형식을 추상하는 데서 멈출 것이 아니라, 차라리 탈형식화하는 방식으로 추상함으로써 언어적인 활동의 입자적이고 양자적인 수단으로까지 나아가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3. 언어를 동질적인 체계로 정의할 수 있게 해줄 보편성과 항상성이 존재한다?

4. 다수적인, 혹은 표준적인 언어 아래서만 언어는 과학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