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
식물명 : 구기자나무 |
한약명 : 구기자(枸杞子) |
학명 및 식물기원 : Lycium chinense Miller 또는 기타 동속식물 |
이용부위 : 열매, 뿌리껍질 |
품종명 | 개화기 | 경장 | 착과수 | 과장 | 100과중 | 탄저병 | 혹응애 | 베타인 | 건과수량 | |
명 안 | 7. 4 | 127 | 1,265 | 13.6 | 12.6 | 중 | 강 | 7.05 | 286 | |
청양재래 | 6.28 | 112 | 902 | 14.9 | 11.6 | 약 | 약 | 7.49 | 227 |
품 종 명 | 개화기 | 경장 | 착과수 | 과장 | 100과중 | 탄저병 | 혹응애 | 베타인 | 건과수량 |
불 로 | 6.21 | 116 | 1,094 | 18.5 | 19.5 | 중 | 약 | 7.90 | 236 |
청양재래 | 6.23 | 109 | 702 | 15.8 | 14.8 | 약 | 약 | 7.49 | 139 |
품 종 명 | 개화기 | 경장 | 착과수 | 과장 | 100과중 | 탄저병 | 혹응애 | 베타인 | 건과수량 |
청 대 | 7.5 | 118 | 989 | 16.2 | 22.3 | 중 | 강 | 7.00 | 215 |
청양재래 | 6.23 | 109 | 702 | 15.8 | 14.8 | 약 | 약 | 7.49 | 139 |
이동한다. 수동적 이동에는 바람의 영향이 가장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에 풍향이 이동과 전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리다 유제 1,000배액을 수확 21일전까지 5살포한다. 월동후, 즉 새잎이 처음 나올 때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방제시기가 늦어질수록 방제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추운 지방에서는 알로 월동하나 따뜻한 지방에서는 무시형 암컷으로 월동, 4~5월에는 밀도가 증가하고, 여름철 고온기에 감소하였다, 9월 상순에 다시 증식하여 많이 발생한다.
약 제 명 |
대상병해충 | 희석배수 | 안전사용기준 | |
처리시기 | 사용회수 | |||
사프롤유제 | 흰가루병 | 1,000 | 수확 3일전까지 | 5 |
티디폰수화제 | 흰가루병 | 1,000 | 수확 3일전까지 | 6 |
프로피수화제 | 탄저병 | 500 | 수확 7일전까지 | 4 |
피리다유제 | 탄저병 | 500 | 수확 21일전까지 | 5 |
한약용으로는 열매와 뿌리껍질을 이용하며, 민간에서는 잎도 이용한다. 열매는 과병에서 분리되어 과실만 남게 되는데 과실내에는 종자가 20~30개정도 들어있다.
삽식한 당년 여름 7월 중순~11월 상순까지 열매가 익는 대로 수시로 수확한다. 손으로 수확한다. 최근에는 기계수확도 한다.
건조된 구기자를 상온에 방치하면 수분을 흡수하여 끈적끈적하게 되므로 비닐봉지에 담아 밀봉하여 마대에 담아 보관한다.
1) 구기자
○ 이물질 : 구기자외 이물이 1.5%이상 섞여 있지 않아야 한다.
○ 회 분 : 2.0%이하
품 종 | 개화기 | 수형 | 착과수 | 과장 | 100과중 | 탄저병 | 혹응애 | 흰가루병 | 건과수량 | 베타인 |
청양재래 | 6. 23 | 반직립 | 702 | 15.8 | 14.8 | 약 | 약 | 약 | 139 | 7.49 |
명 안 | 7. 4 | 〃 | 1,265 | 13.6 | 12.6 | 중 | 강 | 약 | 286 | 7.05 |
불 로 | 6. 21 | 직 립 | 1,094 | 18.5 | 19.5 | 중 | 약 | 약 | 236 | 7.90 |
청 대 | 7. 5 | 반직립 | 989 | 16.2 | 22.3 | 중 | 강 | 약 | 215 | 7.00 |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약용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수오 (0) | 2014.09.25 |
---|---|
오가피나무 (0) | 2014.09.25 |
감 초 (0) | 2014.09.25 |
더덕 - 수확 및 출하 (0) | 2014.09.04 |
더덕 - 병해충 방제(2) (0) | 201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