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산채류

참나물(3) - 병해충 및 방제

by 내오랜꿈 2014. 9. 4.
728x90
반응형


. 병해충 방제

 

노균병(Plasmopara nivea), 잘록병(Rhizoctonia solani), 녹병(Pucciniatokyensis),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진딧물 및 응애류가 발생한다.

 

(1) 노균병(Downy mildew)

 

. 병원균 및 병징(피해증상)

 

Plasmopara nivea라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된다.

잎에 담황색의 작은 반점을 만들고, 확대되어 엽맥을 따라 엷은 갈색의 각이 진 병반을 형성한다. 잎 뒷면은 회백색~회갈색의 서리와 비슷한 모양의 곰팡이가 밀생한다.

이러한 병반이 다수 형성되고 융합해서 대형 병반이 형성되어 마른다. 다습 시에는 잎은 뜨거운 물에 데친 것 같이 되며 부패한다. 건조 시에는 병반은 황갈색~회백색으로 변해서 말라 죽는다.

 

. 발생 생태

 

병든 조직 내에 난포자를 형성하여 토양 중에서 월동한다. 병반 위에 형성된 분생포자는 바람에 의해 비산 전염한다.

파드득나물의 양액재배의 경우 양액 중에 분생포자가 혼입되어 이동하여 만연한다. 노지재배의 경우 봄과 가을에 비가 많이 오면 다발하, 양액재배의 경우 실내온도가 높고 다습조건하에서 발생하기 쉽다.

 

. 관리 방법

 

토경 재배에서는 밀식과 깊이 심기를 피하고 통풍과 배수가 잘되도록 한다. 양액재배는 전작에서 발병하면 시설과 기구를 청결히 하고 생육중기 이후에 발병할 때에는 가능하면 빨리 수확한다.

무농약 또는 유기재배의 경우 친환경 유기농자재로 목록 공시된 제품(식물추출물, 미생물제제 등) 중에서 선택하여 활용한다.

현 까지 참나물 노균병에 등록된 화학농약은 없다.



(2) 균핵병

 

. 병원균 및 병징(피해증상)

 

Sclerotinia sclerotiorum라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된다.

잎자루 및 잎에 발생한다. 잎자루에는 땅가 부위가 암녹색 수침상이 되고, 연화 부패해서 넘어진다. 잎에는 짙은 녹색연한 갈색, 부정형의 대형 반점을 형성한다.

원줄기 부분에는 백색의 가느다란 실 모양의 곰팡이를 만들고, 이 실모양의 균사가 덩어리로 뭉쳐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흑색의 쥐똥 모양의 균핵이 만들어진다.

 

. 발생 생태


균핵의 형태로 토양 중에서 월동한다. 균핵은 기온 20전후에서 발아하고, 자낭반을 만들고, 거기에서 다량의 자낭포자를 분출하여 주변의 건전주에 만연한다.

특히 파드득나물(삼엽채)은 밀식해서 재배하기 때문에 1차 전염은 자낭포자로, 2차 전염은 균사에 의하여도 전파된다.

 

. 관리 방법


연작을 피하고 발병이 심한 포장은 돌려짓기를 해야 한다.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석회나 퇴비를 많이 시용하여 토양을 개량한다.

균핵은 땅속 깊숙이 묻어두면 사멸이 촉진되므로 발병이 심한 곳의 표토는 지하 30cm까지 묻히도록 경운한다.

무농약 또는 유기재배의 경우, 친환경 유기농자재로 목록 공시된 제품(식물추출물, 미생물제제 등) 중에서 선택하여 활용한다.

관행재배의 경우, 참나물 균핵병에 등록된 화학농약(늘존 액상수화제, 깨끄탄 수화제)을 사용한다.

 

(3) 잘록병

 

. 병원균 및 병징(피해증상)


Rhizoctonia solani라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된다. 육묘기 및 양액재배의 여름작형에서 발병이 심하다. 지제부는 갈변되고 잎은 수침상으로 되면서 급격히 고사한다.

발생이 현저한 경우는 병환부를 갈색의 균사가 거미집 모양으로 감싸는 것이 특징이다.

 

. 발생 생태


토경 재배의 경우 봄철 육묘기에 과습하고, 전작에 발생한 포장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양액재배의 경우 전염경로는 분명하지 않지만 종자에 균사나 균핵이 혼재하고 이것이 전염원이 된다고 추정된다. 일단 발병하면 인접주에 급격히 전파된다.



. 관리 방법


연작을 피하고 발병이 심한 포장은 돌려짓기를 해야 한다.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석회나 퇴비를 많이 시용하여 토양을 개량한다. 발병이 심한 곳은 토양 훈증 소독을 한다.

무농약 또는 유기재배의 경우 친환경 유기농자재 제품(미생물제제, 식물추출물 등) 중에서 선택하여 활용한다.

현 까지 참나물 잘록병에 등록된 화학농약은 없다.

 

(4) 진딧물류(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진딧물은 참나물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증식 또한 매우 빠른 해충이다.

나물에 발생하는 진딧물은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 등이 있다.

 

. 형태 및 발생생태


)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 Glover)


날개가 있는 유시충과 날개가 없는 무시충이 있으며 몸길이는 1.5mm정도이고 몸색은 계절에 따라 녹황색, 흑록색 또는 검은색이다.

무궁화 나무 등에서 월동한 뒤 5월 하순부터 유시충이 이동한다.

발육기간은 8일이고 암컷은 70마리의 새끼를 낳아 증식률이 높고 연간 622세대 발생한다.

 

)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Sulzer)


유시충은 몸길이가 2.02.8mm이고 몸색은 황갈색 또는 녹색이며, 무시충은 몸길이가 1.82.5mm이고 몸색은 다양하나 적색이 많다.

각종 나무에서 월동한 뒤 5월 상순에 유시충이 되어 이동한다.

1년에 923세대 발생하며 수명은 29일 정도이다.

 

. 피해증상


일차적으로 흡즙에 의해 잎의 색깔이 변하거나 기형이 된다.

식물바이러스를 전염시키거나 감로에 의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탄소동화작용을 억제한다.

 

. 관리 방법


이식 직후 또는 잎에 진딧물이 보이는 발생 초기에 콜레마니진디벌, 진디혹파리와 같은 천적을 방사한다.

무당벌레, 풀잠자리 애벌레와 같은 천적을 채집하여 방사한다.

무농약 또는 유기재배의 경우 친환경유기농자재 제품(미생물제제, 식물추출물 등) 중에서 선택하여 활용한다.

관행재배의 경우 참나물 진딧물에 등록된 화학농약(적시타 유제, 체스수화제, 코니도, 아리이미다, 코사인수화제, 화스탁, 파워셀, 알파스린, 명쾌탄, 유제)을 살포한다.

 

(5) 응애류(점박이응애, 차응애)

 

. 형태 및 발생생태

 

점박이응애와 차응애는 모두 암컷이 0.5mm, 수컷이 0.4,mm 내외로 크기와 피해양상이 비슷하다. 여름철 암컷의 형태를 보면 점박이응애는 담황황록색 바탕에 좌우 1쌍의 검은 무늬가 뚜렷하고 다리가 거의 흰색에 가깝다. 차응애는 붉은빛을 띤 암갈색으로 앞다리 선단부에 연한 황적색이 감돈다. 휴면 암컷은 점박이응애가 황적색인데 비해 차응애는 붉은색이다.

9전후에 발육을 시작하며 발육적온은 2028, 최적습도는 5080%이다.

25에서 알이 성충이 되기까지 성숙기간은 10일이 소요된다.

 

. 피해증상

 

잎 뒷면에서 세포의 내용물을 빨아먹으므로 잎 표면에 작고 흰 반점이 무더기로 나타나고, 심하면 말라 죽기도 한다.

 


. 관리 방법

 

무 농약 또는 유기재배의 경우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 공시된 제품(식물추출물, 천적 등) 중에서 선택하여 활용한다.

관행재배의 경우 참나물 응애류에 등록된 화학농약은 아직 없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