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탄저병
(1) 증상
잎, 잎자루, 과실, 줄기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초기에 황갈색∼암갈색의 원형반점이 생기고 진전되면 부정형 원형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은 오래되면 잘 찢어지고, 구멍이 생긴다. 과실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약간 움푹 함몰된 병반으로 나타나며,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는 적황색의 포자 덩어리를 볼 수 있다.
(2) 전염생태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 후 분생 포자를 형성하여 공기 전염한다. 시설재배에서는 발생이 드물고, 노지재배에서 5∼6월 비가 올 때 빗방울로 분생포자가 전반되어 발생한다. 비가 계속 내리면 급격히 진전되어 심하게 발생한다.
(3) 방제
건전 종자를 사용하고 이병 잔사물은 완전히 제거한다. 시비관리에서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배수가 잘 되도록 포장관리를 한다. 지오판수화제 및 베노밀 수화제를 기준에 의거하여 살포한다.
2. 덩굴쪼김병(蔓割病)
영명 : Fusarium wilt
학명 : Fusarium oxysporum Schlecht. ex fries f. sp. melonis Synder and Hansen.
(1) 증상 및 발병조건
줄기 아랫부분 토양과 접촉되는 부위의 줄기가 갈라져 초콜릿색 진액이 나오며, 분홍색 곰팡이가 생기고, 잎이 약간씩 시들다가 결국 말라죽는다. 접목재배의 주목적이 덩굴쪼김병 방지에 있지만 접목재배 시 절단된 참외뿌리가 토양에 닿으면 다시 뿌리가 생겨 덩굴쪼김병에 감염될 수 있고, 접목 후 참외뿌리를 자르지 않고 심으면 접목의 효과가 없다. 덩굴쪼김병 증상은 역병과 비슷한데, 포자가 반달모양이고 여러 개의 격막이 있어(현미경, 400배) 쉽게 발견할 수 있다.
(2) 방제법
병 발생이 많은 포장은 토양소독이나 벼 재배를 해야 한다. 참외는 덩굴쪼김병에 감수성이므로 반드시 접목을 한다. 병 발생 후에는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감염주는 제거하여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한다.
<참고> 박과류 덩굴쪼김병 병징 및 방제대책(2015 영농활용자료)
○ 박과채소 덩굴쪼김병 병징
- 유묘 : 대목에 발생시 수침상으로 물러썩는 증상을 나타내고, 갈색 줄기마름증상을 보이며, 후기병징으로는 줄기가 말라죽음.
- 성묘 : 줄기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마르고, 쪼개지면서 말라죽음.
초기병징 | 중기병징 | 후기병징 |
∙수침상으로 물러썩음 | ∙갈색, 수침상으로 마름 | ∙줄기가 쪼개지면서 마름 |
○ 대목의 저항성 정도
참박대목에서는 Fusarium oxysporum에 저항성 대목이 없었으며, 호박대목 중 일부 품종은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판별되었음
○ 덩굴쪼김병 방제대책
【저항성 대목 이용】
- 박과작물 접목재배시 저항성 대목 및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
< 표 > 박과대목에 대한 덩굴쪼김병 저항성 정도
병원균 | 대목종류 | 저항성 | 중도저항성 | 감수성 |
F.oxysporum | 호박대목 | 뚝심토좌 장수대목호박 흑종호박(A) 흑종호박(B) 부산대목3호 조생토좌 신토좌 호박(A) 신토좌(B) | 활력 토좌골드 내병토좌 RS111대목 슈퍼꽃토좌 | 오복토좌 황토좌골드 |
참박대목 |
|
| FR커플참박 FR명가대목 신화장조 참박 슈퍼 FR파워참박 RS동장군 대목 강박 동장군플러스 불로장생 |
* 2014년 저항성 판별, **저항성 정도(0~5) : 포자농도 2.5×106/㎖, 침지접종 후 14일 조사, 파종 14일된 묘에 접종
【재배적방제】
- 저항성 대목 접목시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고려하여 대목을 선택함
- 병징을 보이는 식물체는 발견 즉시 제거함
- 작업하는 과정에서 손이나 도구를 통해 전염되므로 주의가 요함.
【화학적방제】
- 박과작물 덩굴쪼김병에 사용하도록 등록된 살균제는 없으며, 육묘시 철저한 예방과 방제로 병 확산 방지가 필요함
3. 균핵병
(1) 증상
줄기와 과실 등에 발생한다. 줄기에서는 처음에 지제부가 약간 무른 증세를 보이며 변색되어 썩고 진전되면 흰 균사가 자라고 감염부위에는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과실에서는 꽃이 달려있는 끝부분부터 물러 썩으며, 흰균사가 자라고,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2) 전염생태
병원균은 자낭균류에 속하고 자연조건하에서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과실이나 줄기의 병반상에 형성된 균핵이 지표에 떨어져 지표면 또는 토양 중의 균핵에서 자낭반을 형성한다. 자낭반의 표면에는 다수의 자낭이 형성되고 자낭포자가 비산해서 전염한다. 주로 하우스 재배에서 발병하고 가을부터 봄에 걸쳐서 많이 발생한다.
(3) 방제
발병 하우스에서는 다음 해에도 쉽게 발생이 되므로 박과작물의 연작을 피한다. 연작을 할 경우에는 발병할 것을 예상하고 충분한 방제 대책을 세운다. 국내에 고시된 약제는 없고 일본에서는 지오판수화제, 베노밀수화제, 프로피수화제, 이프로수화제, 빈졸수화제가 등록되어 있다.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박과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16) - 병충해 : 갈색반점병(褐斑病), 검은별무늬병(黑星病), 세균모무늬병 (0) | 2015.02.11 |
---|---|
오이(15) - 병충해 : 세균시들음병, 잿빛곰팡이병,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병(CGMMV) (0) | 2015.02.11 |
오이(13) - 영양생리장해 : 잘록과, 유과(생리적 위조과), 쓴 오이 (0) | 2015.02.11 |
오이(12) - 영양생리장해 : 열과, 갈색심부과, 곡과 (0) | 2015.02.11 |
오이(11) - 영양생리장해 : 끝이가는과, 어깨빠진과, 스펀지과 (0) | 201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