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당근

11. 병충해(1) - 주요 병해 및 방제

by 내오랜꿈 2015. 2. 5.
728x90
반응형


대부분의 식물병은 곰팡이가 원인이다. 당근 역시 대부분의 병이 곰팡이에 의해서 발생하며 무름병 등 일부가 세균에 의해서 발생된다. 곰팡이는 극히 작은 미생물로서 몸은 균사라 부르는 실같이 가는 관으로 되어 있어 일괄하여 균사덩이를 만든다. 균사는 격막으로 나누어지고 식물체로부터 양분을 얻으며 포자라 부르는 특수한 구조를 만들어 번식한다. 어떤 포자는 불량 환경에 적응하며 당근 없이도 생존할 수 있는데 포자의 이동은 바람, 토양, 물과 기타 수단에 의해 전파된다. 당근 식물체의 상처, 기공(숨구멍) 등을 통해 들어가 식물체에 병을 일으키고 또한 새로운 균사(포자)를 만들어 다른 식물체를 전염시키는 역할을 한다. 곰팡이 병원체는 대부분 포자의 크기, 모양과 색깔로 구분하고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며 흔히 잎, 줄 기, 비늘줄기와 뿌리에 여러 가지 색깔의 반점을 만들게 된다.


세균도 극히 미세한 단세포 생물인데 막대기 모양이고 움직일 수 있으며 병든 식 물의 잎이나 뿌리에서 잘 자라지만 자연환경에서는 살아있는 식물체나 식물 잔재로부터 분리되면 단기간밖에 생존할 수 없다. 세균은 물, 토양, 종자, 이병식물 부 위, 분무와 곤충의 이동과 인간 활동에 의해 전파된다. 그리고 세균은 기공(숨구멍), 상처를 통해 식물체나 뿌리로 들어가 잎에 수침상의 반점, 변형, 부패 및 뿌리 부패를 일으킨다.


바이러스 RNA핵산과 단백질 외피로 구성된 크고 복합적인 이병성의 분자량이며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으나 일반 광학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다. 바이러스 입자 는 살아있는 식물에서만 번식되고, 일반적으로 사부에서 살며 식물체 사이에서 즙액, 종자, 비늘줄기로 전염되거나 진딧물, 응애와 매미충 같은 곤충에 의해 전염된다. 바이러스 감염의 일반적인 증상은 모자이크나 반점, 기형과 왜화를 포함한다.


합리적인 병 관리방안은 식물병의 발생 생리·생태에 대한 자세한 지식으로부터 개발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병해 방제법에는 저항성 품종과 감염되지 않는 종자의 사용, 돌려짓기와 포장 위생관리 등 기타 재배법 개선이 포함된다. 병원균을 감소시키고 전파와 이병하는 능력을 제한하는 또 다른 방제법은 토양, 종자, 작물을 농약 처리하는 것이다. 당근에서는 몇 가지 병해 관리방법과 당근 생산법 개선 노력이 서로 종합되어 사용될 때 가장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모자이크병(Mosaic, Cucumber mosaic virus(CMV))

 

. 증상과 발생환경

 

새로 나온 잎에서 황색 모자이크 및 가는 잎으로 나타난다.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는 토마토, 가지, 고추, 오이, 참외, 멜론, 상추 등 기주 범위가 넓기 때문에 전염원은 어느 포장에든 있다. 80종 이상의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非永續) 전염 을 하기 때문에 전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 방제방법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하고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이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와 이식시기를 조절한 다. 바이러스의 잠재적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 기주를 제거하고 전염원이 되는 이병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2. 무름병(Soft rot,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Jones) Bergey et al.)

 

. 증상과 발생환경

 

당근 무름병은 전 생육기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뿌리 윗부분에 수침상의 담갈색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뿌리 아래쪽으로 썩어 내려가며, 병든 뿌리는 전체 가 물러 썩고, 악취가 난다.


무름병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 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주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 속에서 독립적으로 월동하여 다 음 해의 1차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애벌레가 기주를 가해함 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 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 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써 무름 증상을 나타낸다. 토양이 습하거나 저장환경이 불량할 때 많이 일어나며 저장 중에는 보통 다른 저장병에 이미 감염된 후에 주로 일어난다. 주의 깊은 수확작업, 저장고의 청결 등이 무름병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며,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는 이랑을 높이는 것이 좋다.



. 방제방법

 

무름병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벼과나 콩과 작물로 돌려짓기 하고, 병원균이 건조에 약하므로 배수와 통풍이 잘되도록 한다. 수확작업을 주의 깊게 하여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저장고를 청결히 하여 저장 중의 병 발생을 줄인다.


3. 관부썩음병(Crown rot, Thanatephorus cucumeris(Frank) Donk) (무성세대: Rhizictonia solani kuhn)

 

당근 뿌리에 발생하는 관부썩음병의 초기 증상은 암갈색의 횡으로 된 병증을 나타내고 작물이 자람에 따라 위쪽으로 썩어 올라가며 뿌리 아래쪽으로도 썩어 내려간 다. 감염은 수분이 많은 생육기에 일찍 일어나지만 증상은 후기까지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수확기가 되면 증상이 크고 깊어지며 뿌리 윗부분이 썩는다. 관부썩음병을 발생시키는 병균은 유묘기에 모잘록병을 일으키는 균과 동일하고 진균 계의 담자균문에 속하며, 담자기와 담자포자를 형성한다. 무성세대는 분생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균사의 분기점이 약간 잘록하고 이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격막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균은 염주상세포와 균핵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균핵은 계통에 따라서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며 보통 구형 내지 부정형이고 색깔은 담갈색 내지 암갈색이며, 생육적온은 2230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에서 균사나 균핵 형태로 존재하며, 월동 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잘 발병한다.

 

. 방제방법

 

관부썩음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당근 관부썩음병이 침범할 수 없는 다른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 한다. 즉 당근과 비슷한 작물은 침범하지만 양파·배추 등 다른 작물에는 이 병원균이 침범할 수가 없으므로 다른 작물이 자라는 포장에서는 이 병원균이 더 이상 증식하지 못하고 밀도가 줄어든다. 재배 시 포장의 토양이 다습 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수확시기를 앞당기거나 수확이나 저장 작업 시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 흰가루병(Powdery mildew, Erysiphe heraclei de Cand.) (무성세대: Oidium clematidis Sacc. : Ttav.)

 

. 증상과 발생환경

 

잎과 잎자루에 주로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의 표면에 하얀 균사가 점점이 분산되어 나타나며, 심하면 잎 전체가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같이 되며, 심한 포장은 아래 잎 이 황화되고 말라 죽는다.


흰가루병은 분류학상 진균계의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1개의 자낭각 속에는 36개의 자낭이 들어 있고, 자낭 속에는 36개의 자낭포자가 들어 있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자낭각의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고, 전국 어디에서나 발생되며, 생육 후기에 많이 발생한다.



. 방제방법

 

수확 후 이병 잔재물을 신속히 제거한다.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게 하며 질소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지나치게 번무하지 않게 관리한다. 발병 초기에 적용농약을 사용하여 방제한다.

 

5. 균핵병(菌核病, Sclerotinia rot, Sclerotinia sclerotiorum(Lib.) de Baty)

 

. 증상과 발생환경

 

주로 관부에서부터 감염이 일어나며, 감염 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라고 물러 썩으며,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진전되면 병반이 잎자루와 뿌리 아래쪽으로 확대되면서 전체적으로 썩게 된다.


균핵병균은 분류학상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균핵·자낭반·자낭·자낭포자를 형성한다. 균사 생육 온도 범위는 130이고, 생육적온은 2224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에서 균핵의 형태로 월동하거나 감염된 식물체에서 균사 상태로 월동한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 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며 병원균은 십자화과, 가지과, 콩과 등의 다른 많은 작물도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 방제방법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돌려짓기 와 공기 유통을 좋게 하는 잡초방제, 저장 전 예냉(豫冷)처리, 저장고의 청결 등이 이 병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6. 검은잎마름병(黑葉枯病, Leaf blight, Alternaria dauci(Kuhn) Grov.&Skolk)

 

. 증상과 발생환경

 

이 병의 이름을 일부 지역에서는 먹잎마름병, 불병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발생 부 위는 잎과 잎자루에 발생하며 처음에 반점이 어린잎의 주변에서 발생하고 부정형 의 암갈색-검은색을 띤다. 잎자루나 줄기의 병반은 암갈색이고 종종 합쳐지거나 줄기를 둘러싼 병증이 되고 진전됨에 따라 잎 전체가 위축되거나 말라 죽는다. 병반은 어린잎보다 다 자란 잎과 성숙한 식물체에서 더 잘 발생한다.


잎이 무성하게 성숙한 잎에서 이 병은 잘 확산되는데 이는 식물체 내의 공기가 잘 안통하고 잎의 밀도가 높아 수분을 더 잘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염된 성숙 한 잎들은 많은 포자를 형성하여 어린잎들을 감염시키고 상처 등을 통하여 뿌리도 감염시킬 수 있다. 이 균의 생육적온은 2630이다. 병원균은 종자와 병든 부위에서 균사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을 하고, 여름과 가을에 걸쳐서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병 발생이 심하다.

 

. 방제방법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작물의 생육 중에 비료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해서 균형 시비를 한다. 감염된 조직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23년의 돌려짓기가 병원균의 밀도를 낮추는 데 좋고 적용약제는 병 발생 초기부터 살포한다.



7. 검은무늬병(Black rot, Alternaria radicina Meier, Drechs. & Eddy)

 

. 증상과 발생환경

 

검은잎마름병은 주로 잎자루와 뿌리에서 발생 한다. 잎자루에서는 뿌리 상부의 지제부에서부터 검게 변하여 썩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뿌리 에서는 부정형의 검은 병반이 멍든 것처럼 보이고, 진전되면 확대되어 속까지 변하여 썩으며, 공동이 생기기도 한다.




검은무늬병 병원균은 진균계의 불완전균에 속하며, 분생자경과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병원균은 종자와 감염 부위에서 균사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한 후, 발아하여 전염원이 된다. 일반적으로 종자전염에 의한 병 발생이 많고, 지상부보다 지하부에서의 발병이 심하며 이 균의 생육적온은 2630이다.

 

8. 점무늬병(斑點病, Leaf spot, Cercospora carotae(Pass.) Solh.)

 

. 증상과 발생환경

 

증상은 처음에는 잎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갈색 또는 암갈색의 원형 혹은 타원형 반점으로 나타나며 흔히 잎의 말림현상이 있다. 잎 안쪽의 반점은 작고 둥근 형이며 죽은 중심부를 가진 갈색에서 회색을 띠고 병반이 커짐에 따라 전체 잎은 시들고 죽게 된다. 병원균은 노화된 잎보다 어린잎과 식물체에 침입을 잘하지만 심하게 감염된 포장에서는 노화된 잎도 많이 감염된다. 병원균은 역시 잎자루와 줄기에도 감염되며 암갈색의 주변을 가지고 회갈색의 내부를 가지며, 병반은 합쳐져서 줄기를 둘러싸고 잎을 고사시킨다. 고온·다습 조건에서 급격히 발생한다.


이 병원균은 진균계의 불완전균에 속하며, 분생자경과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생육적온은 2630로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체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을 한다. 병원균의 침입은 주로 기공을 통해 이루어지며, 생육 후기에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비료가 부족하고 기온이 높으며 건조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많이 발생한다.



. 방제방법


고온에서 비료가 부족하면 많이 발생하므로 비배 관리에 유의한다.

 

9. 마른썩음병(Fusarium dry rot, Fusarium sp.)

 

. 증상과 발생환경

 

땅가 부위의 관부에도 발생하지만 주로 뿌리에 발생하는데 뿌리의 한쪽에 궤양 증상이 나타나며 연한 갈색 혹은 검은색으로 썩고, 불에 덴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병든 조직은 미라처럼 마르고 단단하다.


이 병원균은 진균계의 불완전균에 속하며, 많 은 양의 작은 분생포자와 큰 분생포자 그리고 내구체인 후막포자를 형성하는데 종에 대한 정확한 동정(同定)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토양 전염성 병해로 병원균은 토양에 존재하며, 생육기와 저장 중에 발생한다. 저온 저장 할 때는 3개월이 지나야 외부로 병 증상이 나타나지만 1522에서는 23주 후에 병증이 나타난다. 종자전염도 가능하지만 병원균은 버려진 병든 식물체 내 혹은 토양에서 월동한다. 포장에서는 7이상이면 병원균이 식물체를 가해할 수 있고, 25이상에서는 발병이 잘된다.

 

. 방제방법

 

이어짓기를 피하고, 병이 심하게 발생한 포장은 5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석회 시용으로 토양산도를 pH 6.57.0으로 조절하고,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사질양토에서는 재배를 피한다. 답전윤환하거나 토양을 한 달 이상 담수하면 토양 중의 병원균 밀도를 낮추고 토양 환경을 조금 개선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당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생산 및 소비 현황  (0) 2015.02.05
12. 병충해(2) - 주요 충해 및 방제  (0) 2015.02.05
10. 주요 생리장해  (0) 2015.02.05
9. 주요 영양생리장해   (0) 2015.02.05
8. 수확 후 관리(2) - 저장  (0) 201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