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토마토

10. 토마토 영양생리장해(4) - 잎말림(葉券) 현상과 선단부의 위축, 황화 및 굴곡

by 내오랜꿈 2015. 2. 25.
728x90
반응형



1. 잎말림(葉券)

 

() 증상


1화방 과일 비대기 이후에 아래 잎의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리고 점차적으로 위의 잎까지 말리는 현상으로 잎이 딱딱해지고 잎 뒷면이 푸른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 원인


질소질 비료의 과다한 시용으로 초세가 너무 강한경우 발생이 많다. 또 밤 온도를 너무 낮게 관리하여 양분의 이동이 잘 안 되어 잎에 탄수화물 축적량이 많아졌을 때 발생하기 쉽고 특히 순지르기를 한 후에 발생이 많다.

 

() 대책

 

과다한 질소질비료의 시용을 삼가고 토양이 너무 습하지 않도록 관수에 주의해야 하며 밤 온도를 잘 관리하여 양분의 전류 분배가 잘 일어나도록 한다.

 


2. 선단부의 위축, 황화 및 굴곡

 

1) 선단부 위축


() 증상


생장점 근방의 어린잎과 줄기가 가늘어지고 생육이 불량해지는 현상으로 발생원인은 호르몬에 의한 장해와 철 과잉에 의한 장해가 있다.

 

() 원인


· 호르몬에 의한 장해 : 착과를 위하여 사용된 착과호르몬은 꽃에 흡수되어 꽃자루와 줄기를 통하여 생장점에 집적되는데 집적된 호르몬량이 많으면 어린잎은 축엽 된다. 일조가 부족하거나 과일이 너무 많이 착과된 경우에는 선단부 위축을 더욱 조장하게 된다.

 

· 철 과잉에 의한 장해 : 철분이 많고 수분이 많은 산성토양에서는 어린잎이 쉽게 축엽된다.

 

() 대책


· 호르몬에 의한 장해 : 착과 호르몬 처리 시 온도가 높을 때는 농도를 묽게 하여 살포하고 잎과 줄기에 약액이 묻지 않도록 한다. 선단부의 축엽 현상이 심하게 나타난 잎줄기는 조기에 순지르기를 하고 곁가지를 유도하여 이용토록 한다.

 

· 철 과잉에 의한 장해 : 철분이 많고 수분이 많은 산성토양에서는 석회 시용과 토양수분 관리에 주의하고 토양산도의 조정과 배수를 철저히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선단부의 황화

 

() 증상


줄기의 선단부에 있는 잎이 노랗게 되면서 발육이 나빠지는 현상이다.

 

() 원인


·철 결핍 : 철이 부족하면 선단의 어린잎은 황화한다. 망간이 많은 토양에서는 철 흡수가 저해되기 쉽고, 석회, 암모니아, 칼리와도 길항작용을 하기 때문에 이들 요소들이 많으면 철 결핍현상이 일어나서 선단부가 황화 된다. 또 온도가 낮으면 철의 흡수가 저해되므로 선단부의 황화가 많이 발생한다.

 

·양액재배 시 산소 결핍 : 양액 중에 산소가 결핍되면 초산이 아초산으로 환원되어 아초산 중독에 의하여 선단부가 황화된다. 식물체가 자라게 되면 배액구 부근에 뿌리가 무성하게 뻗게 되어 양액의 순환을 나쁘게 하여 산소농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많다. 산소가 결핍하면 뿌리가 적색으로 변한다.

 

·제초제에 의한 피해 : 제초제를 이용했던 분무기를 깨끗이 씻지 않고 제초제 성분이 남아있는 분무기로 농약을 살포할 경우 선단부가 황화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따라서 잔효성이 긴 제초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주의를 해야 한다.

 

 

3) 선단부의 굴곡

 

() 증상


선단부의 어린잎이 구부러지고 심한 경우에는 돌돌 말린다.

 

() 원인


질소 특히 암모니아 농도가 높을 경우 많이 구부러진다. 뿌리로부터 흡수된 질소가 아미노산으로 되고 그 일부가 생장호르몬으로 되어 어린잎에 축적됨으로써 잎의 위쪽이 생장하여 오그라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상편생장(上偏生長)이라 한다. 따라서 굴곡의 정도를 보아 질소가 많고 적음을 알 수 있다. 양액재배에서는 질산태질소보다 암모니아태 질소를 많이 줄 때 발생한다.

 

() 대책


질소 시용량을 줄이고 가급적이면 암모니아태 질소보다는 질산태 질소를 시용해야 한다. 웃거름 양과 횟수를 줄인다. 물주는 양을 줄이고 밤 온도를 낮추어 관리한다. 배꼽썩음과 발생이 많을 경우는 물주는 양을 많게 하고 환기를 잘 한다.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주지 않을 때에 비해 밤 온도를 12°C 높게 관리하여 잎으로부터의 양분전류를 촉진시킨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