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고 보고 듣는 것들/Book

『미학의 역사』 - 보완적 텍스트가 필요한 미학 교과서

by 내오랜꿈 2015. 4. 8.
728x90
반응형

 

 

독일의 철학자 알렉산더 바움가르텐(A. G. Baumgarten)이 자신만의 미학체계를 다듬어 펴낸 『미학』이란 책이 나온 해가 1750년이다. 그러니 미학의 역사에서 미학이 철학으로부터 독립된 분과 학문으로 다루어진 건 채 삼백 년이 안 된다. 이 기간 동안 미학의 근본 문제나 방법론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그 발전의 상당 부분은 구소련이나 폴란드 같은 사회주의 국가에서 행해진 연구 덕분이라 할 수 있다. 소련에서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10년 넘게 진행된 '에스테티체스꼬에(미학)' 논쟁을 비롯해 누구나 인정하는 최고의 미학사 교과서의 저자인 타타르키비츠(W.Tatarkiewicz) 역시 폴란드 출신이다. 그 덕분인지 80년대 중반부터 90년대에 걸쳐 국내에 번역되기 시작한 미학 관련 책들은 거의 대부분 소련이나 동구권에서 나온 책이었다.

 

미학 전공도 아니면서 미학의 역사를 언급하는 이유는 '미학대계간행회'를 구성한 뒤 3년이라는 시간에 걸쳐 국내 필진들에 의해 완성했다는 '미학대계' 때문이다. 전 3권으로 이루어진 '미학대계'는 2,600 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이다. 인문학의 위기란 말이 공포처럼 떠돌던 때에 시도된 기획이니 그 시도 자체만으로도 박수를 받아 마땅하다. 저자들은 이 책이 번역서에 의존하던 국내 미학 연구 역사에서 하나의 이정표가 되리란 자평을 하고 있다. 그렇게 발언할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미학대계'는 아쉬움도 많은 책이다. 가장 먼저 지적할 점은 편찬자를 따로 두어 일괄적으로 서술한 게 아니라 책의 저술에 참여한 집필자들의 논문을 모아 그대로 엮었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사전에 최대한 서술체계를 기획하고 다듬었다고는 하나 다른 미학 관련 책과 비교해 보면 군데군데 이빨 빠진 톱니바뀌처럼 엉성한 부분이 눈에 들어 온다. 제1권인 『미학의 역사』를 미학사의 기본적인 교과서로 인정받고 있는 『타타르키비츠 미학사』와 비교해 보면 그 차이는 확연하다. 특정한 대상의 역사에 관한 서술이라는 게 보통은 통사적일 수밖에 없고 미학사 역시 통사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게 일반적인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미학의 역사』는 미학이나 예술 전공자들이 자신의 전공분야를 독립된 논문처럼 나누어 쓴 까닭에 특정한 사조나 특정한 인물은 과도하게 다루어져 있는가 하면 그 반대급부로 누락된 인물이나 흐름들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불균형이나 편차는 저자들도 인정하고 있듯이 프랑스 미학사 부분은 2개의 논문만 실린 반면에 독일 미학사 부분은 8개의 논문이 배치되어 있다. 중국미학사 부분에 있어서도 선진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송대는 2편의 논문이 배치된 반면에 정작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는 명·청대는 아예 빠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미학사를 다룬 『미학의 역사』뿐만 아니라 미학의 방법론을 다루는 제2권 『미학의 문제와 방법론』에서도 나타난다. 목차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현대미학의 방법론을 다루는 부분을 보면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조의'라는 독립된 챕터를 나누어 놓고서는 정작 내용은 김상환 교수의「데리다의 구조주의 해체론」 하나만 실려 있다. 르네 마그리트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란 그림을 소재로 다룬 미셸 푸코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가 가져온 철학적, 예술사적 반향과 인식 주체의 문제를 생각한다면 미학의 방법론을 다루는데 있어 구조주의를 언급하면서 이러한 흐름이 빠져야 할 이유가 있을까? 또한 구조주의의 철학사적 위치를 생각해볼 때 이 책

에서 다루는 구조주의 미학이론은 

너무나 빈약한 서술이 아닐 수 없다. 개정판을 낸다면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리라.

 

 

두 번째로 지적할 점은 각 논문마다 드러나는 내용의, 좀 과격하게 말하면 논문 수준의 편차가 심하다는 것이다. 이 책 자체가 어쩌면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책장을 넘기며 읽으라고 기획된 게 아니라 필요할 때마다 부분부분 찾아보는데 역점을 둔 게 아닐까 싶다. 

그러니 각 주제별로 내용에서 약간의 편차가 있다고 하더라도 잘 드러나지 않을 뿐더러 크게 눈에 거슬릴 일도 아니라 할 수 있다. 각 주제별 서술을 책임진 연구자의 능력이 조금씩 차이가 나는 건 어쩔 수 없는 일 아니겠는가.

 

 

 

 

그러나 그 정도가 좀 심한 경우도 있다. "영미 현대" 편에 실린 「존 듀이」의 예술철학론. 그 내용을 떠나서 이건 우리 말의 기본이 안 되어 있다. 솔직히 까놓고 이야기하면 지렁이 기어가는 듯한 아랍어를 보는 느낌이다. 집필자가 여기저기 영문 원문을 짜집기한 뒤에 억지로 끼워 맞춰 번역한 게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하게 만든다. 이게 아니라면 이 논문의 집필자는 예술철학 공부하기 이전에 우리말 공부부터 해야 한다. 아래 문장을 보자.

 

"말하자면 듀이는 예술이란 것이 개개인의 일상의 행보와 직결되어 있고 개체적인 차원과 공동체적 차원의 조화에로 나아가는 유기체적 경험의 과정 속에서 일상의 예측불가능하고 불확실한 사건과 상황을 조화로운 의미의 지평으로 전이시키는 탐색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시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미학의 역사』, pp 560~561)

 

이 문장은 아무 생각없이 읽으면 별다른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런데 문장의 서술구조를 뜯어 보면 도무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이 문장에서 주어와 서술어를 찾아 보라. 주어는 듀이인가?, 예술인가? 아니면 자기만 알 수 있도록 숨겨놓았을까? 전체 문장의 서술어를 "

메시지를 시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로 보느냐 " ~ 기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시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로 보느냐에 따라 주어는 달라진다. 예술이 그러하다는 말인가? 듀이가 그렇게 생각했다는 말인가? 보통의 경우 누구나 이 문장의 전체 주어는 듀이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듀이를 주어로 볼 때 저러한 서술어가 성립될 수 있을까? 

 

"그런 만큼 그의 예술철학의 메시지들은 우리들의 일상의 경험들에 담지되어 있는 천박한 실용주의와 조야한 도구주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해체시키면서 우리들이 존재하는 그 모든 것들과의 물활론적 대동일치의 경계에 다다르게 되는 지성의 실천을 끊임없이 확충해 나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게 된다."( p. 561. 이 문장도 마지막 서술어는 "강조하게 된다"가 아니라 "강조한다"로 바꿔야 한다. '듀이의 예술철학 메시지들은 ~을 강조한다'는 말이지 않은가. 이걸 왜 "강조하게 된다"로 표현하는지 모르겠다.)

 

그 다음에 오는 문장은 주어 서술어는 명확하지만 단어 선택이 가관이다. "그 모든 것들과의 물활론적 대동일치의 경계에 다다르게 되는 지성의 실천"? 참 나. '지성의 실천' 이전에 우리말 바르게 쓰기부터 좀 실천하는 게 어떨까 싶다. 글쓰기도 미학이다.

 

이런저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미학의 역사』는 충분히 매력적인 책이다. 천편일률적인 교과서적 서술체계에 식상한 사람들에게는 더더욱 그러할 것이다. 더욱이 타타르키비츠의 『미학사』나 비어슬리의 『미학사』와 상호보완적 텍스트로 활용한다면 학부생의 미학 교과서로는 손색이 없을 것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