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콩 표준 재배법
1. 경운 및 시비
∙ 경운효과: 토양 물리성 개선, 통기성 양호, 근류균 증식, 건토효과 등
∙ 밭 재배 시 표준시비량 (㎏/10a)
∙ 퇴비는 토양유기물 2.6% 이상일 때 1,000㎏/10a 시비
∙ 콩은 산성토양에 약하므로 석회를 시용하여 산도를 중화함(200㎏/10a)
∙ 개화기 이후 10일 경 생육상황을 보아 추비여부를 결정(요소 4~6㎏/10a 시비)
2. 파종
∙ 한 구멍 당 2~3립 파종하는 것이 적당하며 발아율이 낮은 경우 보식실시
∙ 콤바인 수확 시 70×20㎝(1휴 1열)나 125×30(1휴2열)가 적당함
▶ 재식거리 별 파종시기와 소요 종자량
3. 콩 품종 선택
▶ 장류용 및 두부용 콩 주요 품종의 특성
▶ 단기성 장류용 및 두부용 콩 주요품종의 특성
▶ 나물용 콩 주요품종의 특성
4. 적심(순지르기)
∙ 밀식·잦은 강우로 웃자라 도복이 우려될 때 적심하면 마디수가 증대되며 수량이 증가함
∙ 적심 시기
- 본엽이 5~7매 전개되었을 때가 적기이며 늦어도 개화 전에는 실시
- 개화기 이후에는 쓰러짐이 우려되는 경우에만 약하게 실시함
∙ 적심 시 주의사항
- 필수 작업단계는 아니므로 신중하게 판단하여 실시
- 다수확을 목표로 할 경우 조파, 적심 등의 기술을 고려할 필요있음
- 늦게 파종하거나 생육이 부진할 때에는 적심효과가 미미함
- 키가 작은 품종(단간종)은 적심효과가 적음
5. 침수피해 및 습해 방지
∙ 원인
- 토양 내 수분이 과도할 경우 산소부족으로 습해위험 높아짐
- 논과 같은 배수불량지는 장마나 집중호우 시 습해를 입기 쉬움
∙ 대책
- 재배적지를 선정하고 적절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
- 배수로를 설치하며 작업 후 고인 물은 신속하게 제거함
- 담수 피해를 입었을 경우 1% 요소액을 콩잎에 살포하여 피해경감
∙ 논 재배 적지
- 배수가 원활하여 집중호우 후에도 24시간 내 물 빠짐이 가능한 포장
- 경사지 또는 계단식 논은 물 빠짐이 유리하여 콩 재배에 적합
- 식질토는 습해가 우려되므로 사양토, 양토, 식양토에 재배
∙ 논 재배 시 배수로 작업
- 논 가장자리에 50∼80㎝ 깊이로 작업하는 것이 습해 예방에 좋음
배수로 설치 방법
6. 수확
∙ 수확적기 판정
- 성숙기 이후 7∼14일이 수확적기로 이때 종실 수분함량은 18∼20%
※ 성숙기: 콩 꼬투리의 80∼90%가 고유 성숙색깔로 변색되는 시기
- 수확시기가 늦어질 경우 탈립되어 수량이 손실되며 나물콩은 발아력이 떨어져 품질하락
∙ 수확작업
- 예취 작업의 생력화는 경영규모에 따라 달리해야 효과적
• 0.1ha 내외의 소규모 농가는 배부식 잡초예취기를 이용
• 0.3ha 내외의 중규모 농가는 바인더(예취기)를 이용
∙ 콤바인 수확
- 콤바인 수확은 1ha 이상 대규모(단지) 재배 시 적합
- 콤바인 수확과 탈곡 시 종실수분함량 13∼15% 수준이 적당함
콤바인을 이용한 수확모습 기계수확 시 꼬투리 손실
7. 탈곡
∙ 탈곡 시 유의점
- 인력 수확한 경우 2~3일 건조한 뒤 탈곡함
- 수분함량 20% 이상 시 탈립이 잘 되지 않고 작업 소요시간 길어짐
- 지나치게 건조되면 깨진 종자가 많아지므로 회전속도를 조절해야 함
8. 정선 및 선별
∙ 피해립, 미숙립, 병해립,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 정선실시
∙ 콩 수매 시 타종자와 미숙립이 10% 이하일 때 1등급임
∙ 풍선기, 진탕식체, 나선형 정선기, 비중 정선기 등을 이용할 수 있음
9. 건조 및 저장
∙ 종자용 및 나물콩은 천일건조 하는 것이 발아에 유리함
∙ 건조기 이용 시 30∼40℃, 상대습도 50∼70% 내외로 하여 바람으로 건조
∙ 장기저장 시 5℃ 이하, 상대습도 60%, 수분함량 10% 이하 유지
10. 콩 이용 주요 작부체계와 유의사항
가. 봄감자+콩 작부체계
나. 담배 + 콩 작부체계
* 담뱃잎 수확기 전인 7월 상순에 콩을 파종하는 것이 중요
* 일반적인 콩 수량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다. 마늘 + 콩 작부체계
라. 밀 + 콩 작부체계
* 밀 수확 지연(조숙품종 부족)으로 작부체계 운영에 어려움
* 남부지방에서 콩+밀 이모작 작부체계 가능하나 품종선택 중요
마. 콩을 이용한 이모작 재배 시 유의사항
∙ 주 소득작물을 결정하고 함께 재배할 작물의 재배법 선택
∙ 파종이 늦어질 경우 수량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대응방안수립 필요
11. 콩 생력기계화 일관 작업기술
가. 기계화 재배양식
∙ 재배양식: 둥근 두둑(높이 20㎝), 이랑간격 60~70㎝
나. 파종단계
∙ 0.3 ha 미만 소규모 재배 시에는 소형인력 기계점파기가, 1ha 내외 대면적 재배 시 트랙터부착 작조동시 점파기를 이용하는 곳이 많음
∙ 범용이 아닌 파종기는 배출장치를 교환하거나 조절해야 함
다. 병해충 방제단계
∙ 소규모농가는 동력방제기나 동력살분무기를 경운기에 부착하여 이용
∙ 1ha 이상 대규모 재배농가는 대형방제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음
∙ 소규모농가는 재배단지화 및 공동방제 실시로 효과적인 방제 가능
라. 수확단계
1) 콩 예취기+콩 탈곡기
- 1조 콩 예취기(예취, 이송, 수집, 배출 동시작업)
• 작업 성능은 ha당 8시간이고 예취 시 손실율은 2% 내외
• 적정 예취시기는 콩의 맨 아래 꼬투리가 벌어질 때임
- 콩 탈곡기(트랙터, 경운기 및 전기모터 부착형)
• 작업 성능은 ha당 36시간
2) 콩 콤바인(보통형, 궤도형)
- 예취, 탈곡, 수집이 동시에 진행되는 일관작업형
- 작업성능은 ha당 3시간이며 곡립 손실률은 2.8% 이하임
- 적정 예취높이는 지면에서 10㎝ 이상, 적정 경사도는 5° 이하임
3) 콩 콤바인(2조식, 수집형, 궤도형)
- 예취, 벨트이송, 탈곡, 수집이 동시에 진행되는 일관작업형
- 작업성능은 ha당 3시간이며 곡립손실률은 2.8% 이하임
마. 콩 생력기계화 적응 품종
1) 장류용 콩 품종
∙ 우람(2010)
- 착협고가 19㎝로 기계수확 적응성이 매우 높음
- 황색 대립으로(25.8g/100립)으로 대원콩 보다 1.2g 무거움
- 수량성이 327㎏/10a으로 대원콩보다 15% 증수
- 불마름병과 콩바이러스(SMV)병에 강함
- 적응지역은 충청이남 이모작 지대(파종적기 6월 15일∼6월 20일)
2) 나물용 콩 품종
∙ 해품(2012)
- 착협고가 15㎝로 기계수확 적응성이 매우 높음
- 불마름병, 바이러스병, 도복, 탈립에 강함
- 성숙기는 10월 상순이며, 수량성(301㎏/10a)이 매우 높음
- 콩나물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기존 나물콩 재배지에서 잘 적응함
※ 남부지역 콩 경영규모별고소득 작부체계(2016년영농활용자료)
- 남부지역 콩 2모작 경영성과 우선순위(단위 : 원/10a, 순위)
구 분 | 콩+마늘 | 콩+양파 | 콩+옥수수 | 콩+감자 | 콩+밀 | |
조수입 | 금액 | 3,943,809 | 3,054,492 | 2,743,622 | 3,127,952 | 1,422,928 |
순위 | 1 | 3 | 4 | 2 | 5 | |
경영비 | 금액 | 2,199,773 | 1,429,438 | 1,056,664 | 1,607,346 | 867,329 |
순위 | 1 | 3 | 4 | 2 | 5 | |
소 득 | 금액 | 1,744,037 | 1,625,053 | 1,686,959 | 1,520,605 | 555,598 |
순위 | 1 | 3 | 2 | 4 | 5 |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콩과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10) - 영양생리 (0) | 2015.06.10 |
---|---|
콩(9) - 다수확과 수량구성요소 (0) | 2015.06.10 |
콩(7) - 재배관리 (0) | 2015.05.27 |
콩(6) - 재배기술 (0) | 2015.05.27 |
콩(5) - 심기 차례(작부체계) (0) | 201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