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마름병(胴枯病, Die-back canker)
Valsa ambiens (Persoon et Fries) Fries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세력이 약한 나무, 나이가 많은 나무를 강전정할 경우 또는 병해충 및 바람, 추위 등으로 피해를 받아 나무 세력이 약해진 경우에 발병이 심하다.
○ 기주식물: 매실, 복숭아, 살구, 자두, 양앵두나무
○ 병징
땅 표면 가까운 줄기 부위의 표피에 피해를 준다.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 병균으로 처음에는 껍질이 약간 부풀어 오르나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마르게 되고 피해를 받은 나무는 겨울을 난 후 심하면 말라죽는다. 늙은 나무에서는 피해 부위에서 2차적으로 버섯 같은 것이 생기기도 한다. 병반은 봄과 가을에 확대되고, 여름에는 일시 정지한다.
○ 병원균
이 병원균은 자낭균병 구과균(球果菌)으로 상처를 통해 침입하며 피해부위 조직 속에서 겨울을 난 후 다음 해에 발생을 계속한다. 발육온도는 5∼37℃이고, 최적온도는 28∼32℃이며, 포자의 발아적온은 18∼32℃이다.
○ 전염경로
○ 방제법
비배관리를 잘하여 나무를 튼튼하게 키우며 충분한 유기물을 공급한다(10a당 2,000~3,000㎏). 강전정을 피하고 여름철 강한 직사광선이 굵은 가지에 직접 닿으면 일소현상이 일어나 피해가 많아지므로 그늘이 약간 지도록 새가지를 배치하는 등 일소방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날개무늬병(紋羽病, White root rot, Violet root rot)
Helicobacilium mompa Tanaka - 자주빛날개무늬병(紫紋羽病)
Rosellinia necatrix (Hartig) Berlese – 흰날개무늬병(白紋羽病)
○ 기주식물: 사과, 배, 복숭아, 매실 등 전 과종
○ 병징
나무의 세력이 약화되고 잎이 적어지며 황색을 띤다. 계속되면 낮에는 시들었다가 밤에는 다시 싱싱해지는 것이 반복되다가 심하면 조기낙엽되고 말라죽는다.
○ 병원균
이 병원균은 담포자를 형성하고 병반은 뿌리 표면에 자주빛날개무늬병의 경우는 자홍색, 흰날개무늬병인 경우는 백색의 실 같은 균핵을 형성한다.
○ 전염경로
○ 방제법
병든 나무를 발견한 경우에는 뿌리가 뻗어 있는 수관 아래의 흙을 걷어낸 다음 감염된 뿌리는 제거하고, 충분한 토양살균제를 관주하고 걷어 낸 흙은 토양살균제와 잘 섞은 다음 다시 덮어준다. 매실에 등록된 적용약제는 없음.. 감염된 나무는 꽃, 과실 등을 따주어 나무의 세력을 회복시킨다. 이 병의 피해로 나무가 죽은 곳은 다조멧 입제 등의 토양 살균제로 소독하거나 심었던 구덩이에 불을 놓아 흙을 태워 소독한 다음 다시 심도록 한다.
고약병(膏藥病, brown and gray lepra)
Septobasidium bogoriense Paktouillard - 잿빛고약병
S. tanarae (Miyabe) Boedjin et Steimann – 갈색고약병
이 병은 각지에 널리 분포하나 큰 피해는 없으며, 매실나무 생육기간 중 언제든지 발생하는데, 병원균은 깍지벌레(介殼虫)의 배설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증식한다. 병원균과 병징의 차이에 따라서 잿빛고약병과 갈색고약병으로 나뉜다.
○ 기주식물: 매실, 벚나무, 복숭아, 자두, 배 등
○ 병징
주로 묵은 가지나 나무줄기에 발생한다. 잿빛고약병이나 갈색고약병에 걸린 나뭇가지나 나무줄기의 표면에는 원형 또는 불규칙형의 두꺼운 막층(膜層)이 생기며, 고약을 바른 것과 같이 보인다. 잿빛고약병은 처음에는 다색(茶色)이지만 나중에는 쥐색, 자색, 담갈색, 흑색의 띠를 두른 것과 같이 변하고 오래되면 균열이 생긴다. 그러나 갈색고약병반은 보통 갈색이며 가장자리에 좁은 회백색의 띠(帶)가 있고, 균사막의 표면은 비로드(벨벳) 모양이다.
○ 병원균
이들 병원균은 다 같이 담포자를 형성한다. 잿빛고약병균은 처음에는 무색이고 구형인 구상체(球狀體)를 형성하며, 그 후 여기에서 담자낭이 형성된다. 담자낭은 무색 원통형으로서 약간 만곡(활 모양으로 굽음)하고 크기는 24∼48×6∼8.5㎛이며 4개의 포(胞)로 되어 있는데 각 포(胞)에서는 소병(小柄)이 생기며 여기에 담포자가 착생한다. 갈색고약병균은 구상체를 형성하지 않고 직접 담자낭을 형성한다. 담자낭은 무색 방추형이고 3∼5포이며 크기는 49∼65×9㎛인데, 각 포에서 소병(小柄)이 생기고 여기에 담포자가 착생한다. 이 담포자는 무색 단포(單胞)이고 낫 모양이며 이것이 발아하여 직접 균사를 형성한다.
○ 전염경로
○ 방제법
깍지벌레의 방제를 위해 발생초기에 적용농약을 살포한다. 겨울철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고, 월동기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한다. 병환부 막층(膜層)을 긁어 없애고 그 자리에 1도 내외의 석회유황합제 또는 20배의 석회유(石灰乳)를 바른다.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과수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실(10) - 충해 : 산호제깍지벌레(梨丹介投), 가루깍지벌레(桑粉介投) (0) | 2015.04.23 |
---|---|
매실(9) - 병해(2) : 검은별무늬병(黑星病), 세균성구멍병(潰瘍病) (0) | 2015.04.23 |
매실(7) - 결실관리 (0) | 2015.04.23 |
매실(6) - 거름주기 및 토양관리 (0) | 2015.04.23 |
매실(5) - 정지(整枝)·전정(剪定) (0) | 201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