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호박의 특성 및 영양학적 가치
출처:"원예특작산물의 기능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http://www.nihhs.go.kr/personal/product_view.asp?nongsaroMenuId=PS03796&sSeCode=374001)
학명 : Cucurbita moschata Duchesne(동양종), Cucurbita maxima Duchesne(서양종, 양종)
분류 : 박과 호박속
원산지 : 중앙아메리카(동양종, 일본종) 남아메리카(서양종),
영명 : pumpkin, squash
특성
호박은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성풀로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우리나라의 호박은 동양계 호박에 속하며 이들은 숙과와 청과를 겸용하는 것이 많고 서양계 호박은 전분이 많아서 숙과용으로 쪄서 먹는다. 호박은 줄기는 일반적으로 덩굴성이나 절간이 단축된 입목성인것도 있다. 잎은 심장형이거나 손바닥을 편 모양이다. 잎의 결각의 깊이는 품종에 따라 다르다. 꽃은 자웅이화동주형인데 엽액에 하나씩 생긴다.
이용
호박요리는 뭐니 해도 조림으로 너무 삶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 외 버터소테나 스프, 튀김을 해도 좋다. 파이나 푸딩 등 과자를 만들 때도 이용된다. 잘라 놓은 것은 쉽게 부패되므로 물기를 없애고 랩으로 잘 싸서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효능
① 종자 30~40g을 절구에 잘 으깨서 소량의 물을 넣어 헝겊으로 짜서 복용하면 회충 및 요충을 치료할 수 있다.
- ② 소화흡수가 잘되는 당질과 비타민 a의 함량이 높으며 늙은호박보다 밤호박이 월등히 높다.
- ③ 호박의 당분은 소화흡수가 잘 되고 세포점막을 건강하게 보호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위장이 약하고 회복기의 환자에게 좋다.
- ④ 호박씨에는 단백질과 지방이 많이 들어 있고 특히 지방의 질이 아주 좋은 불포화지방산이므로 머리를 좋게 하는 레시틴과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다.
- ⑤ 호박씨는 기침이 심할 때 구워서 설탕이나 꿀과 섞어먹으면 효과가 좋고 젖이 부족한 산모에게도 좋다.
- ⑥ 호박에는 몸을 따뜻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냉증이 있는 사람에게 유용하다.
- ⑦ 호박은 산후 부기가 안 빠진 산모와 당뇨병으로 인한 부기에도 좋으며 식물성 섬유인 펙틴은 이뇨를 도와 담석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⑧ 호박씨에는 필수아미노산인 메티오닌 등이 많이 들어 있어 간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므로 술안주로 적격이다.
호박 성분표 (생)
단백질(g) | 단백질(g) | 1.3 |
---|---|---|
지질(g) | 지질(g) | 0.1 |
탄수화물(g) | 당질 | 7.9 |
섬유 | 1.0 | |
회분 | 0.8 | |
무기질(mg) | 칼륨 | 330 |
칼슘 | 17 | |
나트륨 | 1 | |
인 | 35 | |
철 | 4 | |
비타민 | A(I.U.) | 340 |
B₁(mg) | 0.07 | |
B₂(mg) | 0.06 | |
나이아신(mg) | 0.6 | |
C(mg) | 15 |
[참고문헌]
원예연구소, 2004. 『숨어있는 채소·과일의 매력』
728x90
반응형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박과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 - 수확 후 관리기술 (0) | 2015.02.16 |
---|---|
호박 - 재배현황과 경영적 특성 (0) | 2015.02.16 |
호박 - 병충해(6) : 총채벌레,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0) | 2015.02.16 |
호박 - 병충해(5) : 아메리카잎굴파리, 목화진딧물, 호박과실파리 (0) | 2015.02.16 |
호박 - 병충해(5) : 바이러스 병, (0) | 201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