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산채류

산채의 종류

by 내오랜꿈 2015. 5. 31.
728x90
반응형



1. 산채의 종류

 

우리나라에는 3,200여종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이중 식용할 수 있는 식물로는 약 850종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식생활에 이용되는 종류는 수십 종에 지나지 않으며 대개 본래의 식물명으로 불리워지기보다는 예를 들어 달래를 달롱, 달릉게 등, 고들빼기를 쓴나물, 냉이를 나생이, 독활을 땅두릅, 땃두릅 등, 화살나무를 홋잎나물 등으로 부르는 바와 같이 지역에 따라 독자적인 이름이 관용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산채는 식물학적인 생활형에 따라 크게 초본식물과 목본식물로 나눌 수 있다(1). 양쪽 다 연한 새순이나 잎, 줄기 등의 식물체를 식용대상으로 한다는 면에서는 공통점이 있는데 초본식물의 경우에는 종류에 따라 땅속의 뿌리도 식용한다는 면에서 목본식물과 구분된다.

 

초본식물은 다시 1, 2년생 식물과 다년생 식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에는 냉이, 고들빼기, 씀바귀 등이 대상이 되며 후자의 예로는 달래, 산마늘 등과 같이 땅속에 구근을 형성하는 그룹과 취나물, 돌나물, 고사리, 더덕, 도라지, 참나물, 원추리, 머위 등 숙근으로 생활하는 그룹을 들 수 있다.

 

한편 산채의 이용형태에 따라 대체로 신선한 순이나 잎, 줄기 등의 식물체를 수확 즉시 식품으로 이용하는 생채(生菜)와 거의 완전히 건조시킨 후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식품으로 이용하는 건채(乾菜)로 나누기도 한다. 생채의 종류로는 달래, 두릅, 냉이, 고들빼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건채는 이른바 묵나물로서 이용되는 고사리, 취나물 등이 대표적이다.

 

1주요 산채의 종류 및 이용형태

구분

생활형

식물명

주 식용부위(이용형태)

초본

1,2년생


다년생(숙근)


다년생(구근)

고들빼기
냉 이
씀 바 귀
참 취
곰 취
미 역 취
개 미 취
독 활
참 나 물
고 사 리
고 비
미 나 리
머 위
돌 나 물

삽 주
원 추 리
비 비 추
더 덕
도 라 지
잔 대
고려엉겅퀴
달 래
산 마 늘

식물체 전체()
식물체 전체()
식물체 전체()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잎 및 잎자루(, )
식물체 전체()
식물체 전체()

목본

낙엽성

다래나무
두릅나무
화살나무
초피나무

새 순()
새 순()
새 순()
새순 및 열매(, )

 


2. 산채재배상의 특징 및 문제점

 

산채는 일반채소작물과 다소 상이한 재배상의 몇 가지 특징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데 주요 사항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 특 징 ]


첫째, 작형 및 재배과정의 단순성이다. 산채의 재배작형은 소비양상의 변화에 맞추어 점차 세분화되겠지만 아직은 하우스를 이용한 시설재배와 노지재배의 2가지로 대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명력이 강하여 어느 작형의 경우에서나 누구든지 기술적으로 큰 어려움 없이 쉽게 익히고 재배할 수 있다.

 

둘째, 재배의 연속성을 들 수 있다. 산채종류 중에는 고들빼기, 냉이 등과 같이 매년 종자를 채취 파종하여 생채를 수확하는 종류도 있지만 대부분이 다년생식물인 관계로 일단 재배포장이 조성되면 일정기간 계속적으로 목적하는 생산물을 수확할 수 있다. 이때 경제적인 재배기간은 산채의 종류에 따라 달라서 취나물의 경우 34, 두릅의 경우 610년 정도이다.

 

셋째, 경영적인 안정성을 꼽을 수 있다. 현재 산채는 매년 수요량이 증가일로에 있어 가격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산채는 특별한 기술과 노력 없이 재배되므로 경영상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작부체계상 타작목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토지이용 및 농가의 경영합리화에 유리하다고 하겠다. 특히 종류에 따라 유휴지, 야산 등을 활용하여 조방적인 재배가 가능하다는 점도 산채만이 갖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문제점 ]


첫째, 원활한 종묘확보의 어려움이다. 일반작물은 국가기관, 민간종묘회사 등을 통하여 필요한 종묘를 적기에 구득함으로써 재배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산채의 경우는 아직 전문적인 생산기관 또는 업체가 없어 사실상 원활한 종묘확보가 곤란하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초창기에는 불가피하게 자생지에서 채취, 이식에 의한 재배가 성행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종국적으로 자생지 보호에 정면배치 되는 여러 부작용을 안고 있기 때문에 지양되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종묘확보는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종자파종 또는 분주나 삽목 등에 의한 번식으로써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재 이러한 번식기술이 대다수의 산채에 대하여 어느 정도 개발되어 있다.

 

둘째, 종합적인 품질관리기술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위적인 재배를 통하여 생산된 산채는 자연산보다 영양가면에서 결코 뒤지지 않으나 독특한 맛과 향취가 다소 부족하며 이와 같은 산채의 맛과 향취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아직도 전무한 상태이다. 그리고 특히 산채는 무공해 건강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인식되어 있는 만큼 경제성을 고려한 가운데 최소수준의 비료, 농약 등의 이용기술이 필요하며 최근 일부종류나마 농산물의 품질인증제가 도입된 것도 결국 이러한 점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하겠다.

 

셋째, 체계적인 가공기술의 미흡이다. 산채의 이용형태는 생채와 건채로 대별되는데 각각 원형 또는 단순제품으로 출하됨으로써 물량과 가격변동 여하에 따라 농가소득의 안정적인 보장이 어려운 현실이다. 보다 다양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가공기술의 체계화는 새로운 수요창출에 의한 농가소득의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주요 산채의 시설재배기술

 

산채의 시설재배는 크게 한겨울철부터 이듬해 이른 봄철까지 수확하는 작형과 봄철부터 한 여름철까지 수확하는 작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무가온 또는 가온시설하에서 보온재배하는 것으로 취나물, 두릅, 독활, 고들빼기 등이 대표적이며 후자의 경우에는 고냉지에서 비가림시설하 차광재배하는 것으로 참나물, 고려엉겅퀴(곤드레)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산채의 시설재배 기술상 요점을 살펴보면 <2>와 같다.


 2> 주요 산채의 시설재배

작 물 명

파 종

정 식

본포관리

수 확

취나물

 

 

 

 

 

 

 

 

종자소요량 :
-참취:23L/10a
-곰취:34L/10a

24월 파종
(pot 육묘)

 

56월 정식

재식거리
-참취:15×30cm
-곰취:2030×30cm

 

 

 

12월 상순부터 보온(가온 또는 무가온 하우스 재배) 다비재배 또는 무가온 하우스재배
(내부터널 + 섬피피복)

시비량 : 퇴비 2,000,
요소 20, 용과린 30,
염가 12kg/ 10a

14월경 연한 잎, 줄기 예취

출하
(골판지상자 또는 비닐포장)

 

 

 

 

달래

 

 

 

910월 파종
120150cm
이랑위 산파

 

 

 

122월 굴취

출하(골판지상자
또는 비닐포장)

두릅

 

 

 

 

 

 

 

 

4월 상순하순

(910
노천매장)

 

 

 

 

 

1월 중 수목준비
및 하우스 치상

수목크기 :
길이 40cm이상,
굵기 2cm 정도

수목치상량 :
700900/

습도 85%이상,
낮 온도 2530,
밤 온도 1015유지

초기 56일간 차광

 

 

 

 

23월 절취 출하


(스치로플접시
포장)

 

 

 

 

 

독활

 

 

 

10월 하순 직파

 

 

 

34월 정식
재식거리 :
15×45cm

 

시비량 :
퇴비 3,000, 계분 300,
요소 48, 용인 60,
염가 36 kg/10a

23월 절취 출하
(스치로폼

접시포장)

 

고들빼기

 

 

 

 

 

종자소요량 :
23L/10a

78월 직파

 

 

 

7월 하순
8월 중순 파종

조파 : 2
산파 : 3

 

 

910월경 하우스설치 후 무가온재배


시비량 :
퇴비 1,0002,000,
요소 11, 용과린 25,
염가 8kg/10a

122월 굴취
출하(골판지상자
또는 비닐포장)

 

 

 

 

참나물

(고냉지)

 

 

 

 

종자소요량 :
23L/10a

23월 파종

 

 

56월 정식

재식거리 :
15 × 20cm

 

 

비가림하우스 재배
50% 차광망 피복

시비량 : 퇴비 3,000,
계분300, 요소20, 용과린100, 염가15kg/10a

정식 2년차부터
57월 연한 잎줄기 예취 출하(골판지상자

포장)

 


728x90
반응형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산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채의 종류와 재배 현황  (0) 2015.05.31
참취(3) - 병해충 방제  (0) 2015.05.20
참취(2) - 재배관리  (0) 2015.05.20
참취(1) - 생태적 특성 및 이용  (0) 2015.05.20
민들레(3) - 병해충 방제  (0) 201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