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박과작물

호박 - 병충해(3) : 검은별무늬병, 검은별무늬병(Scab)

by 내오랜꿈 2015. 2. 16.
728x90
반응형


7. 검은별무늬병(Scab)

 

. 병징


, 과실, 줄기에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담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 되면 0.51cm의 회갈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오래된 병반은 구명이 뚫리고 지저분해진다. 과실과 줄기에는 작은 암녹색이 수침상 병반으로 나타나 함몰되며 균열이 생긴다. 병반상에는 흑색의 분생포자가 밀생한다. 생장 중인 새순에 발생하면 생장이 멈추고 총생하게 되어 상품성이 없어진다.

 

. 병원균 : Cladosporium cucumerinum Ellis.


불완전균으로 분생자경과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분생자경은 황갈색으로 분지하며, 격막을 가지고 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경 위에 연쇄상으로 형성되며, 방추형 또는 레몬형으로 담갈색의 단세포 내지 2세포로 되어 있다.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20내외이다.



. 발생생태


호박을 비롯한 동일한 박과작물 연작으로 인해 병원균 포자가 시설자재나 피해 잎 또는 덩굴 등에 붙어 생존하면서 발병하며 일단 발병하면 23년간 계속해서 피해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저온기의 재배작형에서 저온다습으로 발생이 많고 생장점 부근의 연약한 잎과 덩굴, 어린 과실, 덩굴손 등을 주로 침해한다. 또한 과실에는 암녹색을 띠며 습윤상의 작은 콩알 크기 정도의 병반을 만들고 갈라져서 진액을 유출한 후 진한 회색 곰팡이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 방제방법


지주와 기타 농기구 등은 적용약제를 골고루 뿌린 후 사용하여야 하며, 재배토양을 비닐로 덮어 57일간 훈증 또는 고온온수를 이용해 소독 처리한 후 정식하여 재배한다. 호박덩굴의 선단부 근처에 발생한 경우에는 병반이 붙은 쪽으로 기울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가능하므로 속히 약제를 살포하여 전염확산을 억제한다. 또한 호박덩굴의 선단부에 발병한 것은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절단 후 새로운 곁가지를 유도하여 생장시킨다. 약제방제는 오이 등 박과작물에 등록된 적용가능 약제(베노밀수화제와 포리옥신수화제)를 이용하여 적정농도(10a100150)로 살포하여 방제한다.

 


8. 잿빛곰팡이병(Gray mold)

 

. 병징


, 과실, 잎자루에 발생한다. 과실에는 배꼽 부분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처음에는 수침상의 병반으로 나타나고, 황갈색으로 변해 썩는다. 진전되면 병반상에 회갈색의 분생포자가 무수히 형성된다. 잎과 잎자루에는 꽃잎이 떨어져 붙어 있는 부분에서 감염이 시작되며 처음에는 갈색 소형 병반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대형의 회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 병원균 : Botrytis cinerea Pers. Fr.


불완전균으로 분생자경은 갈색이며 분지하고 끝부분에는 작은 돌기가 형성되며 분생포자가 형성된다. 분생포자는 무색, 타원형 혹은 계란 모양으로 약간 돌출한 형태의 배꼽을 가지고 있다. 균핵은 흑색, 부정형이며 생육적온은 2224이다.



. 발생생태


발병 잎은 갈색의 원형 병반이 나타나고 줄기는 적심한 자리를 침입하여 갈색 병반을 형성한다. 생육 초기에 화판이나 과실 꼭지 및 어린 과실에 병반이 나타나면서 점차 부패하며 습도가 높을 때에는 피해부에 회색 내지 담갈색 분상의 곰팡이가 밀생하게 된다. 주로 과실에 다발병하며 발생시기와 증상은 균핵병과 비슷하고 저온 다습한 조건일 때와 34월의 강우로 인한 기온 저하 시 급격히 발생이 증가 한다.

 

. 방제방법


시설 내부가 다습하지 않도록 관수량을 줄이고 환기를 충분히 한다. 또한 병든 잎과 과실은 조기에 제거하고 저온기 온도조절 및 난방으로 습기가 높지 않게 관리한다. 한편 피해 과실과 잎을 조기에 제거하여 전염원의 밀도를 낮춘다. 방제 약제로는 박과작물에 등록된 적용가능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하고, 습도가 높으면 발병이 심해지므로 이때에는 수화제보다 훈연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