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박과작물

호박 - 병충해(4) : 잘록병, 흰가루병, 균핵병

by 내오랜꿈 2015. 2. 16.
728x90
반응형


9. 잘록병(Damping-off)


. 병징

 

유묘기부터 육묘 중에 다발생하며 생육 중기 까지 발생한다. 어린 식물체는 지제부가 잘록하게 썩고, 감염된 묘는 잘 쓰러지며, 결국에는 말라죽는다. 어느 정도 자란 식물체는 줄기의 지제부가 움푹 들어가거나 갈라지면서 부패한다. 감염 부위는 흑갈색 또는 흑색으로 변하며, 지상부의 생장은 부진하다.


 

. 병원균 : Rhizoctonia solani Kuhn


담자균에 속하며, 담자기와 담자포자를 형성한다. 담자기의 상부에는 보통 35개의 소병이 형성되고 이 소병 끝에서 담자포자가 형성된다. 무성세대에서는 분생 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균사의 분기점이 약간 잘록하고 이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잘록병에 의한 피해(유묘) 격막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균핵은 계통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다양한데, 보통 구형 내지 부정형이고 색깔은 담갈색 내지 암갈색이다. 이 균의 생육온도 범위는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에 따라 다르나, 전체적으로 생육적온은 2230범위이다. 병원균의 병발생 관여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AG-1(1B), AG-4, AG-5인 데, 생육 초기까지는 이들 균사융합군이 모두 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생육 중기에는 주로 AG-4에 의해서만 병이 발생한다.

  

. 발생생태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 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월동 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병이 잘되고 병원균의 병을 일으키는 균사융합군은 다른 작물에도 잘록병을 일으킨다.

 

. 방제방법


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다른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또한 토양이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초기에 병 방제를 하기 위해서는 무병종묘를 파종하여야 하며, 재배작물에는 균형시비를 하여 식물체의 저항성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약제방제는 등록되어 있는 약제를 선택해 적기에 예방 위주로 방제한다. 병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토양소독제를 이용하여 토양소독을 하는 것이 방제에 효과적이다.


10. 흰가루병(Powdery mildew)

 

. 병징


주로 잎에 발생하며, 잎자루와 줄기에도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흰색의 분생포자가 점점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잎 전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은 증상으로 변한다. 기온이 서늘해지면 병 반상에 흑색소립점(자낭각)이 형성된다. 이 병징으로 인하여 잎이 고사되는 경우는 적으나 병든 포기는 빨리 노화되어 수확기간이 단축된다.



. 병원균 : Sphaerotheca fuliginea Pollacci.


진균계의 자낭균에 속하는 순활물기생균으로 인공배양이 되지 않으며, 분생포자와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병원균은 비교적 고온에서 번식하며, 유황에 대해선 매우 약하다.

 

. 발생생태


자낭각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월동하여 전염원으로 작용하며, 시설 내에서는 분생포자가 공기 전염되어 계속해서 발생한다. 이 병은 일반적으로 1528에서 다발생되며, 32이상의 고온에서는 병 발생이 억제된다. 대체로 일조가 부족하고 밤낮의 온도차이가 크고 다비재배를 할 때 병 발생이 많아진다.

 

. 방제방법


(1) 재배적 방제


시설재배지에서는 환기가 잘되는 양쪽의 측창 부분부터 발생되므로 예찰을 철저히 하여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방제하여야 한다. 야간에는 습도를 낮추는 것이 좋으며, 낮 동안에도 최대한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환경조절이 필요하다비배관리 측면에서는 규회석 및 칼리비료를 적당히 시용하여 발병 후 진전이 억제되도록 헤야 한다.

 

(2) 약제 방제


약제 방제는 수확 25일 전까지 주기적으로 지상부의 경엽살포에 의존하여 방제한다. 생육 초기에는 적용 가능 약제를 이용하여 적기 방제하고, 수확 직전 또는 수확 중에는 과실 내 농약잔류량을 감안하여 농약안전사용처리지침을 준수하여 방제하도록 한다. 또한 흰가루병 발병이 심한 때에는 흰가루병 발병에 억제효과가 있는 규산칼륨을 이용하여 발병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는 처리농도를 100ppm150ppm 정도로 하여 경엽에 살포하여 준다. 흰가루병은 한번 발생되어 포장에 전체적으로 퍼지고 나면 방제가 쉽지 않으므로 발병 초기에 예방 위주로 방제한다. 병이 발생되었을 때는 1주일 간격으로 연속하여 23회 적용 약제를 바꾸어 가면서 살포해야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하다.



11. 균핵병(Sclerotinia rot)

 

. 병징


줄기, , 잎자루, 과실에 발생한다. 줄기에서는 지제부가 변색되어 썩으며, 흰 균사가 자라다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을 형성한다. 잎과 잎자루에서는 주로 상처 부위에서부터 감염되어 흰 균사가 자라면서 썩고 후에 균핵이 형성된다. 과실에서는 꽃이 달린 부위에서부터 감염이 시작되어 과실 안쪽으로 물러 썩으며 흰 균사가 자라고 균핵을 형성한다.



. 병원균


자낭균에 속하며 균핵, 자낭반, 자낭,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균핵은 흑색, 부정형이며 휴면 후 발아하여 18개의 자낭반을 형성한다. 자낭 내에는 8개의 자낭포자가 형성되며, 자낭포자는 무색, 단세포, 타원형이다. 균사생육 온도범위는 130이고, 생육적온은 2224이다.

 

. 발생생태


연작재배지 특유의 병해로 무가온 재배형태이거나 야간의 기온이 낮을 때 지표면에 멀칭을 하지 않았을 때, 이랑관수를 실시할 때 피해가 나타나며, 하우스 억제 재배 시는 하우스 내의 온도가 내려가는 때에 발병이 심한 경향이다. 피해주의 덩굴과 과실이 수침상으로 연화한 후 점차 건조되면 백색의 분생물이 진전된다. 과실이 처음에는 연해지고 조금 지나면 백색의 솜 같은 것이 붙는데 방치해 두면 과실 표면에 쥐똥 같은 균핵이 형성된 후 포자가 비산하여 공기 전염한다. 균핵은 토양에서 최고 10년 이상 생존하기 때문에 질소비료 연용 시 다발생하고 특히, 호박 유과 때 암꽃이 떨어지기 전에 과실의 선단부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잿빛곰팡이병과 유사하여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 방제방법


균핵이 형성되기 전에 피해 잎과 덩굴, 과실 등을 절단해서 제거한다. 병원균의 생장 최적 산도는 pH 5.2이므로 재배 전에 석회를 충분히 시용하는 것도 발병을 억제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다. 방제약제로는 베노밀수화제 1,500배액, 포리옥신 수화제 1,000배액을 고루 살포하여 방제하고 습도가 높은 지제부는 67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살포하여야 한다. 한편 작물 수확 후에는 이병물에서 균핵 또는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므로 이병물을 철저히 제거하고 상습재배지는 비기주 작물을 돌려짓기하거나 심경으로 균핵을 매몰하고 답전 윤환 및 담수처리(60일 이상)로 병원균의 사멸을 유도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