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박과작물

오이(20) - 병충해 : 뿌리혹선충, 온실가루이

by 내오랜꿈 2015. 2. 11.
728x90
반응형


4. 뿌리혹선충

 

(1) 증상


뿌리에 침입한 2령 유충은 이동 분산하여 정착한 후 구침을 통해 특수한 생리활성물질을 방출하여 거대세포(다핵세포)를 형성하게 된다. 거대세포 쪽으로 양분이 집중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식물 자체는 영양실조에 이르게 되고 혹이 형성된 뿌리는 양분과 수분의 흡수기능이 저하 된다. 낮에 상위엽이 시드는 증상이 나타나다가 심해지면 생육이 많이 위축된다. 뿌리를 파 보면 여러 개의 크고 작은 혹이 형성되어 있다.

 


(2) 형태적 특징


내부 기생성 선충으로 암컷의 몸통은 둥글고 목이 돌출되어 있어 서양배 모양으로 크기는 0.41.3mm이다. 유충은 가느다란 실모양으로 길이는 0.5mm정도이다.

 

(3) 발생생태


2령 유충이 기주식물의 뿌리에 침입하여 머리 주위에 거대세포(다핵세포)를 만들어 흡즙하면서 자라 길쭉한 모양에서 서양배 모양으로 되고 4회 탈피 후 성충이 된다. 암컷은 일주일 동안 수백 개의 알을 알주머니 속에 낳는다. 25전후의 적당한 조건에서 침입 후 45주 이내에 1세대를 완료한다. 뿌리혹선충의 기주식물 침입적온은 1520, 뿌리혹형성 적온은 2530℃,생육적온은 2025이다. 뿌리혹선충은 단위생식을 하기 때문에 적합한 조건에서는 암컷의 비율이 높고 기주의 영양상태, 환경 등이 불량하면 수컷의 출현율이 높아진다.

 

(4) 방제


연작재배로 뿌리혹선충의 피해가 심한 포장에서는 비기주작물을 윤작하는 것이 좋으며, 약제를 사용하여 방제 할 경우에는 약제에 따라 사용방법이 다르고 약해의 우려가 많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약제 방제와 더불어 태양열을 이용하여 하우스 내부의 토양을 소독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참고> 오이 시설재배지 뿌리혹선충 발생 및 관리 방안(2015 영농활용자료)

 

오이 시설재배지 뿌리혹선충 발생 현황


- 전국 오이 시설재배지 224개 포장중 뿌리혹선충이 41% 검출되었으며, 이중 요방제 밀도 이상인 포장은 작물 정식전에 방제를 해야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음

- 오이 뿌리혹선충 요방제 밀도 : 토양 1002기 유충 10마리 이상

 

<오이 시설재배지 뿌리혹선충 방제 대상 지역>

시군

읍면

강원

춘천

우두

경기

용인

남사

충남

공주

우성, 이인

천안

병천

전남

강진군

성전면

구례군

간전면

전북

김제시

백구면

경북

합천군

청덕면

칠곡군

왜관읍

경남

합천군

청덕면


<뿌리혹선충 방제 방법>

방제방법

처리시기 및 방법

 태양열 소독

- 78월에 1개월 이상 토양 소독후 작물정식

 벼재배 또는 담수

- 59월에 3개월 이상 처리후 작물정식

 녹비 작물 재배

- 59월에 녹비 재배(2개월) 후 토양환원(1개월)

반드시 뿌리혹선충 방제용 녹비작물을 사용

 살선충제

- 훈증성 살선충제 : 선충 고밀도 포장

- 비훈증성 살선충제 : 선충 저밀도 포장  

살선충제 처리시 적정 토양 수분 유지

뿌리혹선충 저항성 품종 및 대목 이용 : 토마토, 고추, 가지 등




5. 온실가루이

 

(1) 증상


애벌레와 어른벌레가 진딧물과 같이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어 식물체의 잎과 새순의 생장이 저해되거나 퇴색되며 발생이 많을 경우 시들음이 나타나고 심하면 말라 죽을 수도 있다. 또한 배설물인 감로가 분비된 곳에 그을음병이 발생한다.

 


(2) 형태적 특징


어른벌레의 몸길이는 1.4mm 정도이며 수컷은 암컷보다 다소 작고 몸 색은 옅은 황색이지만 몸 표면에 밀가루모양의 흰 왁스가루로 덮여 있어 흰색을 띤다.

 

(3) 발생생태


어른벌레는 새 잎의 윗면을 선호하여 그곳에 붙어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으면서 알을 낳는다. 알에서 갓 깨어난 1령 약충은 이동하다가 적당한 장소를 찾으면 침모양의 입을 식물체에 꽂아 넣고 정착하며, 2령 이후에는 다리가 퇴화하여 고착생활을 한다.

어른벌레 수명이 암컷은 1730일이고, 수컷은 13.924.5일이고, 암컷은 1일 평균 8개씩 산란하여 150300개를 낳는다.

 

(4) 방제


온실가루이는 발육단계에 따라 약제 반응이 다르기 떄문에 적용약제를 잘 선택하여 방제하여야 하며, 천적으로는 온실가루이좀벌과 곰팡이의 일종인 Verticillium Lecani 등이 있다.

 

< 참고 > 반촉성재배 오이의 온실가루이 분포 및 방제적기(‘14년 영농활용자료)

 

온실가루이 분포 및 조사방법

온실가루이는 오이의 상위 1-4엽까지 주로 분포하고 있어 오이에서 온실가루이를 육안조사시 상위엽 1-4엽의 잎뒷면을 조사하면 효율적인 표본조사법으로 활용 가능

시설내의 온실가루이 최초 발생원

- 시설연동 오이에서의 온실가루이의 최초발생일은 3월 하순으로 외부에서 유입보다 내부에서 월동하거나, 오염된 묘가 발생원으로 추정

- 단동에서는 3월 초순에 발생최초일로 내부에 있는 잡초에 월동한 성충과 묘에 의한 발생원으로 추정

온실가루이 방제적기

- 외부에서 최초 발생일은 4월 중순으로 이후 유입된 성충의 밀도가 증가 하므로 방제적기로 활용

 

그림. 오이 시설재배 형태별 온실가루이 발생상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