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백합과작물

파(12) - 병충해(5) : 무름병(軟腐病), 녹병

by 내오랜꿈 2014. 9. 27.
728x90
반응형


1. 무름병(軟腐病)

 

생육기간 뿐만 아니라 수송 또는 저장 중에도 발생하며, 백합과 작물이외에 십자화과, 가지과, 박과작물에도 발생한다. 땅가의 아래 잎에 수침상의 병반이 생겨 물러 썩고 쓰러지며, 땅 속 줄기도 부패하여 악취를 낸다. 잎에서는 잎맥을 따라 수침상의 작은 병반이 형성되며 물러 썩으며, 비늘줄기에서는 담갈색 수침상의 병반이 형성되며 점차 내부 조직이 물러 썩는다. 토양 중에 부생적으로 생존하며 물을 따라 이동하여 식물체의 상처부위로 침입한다.



병원균은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로 십자화과, 가지과, 박과에 발생하는 무름병균과 같은 균이다. 토양에서 생존하며 최적 생육온도는 3235이고 약알칼리성에서 잘 번식한다. 온도가 높고 다습한 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며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연약하게 자라 병 발생이 많아지고, 수확할 때 비늘줄기에 상처가 있으면 저장 유통 중에도 발생한다. 방제방법으로는 병 발생이 심한 밭은 비기주(병이 발생하지 않는 작물) 작물로 23년 동안 돌려짓기 하며 배수가 잘되게 하고 유기물을 시용하여 식물체가 튼튼하게 자라도록 한다. 병든 식물체는 발견 즉시 제거하여 매몰 또는 불에 태우며 수확 후 병든 식물체도 모두 모아 제거한다. 병 발생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한다.



 

2. 녹 병

 

. 발생현황



, 마늘, 양파 등에 발생한다. 봄 뿌림 파에는 가을과 겨울에, 가을뿌림 파에는 다음해 봄꽃이 필 때와 비가 올 때 발생이 많다. 전국적으로 발생하며 무안, 고흥, 남해 등 전남지방과 제주도에서 피해가 크며, 의성, 단양, 영동 등 의 내륙지방에서는 병 발생이 적다.

 

. 병원균(Puccinia allii)


진균계의 담자균문에 속하며 겨울포자(동포자)와 여름포자(하포자)를 형성한다. 여름포자는 단세포 구형으로 크기는 2244×1632이며, 겨울포자는 담갈색의 곤봉상의 타원형으로 한 개의 격막이 있고 그 크기는 5684×1825이다. 병원균은 순활물 기생균으로 인공배양이 불가능하며 파속식물에 기생한다.

 

. 병 징


잎과 꽃줄기에 처음 황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적황색으로 변한다. 진전되면 감염부위가 융기되고 균열되어 적황색의 분말(여름포자)이 분출되며, 병반부위에 생긴 여름포자가 바람에 날려 2차적으로 공기전염을 하며, 56월 수확기에는 병반이 회색 내지 흑갈색으로 변한다. 병이 심하게 걸린 파는 잎 전체가 주황색으로 말라죽는다.

 

. 발생생태


발병환경


6월에 기온이 저하되어 서늘하면 병 발생이 많아지고 특히 따듯한 지방에서 온도 가 내려갈 때 피해가 크다. 생육후기에 쇠약하게 자라면 발병이 심해지고, 비료가 부족하여 생육이 불량할 경우에도 병 발생이 많다. 기온은 2223이하로서 강우가 많은 해에 많이 발생하며 24이상에서는 발생이 매우 적다.

 

전염방법


병원균은 피해식물에서 겨울포자의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공기 중 에 날려서 전파되고 기공을 통하여 침입한다. 여름포자는 2차 전염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아에 알맞은 온도는 918로서 저온균에 속하고 22이상에서 는 발아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 방제대책


병든 식물을 일찍 제거하고 포장에 병든 식물체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계속해 서 해마다 병이 발생하는 포장은 다른 작물을 돌려짓기 하고, 비료가 부족하면 웃거름을 사용하여 초세를 양호하게 하여 준다.

파에 등록된 약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