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백합과작물

파(9) - 병충해(2) : 검은무늬병(黑斑病), 잎마름병(葉枯病)

by 내오랜꿈 2014. 9. 27.
728x90
반응형


1. 검은무늬병(黑斑病)

 

. 발생현황

 

노균병과 함께 파, 양파에 흔히 발생하는 병해로 511월에 걸쳐 발생하지만 89 월에 많이 발생한다. 특히 여름철에 온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올 때 피해가 심한데 많이 발생하는 해는 발병주율이 2030% 정도까지 나타난다.



. 병원균(Alternaria porri)

 

진균계의 불완전균에 속하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긴 곤봉형의 분생포자를 형성한 다. 분생포자는 갈색이며 길이는 50120×1520이고 513개의 횡경막과 14개의 종경막을 가지며 곤봉형의 긴 꼬리(beak)가 있다.


병원균의 생육온도는 535이며 생육적온은 25내외이고 발아적온은 2427, 최적 pH6.0이다. 병원균은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종자의 표면이나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 병 징

 

잎과 꽃자루에도 발생하나 주로 잎에 피해가 크다. 처음에는 타원형 또는 방추형 의 담갈색 병반으로 나타나고, 세로로 길게 진전되면서 여러 겹무늬의 대형병반으 로 확대되며 때로는 자색의 겹무늬로 나타나기도 한다. 병반 중앙에는 동심원상으 로 검은색 가루(분생포자)가 무수히 생기고, 병반은 건조하면 뚫어지기 쉬우며 심 한 경우 잎이 안쪽으로 굽어지며 그 부분이 꺾이고 점차 잎 전체가 말라 죽는다.

 

. 발생생태

 

발생환경


생육후기에 비료기가 떨어지고, 생육이 부진하거나 연약할 때 많이 발생한다. 또 한 온도가 비교적 높고, 비가 많이 온 후에 발생이 많아진다.

 

전염방법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종자의 표면이나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제1차 전염원이 되고, 2차 전염은 병반에 생긴 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공기를 통 해 이루어진다.



. 방제대책

 

재배적 방제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고, 병든 잎이나 줄기는 일찍 제거한다. 발병이 심한 곳은 1~2년 동안 백합과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 하며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작물의 생육 중에 비료가 부족하지 않도록 퇴비 등 유기물을 시 용하여 균형시비를 한다.

 

화학적 방제


발병 초부터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2. 잎마름병(葉枯病)

 

. 발생현황

 

검은무늬병과 더불어 주로 발생하며 온도가 높고 비가 자주 오는 해에 많이 발생 한다. 전국적으로 발생하며 생육후기인 5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기 인 6월 하순경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양파, 쪽파 등에서도 발생하나 마늘에서 피 해가 가장 크다.

 

. 병원균(Pleospora herbarum: 분생포자세대 Stemphylium botryosum)

 


병원균은 진균(곰팡이)계의 자낭균에 속하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가마니 모양의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담갈색, 타원형으로 여러개의 종경막과 횡경막이 있고 그 크기는 2550×1825이며, 분생포자는 형태적으로 자낭포자와 비슷하고 그 크기는 2540×2030이다. 이 병원균은 파와 마늘을 비롯한 파속 식물에도 병을 일으킬 수 있으나 마늘에서 가장 피해가 크다. 병원균은 332온도범위에서 생육하고 비교적 고온을 좋아 하나 분생포자의 발육적온은 2025이다.

 

. 병 징

 

잎에 주로 발생하나 줄기, 종다리 등에도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회백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병반주위가 담갈색을 띠며 중앙부위는 적갈색으로 변 하는데 간혹 흑갈색 병반만 형성될 때도 있다.


오래되면 병반이 상·하로 길게 확대되고 심하면 잎 끝까지 잎맥을 따라 변색되며, 병반상에는 검은 곰팡이(분생포자)가 밀생 한다. 잎집이나 종다리에도 잎의 병징과 같이 형성되며 심하면 줄기가 마르고 구부러지는 수도 있다. 검은무늬병처럼 겹둥근무늬는 형성하지 않는데 발병이 심한 포장은 밭전체가 불에 그을은 것처럼 까맣게 보이기도 한다.


. 발생생태

 

발병환경


강우가 많고 온도가 높은 해에 발생이 많으며, 질소질 비료를 지나치게 쓰면 식물체가 웃자라거나 질소비료가 부족하여 식물체가 연약하면 병 발생이 많아진다. 하우스재배나 이어짓기(연작)하는 포장에도 병 발생이 증가한다. 토양산도는 5.56.0 정도가 적당하며, 배수가 잘되고 부식 퇴비를 충분히 시용한 포장에서는 발병 이 적다.

 

전파방법


피해 잔사물에 붙어있는 분생포자나 균사생태로 토양 속에서 또는 종자표면에서 자낭각 또는 분생포자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 부위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된 다. 2차 전염은 병반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주위포장에 퍼진다.



. 방제대책

 

재배적 방제


병든 잎은 일찍 제거하고 수확 후 이병 잔재물을 깨끗이 제거하며 균형시비를 하 여 식물체가 강건하게 자라도록 한다.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도록 하며 물 빠짐을 좋게 하고 부식퇴비를 충분히 시용한다.

발병이 심한 곳은 23년 동안 돌려짓기 하고, 건전종자를 사용한다.

 

약제방제


현재 파 잎마름병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는 없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