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백합과작물

파(8) - 병충해(1) : 파밤나방, 노균병(露菌病)

by 내오랜꿈 2014. 9. 27.
728x90
반응형



1.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 피해증상


파밤나방은 나비목 밤나방과에 속하며 국내에서는 1926년 황해도 사리원에서 사탕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최초로 기록되었고 최근에 남부 지방 밭작물을 중심으로 발생량이 증가되고 있다. 성충(다 자란 벌레)의 체장은 1015mm 정도이며 앞날개는 회갈색으로 중앙부에 연한 황색 또는 황색의 반문이 있다. 유충(애벌레)12령 때는 황녹색이며 3령 이후에는 체색 변이가 심하고 녹색 또는 갈색이 많은데 옆에는 뚜렷한 흰선이 있고 숨구멍 주위에는 핑크색의 반달무늬가 있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해충의 하나로서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열대 지방으로부터 아열대 지방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장거리 이동성 해충으로서 4일 동안 약 4,000마일 이상을 쉬지 않고 날아갈 수 있다.


기주는 그 범위가 넓어 채소, 화훼, 과수 등 40200여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 에서는 채소류로 파, 배추, , 시금치, 고추 등 13, 화훼류로 국화, 안개초 등 6 , 전작물로 땅콩, , 감자 등 12, 기타쇠무릅, 개비름 등 10종으로 총 41종이 확인되었다.


성충이 파 잎 표면에 2050개씩의 알을 무더기로 산란하며 알에서 깨어난 어린 유충은 표피에서 잎살을 갉아먹지만 23령으로 자라면서 파속으로 들어가 안쪽 에서 표피만 남기면서 가해하다가 45령이 되면 잎 전체에 큰 구멍을 뚫으면서 가해하고 노숙유충이 되어 땅 속으로 들어가 번데기가 되고 날개가 있는 성충이 되어 잎에 산란한다. 파밤나방은 아열대성 해충으로 특히 여름기온이 높은 해에 발육환경이 좋아 대발생되는 경우가 있고, 피해가 극심한 포장에서는 새잎이 출현되기도 전에 집단으로 식해하여 파를 말라 죽이는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



. 형태

 

성충은 1520mm 정도이고 앞날개는 폭이 좁은 황갈색이며 중앙에 연한 점이 있고 옆에 콩팥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희고 반투명하며, 노숙유충은 35mm 정도이며 녹색인 경우가 많은데 번데기는 땅속에 서식하고 크기는 1520mm의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밝은 가지색이다.



. 생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월동태가 확인되지 않아 외국에서 날아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남부지방에서 파밭에서 성충은 5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0월까 지 발생된다. 성충밀도는 89월에 높은 경향이고 유충피해는 710월까지 발생되었고 89월에 피해가 가장 심했다(그림 4-12).


성충은 파 잎 표면에 알 덩어리를 산란하고 자신의 털로 덮으며 부화하면서 주로 잎 끝 쪽으로 이동하여 식물체 내부로 들어가 표피만 남기고 잎살을 가해한다. 피 해 잎은 끝부분부터 하얗게 마르고 점차 자라면서 중간 부분에 구멍을 뚫고 계속 섭식한다.



. 방제

 

파밤나방은 담배거세미나방과 함께 약제 저항성이 높은 해충이고 충태별 약제 감수성이 다르기 때문에 약제 감수성이 비교적 높은 어린 12령 시기에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더욱이 파의 경우에는 유충이 자라면서 잎 속으로 들어가 가해하므로 약제에 접촉될 기회가 적어 방제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파 잎 속에 들어가기 전에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노균병(露菌病)

 

. 발생현황

 

, 가을 2회에 걸쳐 발병하며, 특히 4월 중순5월 중순경 기온이 낮고 비가 자주 올 때 많이 발생한다. 양파에서는 묘상에서부터 발생하기도 하며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 조건에서 발생이 심하다.

 

. 병원균(Peronospora destructor)

 

병원균은 물을 좋아하는 크로미스터계 난균문의 일종으로 분생포자와 난포자를 형성한다. 유주자낭의 크기는 174×2982이며, 난포자의 직경은 2835이 다. 분생포자의 형성적온은 1013이며, 발육적온은 15내외이고 발아적온은 10이다. 25이상에서는 포자형성이 억제되며 절대기생균으로 인공배양이 되 지 않고 살아있는 생물체(기주)에서만 기생한다.

 

. 병 징

 

주로 잎에 발생하며 꽃대에도 발생된다. 처음에는 타원형의 황백색 병무늬가 생기 고 그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핀다. 이슬이 남아 있을 때 희미한 회색 또는 보라 색 줄무늬 병반위에 보드라운 털 같은 병원균의 균사체가 관찰된다. 병이 진전되면 병든 잎은 말라죽는다. 전신 감염주는 잎에 광택이 없어지고 담황록색으로 변하며 옆으로 구부러지고 생육도 쇠퇴한다. 심하게 발병되면 병든 잎 전체가 말라 죽기도 한다.



. 발생생태

 

(1) 발병환경


병 발생이 영향을 주는 환경조건은 병원균의 밀도, 습도 그리고 온도이다. 상대습도가 96% 이상일 때 병원균은 유주자낭을 형성하며, 100%일 때 유주자가 발아하며, 기주식물체 표면에 물기가 2시간 이상 유지되면 기공을 통해 침입하고 1017 일 이후 외부 병징이 나타난다. 기온이 1015이고 다습할 때 많이 발생하며,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거나 부족하여 연약하게 자랄 때 많이 발생한다.

 

전염방법


난포자의 형태로 병든 식물의 잔재물이나 균사의 형태로 비늘줄기(인경)에 붙어 서 월동하여 이듬해의 전염원이 된다.

 

. 방제대책

 

건전한 모종을 이식한다.

포장을 청결히 하고 잎에 물방울이 장시간 맺혀 있지 않도록 한다.

환기를 철저히 하여 과습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여 웃자라지 않도록 한다.

이병 잔재물은 모두 모아 태우거나 땅속 깊이 매몰한다.

묘상에서부터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전염원의 확산을 막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