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아가는 모습/농사

브로콜리, 너마저 없었다면...

by 내오랜꿈 2016. 3. 18.
728x90
반응형


양배추나 브로콜리 종류는 수천 년 전부터 터키를 중심으로 하는 지중해 동부 연안에서 재배되고 있던 케일에 기원을 두고 있다. 야생 잡초처럼 자라던 케일을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양배추형, 브로콜리형, 콜라비형, 케일형 등으로 분화되어 온 것으로 보고 있는 것. 그 중에서 브로콜리는 17세기까지도 품종이나 재배와 관련된 아무런 기록이 없다고 하는데 현재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브로콜리 품종이 육종된 것은 19세기에 들어와서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비교적 최근인 1970년대 말에 도입되어 시험재배 되다가 1980년대 초부터 일반농가에서 재배하기 시작했지만 본격적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건 2000년대 들어와서다. '농림부' 자료를 보면 1995년에 브로콜리 생산량은 겨우 160톤 정도였는데 2005년에는 25,483톤으로 급증한다(농림부, "채소생산실적", 2012). 10년 사이에 160배나 늘어난 것이다. 웰빙 바람에 따른 기능성 채소의 인기에 편승한 결과다.



▲ 텃밭의 브로콜리와 양배추 종류들. 브로콜리는 사진에서 보듯 대부분 목이 잘린 상태다. 지금은 주꽃송이를 수확한 뒤 곁가지에서 새로 생긴 작은 꽃송이들이 올망졸망 자라고 있다.


이론적으로 양배추 종류의 내한성은 -3℃ 정도로 보고 있는데 중만생종 브로콜리의 경우 극한조건이 아니라면 -8℃ 정도까지도 견디는 것 같다. 브로콜리는 재배 작형에 따라 60~70일이면 수확 가능한 극조생종부터 120일 가까이 가까이 걸리는 만생종까지 다양한데 우리나라는 기후 특성상 주로 가을재배나 월동재배를 하는 까닭에 중만생종이 많이 재배된다. 


지금 텃밭엔 50여 포기의 양배추 종류가 있는데 대부분 브로콜리다. 지난 겨울, 이곳은 4~5일 정도 -10℃까지 내려가면서 영하의 온도가 지속되었는데도 텃밭의 브로콜리는 대부분 살아남아 꽃봉오리를 피우고 있다. 반면에 양배추는 일부 얼어죽거나 살아남았다 해도 결구를 하지 못 하고 있다. 결구하지 못한 양배추는 거의 쓸모가 없지만 브로콜리는 꽃봉오리가 작든 크든 수확해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큰 꽃봉오리를 수확하고 난 뒤 곁가지마다 작은 꽃봉오리가 새로 피어나는 까닭에 가을재배 브로콜리는 이듬해 봄까지 수시로 수확할 수 있다. 전업농에서야 상품성이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되겠지만 텃밭농사에서는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한꺼번에 수확해야 하는 것보다는 수시로 수확할 수 있다는 게 얼마나 큰 장점인지 직접 길러서 먹어 보면 알 수 있다.



▲ 곁가지에서 자란 브로콜리 꽃송이들. 메인 송이보다는 작지만 아이 주먹 만한 꽃송이들이 쉼 없이 올라오고 있다. 월동하는 동안 힘을 비축한 탓인지 봄이 되자 거둬 먹기가 감당불가능할 정도로 왕성하게 자라고 있다.


사실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처음 몇 년 동안은 양배추만 재배했었다. 그조차도 고추나 감자, 고구마, 마늘, 양파, 배추 등 다른 작물에 밀려 그냥 공부하는 셈 치고 심어보는 작물이었다. 그런데 직접 키워서 먹어 보니까 마트에서 사 먹는 것과는 맛이나 식감에서 비교가 되지 않았다. 양배추가 이렇게 맛있는 채소였나 하는 생각이 들게끔 만들 정도였던 것. 그래서 양배추를 주재배 목록에 올리면서 브로콜리와 케일도 키우게 된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역시 긴 재배기간과 짧은 수확시기. 양배추나 브로콜리는 보통 파종부터 수확까지 100일에서 120일 정도 걸리는 작물이다. 케일은 수시로 잎을 따 먹을 수 있기에 긴 재배기간이 문제가 되지 않으나 양배추와 브로콜리는 한꺼번에 수확한 다음 저장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판매 목적이 아니라 자급용으로 키우는 것이니 발생하는 문제인 것. 부지런히 먹거나 나눔 하는 수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 컬리플라워. 꽃송이를 품고 있다가 온도가 올라가자 바로 꽃을 피워버린다. 곁가지에서 새로운 꽃송이도 자라지 않는다.

▲ 방울다다기양배추. 방울다다기도 의외로 내한성이 강한 것 같다. 양배추는 결구하지 못 하는데 방울다다기양배추는 작은 송이들을 부지런히 결구시키고 있다.


그런데 브로콜리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지를 주고 있다. 가을재배 브로콜리는 메인 꽃봉오리를 수확하고 난 뒤 월동시키면 겨울 동안 곁가지에서 수시로 작은 꽃봉오리가 생기는 까닭에 순차적으로 수확해서 먹을 수 있는 것. 내한성도 양배추보다는 확실히 강한 것 같다. 적어도 내 텃밭에서는 증명되는 사실이다. 또한 꽃송이를 먹는 채소라 월동한 다음의 꽃송이 상태도 걱정되었는데 컬리플라워와 비교했을 때 저온감응에 견디는 힘도 훨씬 강한 것 같다. 보통 저온감응형 식물은 저온에 노출되었다 온도가 올라가고 장일조건이 가까워지면 화아분화가 형성되어 꽃을 피우는데 브로콜리는 바로 꽃을 피우지 않고 일정 정도는 덩치를 키우는 작업을 수행한다. 반면 컬리플라워는 꽃송이의 크기에 상관없이 곧바로 꽃을 피워버린다. 꽃송이를 먹는 작물이기에 급작스럽게 꽃을 피워버리면 어떡하나 걱정했는데 이 문제 역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게다가 먹는 방법도 양배추보다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어찌 아름답지 않을 수 있겠는가.


'남자가 버섯을 먹을 때, 여자는 브로콜리를 먹어라'는 말이 있다고 한다. 그만큼 여성에게 좋은 음식이라는 말일 텐데, 브로콜리에 많이 함유된 식물성 화학물질인 '인돌3카비놀'이란 성분이 유방암의 악화 요인인 에스트로겐을 완화시키고, 자궁경부암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파빌로마 바이러스도 억제한다고 한다. 물론 난 특정 음식 하나가 무슨 병을 치유한다거나 예방한다는 식의 '음식건강지상주의'에는 거부감이 강한 편이다. 건강을 위해서는 음식보다는 운동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에 한 표를 던지는 사람이다. 자고로 산삼 먹는 사람보다는 산삼 캐는 사람이 훨씬 더 건강하다는 건 만고불면의 진리니까. 하지만 브로콜리가 몸에 좋은, 다음과 같은 과학적 사실까지 부정하지는 않는다. 브로콜리에는 비타민 C가 레몬의 2배이고 철분은 모든 채소 중에서 가장 많이 들어 있는 편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비타민 C와 철분은 함께 섭취할 때 흡수율이 높다고 한다. 브로콜리 한 덩이면 한 방에 해결되는 셈이다. 앞으로 브로콜리를 더 많이 사랑할 것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