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고 보고 듣는 것들/Book

『감시와 처벌』 - 지금 누군가 날 감시하고 있다

by 내오랜꿈 2007. 9. 19.
728x90
반응형

 

지금 누군가 날 감시하고 있다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오늘, "바람돌이의 서재"에서 CCTV에 얽힌 에피소드 하나를 접했다. 이 CCTV를 통해 감시 문제는 단순하게 사생활 침해니 아니니 하는 차원의 접근에서 인권의 문제로 나아가는 게 가장 일반적인 접근일 것이다. 그런데 참 아이러니 한 것은 그 글을 쓴 바람돌이 역시 자신이 어느 정도는 사생활 보호라는 측면에서 거부감이 강한 CCTV와 같은 '일상적인 감시자의 시선'이란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교사라는 그의 신분적 위치에서 발생하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긴 하지만 그도 자신이 거부하는 감시자의 시선을 일상적으로 발휘할 수밖에 없는 이 기묘한 이중성.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교실의 배치에서 '교단'이란 게 아직 존재하는지 모르겠다. 항상 피감시자보다 높은 위치에 서는 교단의 위치. 하지만 사실 이것은 벤덤의 판옵티콘과 같이 눈에 보이는 감시자의 시선이기에 즉자적이다. 

그러나 문제는 '보이지 않는 권력'이 작동하는 통제 메카니즘이다. 바람돌이의 에피소드에서 CCTV의 존재라는 말 앞에서 스스로 자수하는 아이들의 모습. 그것은 이미 보이지 않는 '권력이 작동하는 통제 메카니즘'에 길들여진 주체에 다름 아니다. 아이들은 이미 CCTV라는 권력 앞에 게겨봤자 자기한테 더 큰 손해가 돌아올 것이라는 나름대로의 '합리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자수하는 길을 택하는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감시자의 시선을 스스로 내면화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렇게 내면화한 감시자의 시선이 궁극적으로 의미하는 것을 분석한 책이 바로 <감시와 처벌>이다. <감시와 처벌>에 따르면 17세기 파리 시민 100명당 1명 꼴로 정신병원이라는 거대한 집단 수용소에 감금되어 길들여지는 과정을 겪었다고 한다. 이들이 감금되어진 이유는 근대 자본주의 사회가 필요로 하는 노동력에 포섭되어지길 거부하는 '부랑자'라는 것이었다. 곧 경작할 농토를 '양이 사람을 잡아먹는 과정'을 거쳐 빼앗긴 중세의 농민들이 도시로 몰려들어 집시처럼 부랑자가 되고 이것은 근대 부르조아지의 입장에서 보자면 부려 먹을 노동력 부족의 근본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러니 이들을 잡아들여 근대 사회가 요구하는 도덕 곧, 떠돌지 말고 가족을 이루어 노동력 재생산의 구조를 이루고 먹고 살 만큼이라도 주는 대로 받고 공장에 들어가 일을 해야 한다는 그 '잘난' 도덕으로 길들여지는 과정 말이다. 

푸코는 <광기의 역사>나 <감시와 처벌>의 분석을 통해 우리가 흔히들 우리 행동의 규범적 준거틀로 알고 있는 '합리성'이니, '이성'이니, '도덕'이니 하는 것들은 이렇듯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성립 이후에 확립된 사회통제 메커니즘에 다름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만고불변의 진리가 아니라 시대가 변하면 새로운 도덕, 새로운 메카니즘으로 변화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이렇게 변할 수 밖에 없는 도덕이라는, 윤리라는 이름 뒤에 숨어있는 사회적 위선이라는, 사회적 업압(장치)들을 볼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게 말처럼 쉽지가 않다는 것이다. 주류 사회의 '사회통제 메커니즘'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광범위하고 교묘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감옥이나 군대, 경찰 등 눈에 보이는 억압기제의 문제보다는 사회적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자기검열'이라는 세뇌교육의 집요함 같은 것.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알아서 기게 만드는', 보이지 않는 권력의 존재. 곧 합리성이라는 이름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규율과 규칙에 길들여짐으로써 생성되는 무의식적 자기 검열(CCTV라는 존재 앞에 '알아서 기는' 아이들을 생각해보라). 

마치 기계장치처럼 무의식적으로 각인되어 신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이런 통제 메커니즘을 푸코는 '생체권력'이라고 부른다(<성의 역사1 :앎의 의지>). 이것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개개인의 의지와 사고를 규칙과 규율에 따르게 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정의되는 '주체' 내지는 '인간'으로 만들어지게 되고, 이렇게 '생산된' 주체들은 마치 자기 자신이 가장 합리적이고 평균적인 사고를 하는 존재들로 인식되어지게 된다고 한다. 

하여 이 범위를 벗어나는 사고와 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인간'이 아닌 자로 간주되어 '아웃사이더'로 낙인 찍히고, 이들 아웃사이더들은 주류사회에서 배척되고, 심하면 감금되어 인간으로 '갱생'하는 처벌을 받기도 한다. 적어도 이 '아웃사이더'의 존재는 우리 사회와 체제를 위협하는 가장 암적인 존재로 낙인 찍히게 되는 것이다. 

어쨌거나 자그마한 인내력만 담보된다면 <감시와 처벌>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written date:2007 09 19

 

------------------------------------------------- 

 

유능한 시험 감독관은 대개 교실 뒷편에 선다. 가끔 헛기침이나 발소리를 효과음으로 덧붙이면 효과는 훨씬 커진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교사는 학생들을 볼 수 있지만 학생들은 그를 볼 수 없다. 감히 뒤를 돌아볼 수 없는 이상 학생들은 시험 시간 내내 '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단순한 감시의 원리는 19세기 초 제레미 벤덤이 설계한 판옵티콘(원형감시장치)의 기본원리이기도 하다. 자본주의의 '왕없는 권력'은 사회를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했다. 애덤 스미스가 시장을 통제하는 '보이지 않는 손'을 발견했다면, 벤덤이 찾아낸 것은 '보이지 않는 눈'이었다. 벤덤이 구상한 것은 집단적 격리와 통제가 필요한 영역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는 원리였다. 그는 판옵티콘을 이렇게 설명한다.

"어떤 부류든 감시되어야 할 사람들을 수용하는 사회시설, 특히 감화원, 감옥, 공장, 작업장, 구빈원, 제작소, 정신병원, 검역소, 병원, 학교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 원리."

판옵티콘은 사회 전반의 조직 원리였다는 점에서 벤덤식 유토피아였다. 

판옵티콘은 빛과 시선을 교묘하게 배치한다. 벤덤의 계획은 중앙의 감시탑 주변에 독방들로 채워진 원형의 건물을 세우는 것이었다. 중앙의 감시탑에는 감시자 한 명을 배치하고 독방 안에는 광인이나 병자, 죄수, 노동자, 학생 등 누구든지 한사람씩 감금한다. 중요한 것은 빛과 시선의 비대칭성이다. 중앙의 감시자는 독방을 볼 수 있지만, 독방에 감금된 자는 결코 감시자를 볼 수 없다. 감금된 자는 빛에 노출되지만 감시자는 어둠 속에 숨는다. 

집단에 속한 개인들이 각자 감시자의 시선을 내면화하여 스스로를 감시할 때 판옵티콘의 효과는 정점에 달한다. 언제 어디서나 '보이지 않는 눈'을 떠올리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동료가 감시자다." 이것이 푸코가 『감시와 처벌』에서 말하는 규율 권력의 작동 방식이다. 규율이 존재하는 어떤 집단에서도 시선의 권력은 작동한다. 군대와 학교, 직장, 심지어는 국가 역시 예외가 아니다. 이 안에는 늘 우리를 지켜보는 또 하나의 눈이 있다.

'자율'이 준법의 동의어로 쓰일 때, 그것은 감시의 시선을 내면화한 결과에 가깝다. 가령 경찰 대신 교통법규 위반자를 감시하는 '카파라치'의 효과가 그것이다. 그들의 사진기는 경찰의 시선을 무한대로 복제한다. 제복을 걸치지 않은 감시자는 시도 때도 없이 출몰한다. 덕분에 운전자는 곳곳에서 감시자의 존재를 실감한다. 이 제도의 진정한 효과는 스스로가 감시자가 되어 자신을 통제하는 것이다. 이쯤되면 '자율'은 자발적 복종의 다른 표현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감옥에 대한 책이 아니다. 우리를 포위하고 있는, 한없이 촘촘한 권력의 시선에 대한 책이다. 그러나 권력을 자유의 억압 정도로 생각해서는 곤란하다고 푸코는 말한다. '보이지 않는 눈'은 개인들에게 일일이 번호를 부여하고 관찰하며 세심히 기록한다. 훈련과 평가가 뒤따르고 규준에 못미치는 자에게는 처벌이 가해진다. 이런 과정을 통해 길들여진 신체는 개인과 집단의 생산적 능력을 증대시킨다.

대신 권력은 저항할 수 있는 힘을 뺀다. 자기 안에서 감시자의 눈빛을 느끼는 자의 복종은 체념을 동반한다. 신체의 효율성은 극대화되지만 '쓸모 없는' 힘은 제거되는 것이다. 말 잘 듣는 '모범생'이 주어진 질서의 밖에서 종종 겪에 되는 당혹감을 생각해 보라. 혹은 명예퇴직한 은행원과 제대 군인이 맞닥뜨려야 할 무력감 따위들!

푸코는 낡은 문서 창고에서 자질구레한 삶의 조각들을 끄집어 내 권력의 격자 위에 펼쳐 놓는다. 권력은 사소한 것들을 통해 작동하며, 일상은 낱낱히 감시의 시선에 노출된다. 근대의 개인은 권력의 씨줄과 날줄이 교차하는 그물코다. 그래서 권력의 그물망이라는 푸코의 비유는 섬뜩하다. 지나치게 비관적이거나 무기력한 결론인가? 그러나 저항은 이 책의 숨겨진 주제다. 들뢰즈의 표현처럼 『감시와 처벌』은 "전투의 흙먼지로 술렁인다." 이 책이 돌연 "멀리서 들려오는 전투의 아우성"으로 끝나는 것도 그런 이유일 것이다.

최태원, 「지금 누군가 날 감시하고 있다」, 『BOOK+ING 책과 만나다』, 그린비(200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