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마늘

마늘 재배 기술(태안군 농업기술센터)

by 내오랜꿈 2012. 2. 21.
728x90
반응형


    육쪽 마늘 재배 기술

씨마늘(종구) 준비

한지형은 바이러스 및 병해충 감염이 적은 종구로 쪽당 4~5g정도인 것

통마늘 파종시 2~4g정도 되는 것으로 파종

병해충의 피해 및 상처가 없고 발근 부위가 건전한 인편

뿌리를 잡아 당겼을 때 뿌리가 단단하게 붙어있는 마늘 선택

장기간 저온 저장된 마늘은 종구로 사용하면 2차 생장마늘 발생


씨마늘 소독

마늘 껍질은 잎마름병균, 뿌리응애알, 선충알 등이 많이 붙어 있으므로 반드시 철저하게 소독해야 한다.

소독약제 : 베노람(수) 500배 + 디메토(유) 또는 스타렉스(수) 1000배액을 혼합하여 1시간 이내로 소독

마늘쪽을 분리하여 충실한 것을 선별하여 그물망에 담아 소독한다.


파 종


포장관리

마늘뿌리는 곧게 깊이 자라므로 파종 2주전에 퇴비와 석회를 고루 뿌린 후 깊이갈이 한다.

경제적 시간적 이유로 깊이갈이 없이 1회로타리 작업 후 마늘 파종에 따른 염류집적 및 경반층 발생으로 수직배수가 불량해지므로 적어도 2~3년에 1번은 깊이갈이하여 작토층을 확보해야 함

석회 시용으로 산성토양 개량, 토양미생물 활성화로 유기물 분해 촉진으로 토양 구조개선 및 시비효율을 증대와 중금속의 분해를 촉진시키고 흡수를 억제시켜는 기능을 가지며 시용량은 10a당 150~200㎏이나 산도(pH)에 따라 가감한다.

미숙된 가축분은 토양은 물론 작물에도 가스 피해가 발생되므로 축분 퇴비는 반드시 완숙시킨 후 시용해야 하고 산야초, 볏짚 등 신선유기물 시용하는 것이 좋으며 시용량은 10a당 1,500~2,000㎏ 정도 살포한다.


유기질비료와 부산물퇴비 비교

구 분유기질비료부산물퇴비
비료성분질소-인산-가리 7%이상규정없음
유기물함량60~70%25%이상
수분함량15~20%45~55%
주원료식물성 유박(깻묵)
동물성 유기물(골분)
농·수·축·임·산업 부산물
(가축분, 톱밥 등)
판매시 발효여부발효 안됨발효시킴

파종 1~2일 전에 화학비료 및 토양살충제를 처리하고 로타리작업을 하고 배수 개선을 위해 두둑을 만드는데 이랑넓이는 약 140㎝정도가 적당하나 여건에 따라 넓이를 조절하여 만든다.


거름주기

마늘의 양분 흡수는 뿌리가 내리면서 시작하며 초기에는 주로 종구의 저장양분을 이용하고 월동 후 쫑이 나오는 시기까지 양분 흡수량이 많다.

비대가 시작하면 양분 흡수가 중지하며 생성된 양분이 마늘통을 키운다.


마늘의 표준시량

(단위 : kg/10a)
비료명
총량
밑거름 
웃거름
1회
2회
퇴 비
석 회
요 소
용성인비
황산가리
(염화가리)
3,000
150
54
40
40
(34)
3,000
150
20
40
12
(10) 
-
-
17
-
14
(12)
-
-
17
-
14
(12)

밑거름으로 마늘전용복비를 사용할 경우 80~100㎏ 내외 시용

추비는 난지형 3월하순, 한지형 4월 하순 이전까지 사용 → 2차 생장예방

유기질퇴비(EM)를 시용할 경우 마늘전용비료 시용량을 1/3로 감량한다.


파종시기 및 파종방법

난지형은 9월 중·하순이며 한지형은 10월 중순~11월 상순에 파종한다.

파종기가 지나치게 빠르면 고온장해 및 2차생장의 원인이 되며 너무 늦으면 겨울철 동해로 인하여 수량성이 떨어진다.

너무 얕게 심으면 통터짐(열구)마늘 발생하므로 5~6㎝깊이로 파종한다.

마늘은 뿌리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세워서 심는다.


씨마늘 소요량(한지형) 및 재식거리

밀식재배를 통한 6쪽마늘 비율 증대로 상품성 향상 요구됨

보통재배 한 줄에 15개정도 파종되어 10a당 36,000쪽(70~80접)

밀식재배 한 줄에 20개정도 파종하면 10a당 45,000쪽(90~100접) 필요


재식거리와 씨마늘 소요량

구 분(10a기준)
한 지 형난 지 형
보통재배
밀식재배
심 는 거 리 (cm)
씨마늘 소요량(접)
20 × 10
70 ~ 80
20 × 7 ~ 8
90 ~ 100
15 × 10
60 ~ 70

잡초방제

마늘밭에 발생되는 잡초는 40여종이 있으나 주로 명아주, 독새풀, 쇠비름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마늘밭에 사용하는 제초제는 파종 복토 후 3일 이내에 처리하는 토양처리제와 잡초가 3~5엽기에 처리하는 경엽처리제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 주의, 제초제 사용시 강우 전·후와 사질토에서 약해우려가 있으며 특히 경엽처리제의 경우 고온기 또는 비닐 피복시에 약해 우려가 더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물주기

토양이 건조하면 양분의 흡수 이용이 어려워 생육 및 뿌리의 발육이 불량해지므로 마늘 파종기인 가을에는 비교적 비가 적어 토양수분이 부족하므로 파종 후 반드시 물주기를 하여 뿌리발육을 촉진시킨다.

4~6월 구비대기는 마늘의 생육 중에 가장 많은 수분을 요구하는 시기이므로 가뭄시 10일 간격으로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30㎜씩 2~3회 충분히 관수한다.

생육 중에는 오후 서늘한 시기에 관수해야 하며 한발이 심한 시기에 갑자기 찬물을 많이 관수하면 스트레스를 받아 장해를 입는다.


마늘 비닐피복재배

한지형마늘은 겨울철 동해를 예방하고 난지형마늘은 수분유지 및 초기 생육을 촉진을 위해 비닐을 피복하여 재배한다.

난지형 마늘 비닐덮기 : 10월상순

한지형 마늘 비닐덮기 : 겨울철 땅이 얼기 직전(12월 상순)

비닐 피복이 너무 빠르면 초기생육이 왕성하여 월동 전 싹이 나오면 동해의 위험이 있으며 벌(2차 생장)마늘이 발생한다.

두둑넓이에 따라 비닐크기를 선택하고 두께는 보통 0.015㎜를 사용한다.

비닐은 보통 무공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제초제 사용 후 비닐을 피복할 경우 4~5일 후에 피복하는 것이 안전하다.

비닐피복 후 등 가스피해예방을 위해 3~4m 간격으로 가스발산 구멍을 뚫어둔다.

비닐제거는 기온이 높은 4월중·하순경에 비닐을 걷어내는 것이 원칙이나 농작업 및 노동력 관계로 걷어내지 못할 때는 지온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 짚 등으로 비닐 위에 덮어준다.

고온기에 비닐을 걷지 않으면 저장 중 갈변되는 원인이 된다.

비닐구멍 뚫기는 싹이 10~15㎝ 정도일 때 유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0㎝이상 자란을 경우 유인작업시 상처가 날수 있다.


마늘쫑 뽑기

마늘쫑은 나오는 시기와 구비대기가 일치하므로 나오는 즉시 2~3회에 걸쳐 뽑아 줘야 마늘통이 충실해 진다.

마늘쫑 제거가 늦으면 구비대가 나빠져 수량성 낮아짐

마늘쫑 뽑는 시기가 늦어 잎줄기가 넘어질 우려가 있을 때는 쫑만 잘라줌

가급적 아침 일찍 또는 해질 무렵에 뽑는 것이 좋다.

주아재배에 이용할 건전한 쫑은 남기고 제거한다.


웃거름 시용

3월부터 4월 하순 이전까지 2~3회 나누워 준다.

10a당 시비량은 요소 6㎏와 황산가리 4㎏ 또는 N-K비료 10~15㎏ 시용

※ 웃거름 시용시 유의사항

반드시 생육이 부진할 경우만 시용한다.

4월 하순이전까지 웃거름 시용을 완료해야 한다.

최근 유기질퇴비, 가축분퇴비, 전용비료 사용에 따라 비료성분이 봄까지 서서히 녹아나오는 완효성 성분이므로 웃거름 시용하지 않아도 될 경우가 많다.



 주요 병해충 방제 대책

흑색썩음균핵병


발생현황

마늘의 흑색썩음균핵병은 1988년 전남 고흥에서 처음 발생한 후 전국으로 확산 되어 특히 난지형마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흑색썩음균핵병은 토양전염성 병해로 마늘은 물론 파속 작물에 피해가 크다.


발생원인 및 증상

병원균은 진균계의 불완전균으로 소형균핵을 형성한다.

병원균의 생육온도는 2~30℃이며, 20~25℃가 병원균 발생의 최적온도이다.

토양 중에서 월동하며 주로 뿌리와 줄기(인편)에서 발생한다.

난지형마늘이 한지형마늘보다 발생율이 월등히 높다.

저온성병균으로 마늘 파종과 동시에 가을부터 마늘뿌리부위로 침투하며 이듬해 2월 하순부터 급격히 증가, 4월에 피해가 가장 큼

주로 연작지에서 뿌리응애, 선충피해와 동시에 발생

감염된 종구, 농기계에 묻은 흙에 의해서도 전염이 잘 됨


발생현황

마늘의 흑색썩음균핵병은 1988년 전남 고흥에서 처음 발생한 후 전국으로 확산 되어 특히 난지형마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흑색썩음균핵병은 토양전염성 병해로 마늘은 물론 파속 작물에 피해가 크다.


방제방법

한번 오염된 토양은 근절 대책이 어렵기 때문에 철저한 예방이 중요

병원균 감염이 없는 건전한 종구를 선택해야 함

한번 발생된 포장에서는 마늘, 파속 작물을 4~5년간 돌려짓기 한다.

반드시 종구를 소독하여 파종할 것

베로람(수), 카스텔란(수) 500배 침지소독 및 분의처리(2g/종구㎏)

감염된 지역에서 농기계 사용 후 반드시 소독 세척하여 사용

약제방제 : 적용약제는 대부분 파종시 예방위주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가 높다.

입제농약은 파종전 토양혼화처리 : 헥사코나졸(안빌), 플루톨라닐(몬카트) 9㎏, 플루퀸코나졸(카스텔란) 4㎏, 아이소프로티올레인(후치왕 등) 6㎏/10a

수화제 및 유제농약을 파종 전·후 1,000~500배로 예방위주로 관주하고 2~3월 발병초기에 약액이 토양에 충분히 스며들도록 관주한다.

※ 발병된 후 무분별한 약제 살포는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잎마름병


원인 및 증상

병원균은 진균의 일종인 자낭균으로 3~32℃에서 생육한다.

병발생 최적온도는 20~25℃로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다.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마늘이 연약하여 병발생이 많아진다.

잎에 도열병반과 같이 발생 후기에 검은 무늬로 말라 죽음


방제대책

수확 후 병든 마늘 줄기와 잎을 포장에 남아있지 않도록 제거해 준다.

4월 하순 ~ 5월 상순부터 예방위주로 방제한다.

발생초기에는 잎마름병 적용약제를 10간격으로 3~4회 처리한다.

생육 후기에 발생된 잎마름병균은 저장 중 마늘통에 피해를 줌

마늘이 연약하게 자라지 않도록 균형시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녹 병


원인 및 증상

병원균은 진균계 담자균에 속하며 동포자, 하포자로 구분한다.

하포자 발아적온은 9~18℃이며 20℃전·후 비가 많이 오면 쉽게 발생한다.

4~5월에 저온 다습한 경우 거름기가 부족할 때 발생이 많다.

특히, 안개와 해무가 많은 해안가에서 주로 발생한다.

잎에 적황색의 반점이 생기며 급속하게 확산되고 결국 말라죽는다.


방제대책

월동 후 생육이 부진할 경우 추비시용으로 세력을 회복시켜 준다.

생초기 방제가 중요함

방제약제 : 메트코나졸(살림꾼) ⇒ 잎마름병과 동시방제 약제

마늘 녹병에 등록된 약이 7종정도이며 교호 살포하는 것이 좋다.


고자리파리


원인 및 증상

유충이 작물의 뿌리와 인경 및 줄기 속까지 가해함

덜 썩은 퇴비나 인분을 주었을 때 많이 발생

4월, 6월, 10월 등 연 3회 발생하며 겨울이 따뜻할 때 많이 발생

가을에 발생한 유충은 번데기로 월동하며 4월에 성충이 된다.


방제방법

마늘 파종 전 토양살충제 전면처리와 3월 상순 방제약제 살포

완숙퇴비를 사용하고 인분사용 지양

방제약제처리 : 비닐제거 후 골고루 살포 후 긁어 준다.


뿌리응애


발생원인 및 증상

주로 마늘의 뿌리 부위를 집단으로 가해하여 내부까지도 썩음

온도와 습기가 높고 산성토양일 때와 덜 썩은 퇴비 사용시 많이 발생

생육기 발생 피해도 있지만 주로 저장 중 피해가 큼


방제방법

석회를 주어 산도를 교정

씨마늘 소독을 철저히 하고 살충제 살포

발생초기 적용약제를 충분히 스며들도록 관주

방제약제 : 디메토(유), 피라크로포스(수), 포레이트(입) 등


구근선충


발생원인 및 증상

마늘의 껍질과 껍질사이에 침입하여 즙액을 빨아 먹음

충은 알 상태로 마늘종구 껍질에 묻어 감염됨

생육기간 중 연 3회 발생하는데 주로 11월과 3월에 피해가 큼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피해가 심하다.


방제방법

파종전 토양살충제를 살포하고 포장이 과습되지 않도록 배수관리

씨마늘을 디메토 유제 1,000배액에 소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

방제약제 : 에토프(입), 카두사포스(입), 포스치아제이트(입) 등



 주요 생리장해 및 대책

2차 생장마늘(벌마늘)


2차 생장의 원인

2차 생장의 발생요인은 유전적요인과 기상 및 재배환경에 따라 발생됨

① 유전적 요인으로 난지형보다는 한지형에서 발생이 많음

② 기상 요인으로 구형성기에 단일조건이 가장 결정적으로 작용함

겨울이 지나치게 따뜻하거나 사질토양에서 생육이 촉진되어 인편 분화가 빨라질 때 일장이 부족하면 2차 생장 발생이 많음

일조량 부족으로 광합성이 억제되어 생장촉진물질 분비

구형성기 강우에 의한 토양 과습에 의한 질소비료 흡수 촉진

③ 재배적 요인으로 비닐멀칭에 의한 지온 상승과 수분 증발 억제 및 질소질비료 과용 및 추비시용 시기가 늦을 경우 발생


예방대책

적기에 심도록 하고 모래참흙에서 가급적 재배하지 않는다.

질소질 거름을 알맞게 주고 웃거름을 제때에 준다.

큰 마늘쪽(7.5g이상)은 가급적 심지 않도록 한다.

심을 때는 반드시 6~7cm 깊이로 심고 봄에 북을 준다.

통이 자라는 시기에 배수관리 철저

봄에 비가 자주올 때 비닐 피복을 반드시 제거한다.


잎끝 고사현상


고사 원인

생육기에 기온이 25℃이상에서 잎이 누렇게 변색되는 형상

토양이 너무 건조하거나 습할 때 칼리 흡수가 되지 않아 잎 끝이 마름


예방대책

토양습도를 적절히 유지 : 가뭄시 1~2회 관수

석회 및 완숙퇴비를 충분히 시용

칼리질(황산가리) 비료를 웃거름으로 시용(6㎏/10a)



 수확 및 저장

수확적기

줄기와 잎이 1/2~2/3정도 누렇게 말랐을 때(한지형 : 6월 중순)

너무 일찍 수확하면 수량성이 떨어지고 저장 중 부패하기 쉬우며 너무 늦게 수확하면 열구현상이 심하여 상품성이 떨어짐

토양이 습하지 않을 때 맑은 날을 택하여 상처가 없도록 수확

수확시 마늘에 붙은 흙을 털기 위해 수확 창이나 삽 등에 두드리면 상처가 생기 므로 손으려 비벼서 털어내는 것이 좋다.

수확 후 3~5일간 햇볕에서 물기를 말린다(예건).


한지형마늘 수확 시기별 수량

수확시기6월 20일6월 25일7월 1일
수량(㎏/10a)
794
821
818

마늘건조

수분함량이 높은 상태로 저장할 경우 호흡과 증산 작용에 의하여 미생물 번성이 많아 쉽게 썩으므로 적극적인 예건 필요

수확 후 수분함량이 80%이므로 건조기 이용 40℃이하로 3~5일 건조


마늘의 수분함량 비교

구 분수확직후(%)건조후(%)
외피76.613.4
내부줄기85.821.5
인편
66.3
65.7

건조기별 건조 소요일수 (수분함량 65% 기준)

관 행
(단으로 결속)
벌크건조기
(40℃)
다목적 건조기
(환 풍)
28일
5일
7일

변질 개체수 (40일 보관 후)

구 분관행다목적 건조기벌크 건조기
40℃50℃
변질개체수
비율(%)
13/600
2.2
0/600
0
0/600
0
600/600
100
※ 주의사항 : 반드시 건조 적정온도 유지(40℃이하)

마늘저장요령


간이(예비)저장

저장 마늘선택 : 구가 단단하고 큰 것보다는 중간크기의 마늘을 선택한다.

온도 : 0~20℃, 습도 : 70~80%

가급적 서늘하게 보관하여 호흡작용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간이저장 장소는 바람이 잘 통하여 서늘하고 습기가 적은 곳으로 간이저장고, 창고, 헛간, 하우스(차광 처리) 등을 이용함

장마철 습도가 높을 때 맑은 날을 선택하여 햇볕에 말린 후 다시 보관

간이저장은 10월 하순까지 저장하는 것이 좋다.

저장방법은 50~100개씩 엮어서 덕에 매달거나(땅에서 50㎝정도 띄움) 주대와 뿌리를 잘라내어 그물망이나 상자에 담아 저장한다.


저온저장

수확 후 수분함량을 65%로 건조시켜 바로 저온저장

저장온도 : 0~2℃, 저장습도 : 70~75%

저장 중 맹아가 생할 경우 저장온도를 -2℃까지 낮춰서 저장

저온저장 후 40℃ 이내로 1일 정도 건조(건조기 이용)하여 유통


저장 중 병해 관리


저장 중 갈변증상

봄에 비닐피복을 제거하지 않고 수확기까지 그대로 두었을 때

3년이상 연작하거나 지나치게 질소비료를 많이 주었을 때

마늘 건조 및 저장방법이 불량할 때(지나친 고온 및 직사광선)

생육 중에 뿌리선충의 가해를 받으면 저장 중 갈변한다.


푸른곰팡이

주로 저온저장 중 줄기를 절단한 부위부터 감염되며 푸른곰팡이가 생김

수확시 상처부위나 선충 또는 응애가 가해한 부분으로 침투된다.

겨울에서 봄까지 주고 저온저장한 마늘에서 피해가 크다.


마른썩음병

초기에는 담갈색 수침 상으로 다습한 조건에서 무름 증상으로 부패(흰색 균사)

토양 중에 생존하다 수확시 생기는 상처나 선충 또는 응애가 가해한 자리로 침투하여 저장 중에 발생한다.

저장시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우선 상처가 생긴 부분부터 감염되어 확산


주점무늬병(저장 중 잎마름병)

마늘쪽에 자색의 소형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흑갈색으로 변함

마늘쪽 전체가 부패되지 않고 반점발생에 따라 상품성이 떨러짐

생육 중 잎이나 줄기에 발생한 잎마름병균(자색반점)이 빗물을 타고 마늘통으로 스며들어 저장 중에 발생


저장 중 병해 예방대책

가급적 4월에 비닐을 제거 한다.

적기에 잎마름병 방제 및 적기에 맑은 날 수확한다.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지 말고 균형시비를 한다.

마늘 파종전 반드시 소독하여 파종한다.

수확시 마늘통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충분히 건조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한지형 마늘 주아 재배

주아의 특성

육쪽마늘

늘은 완전추대 작물로 꽃은 퇴화되고 마늘쪽과 같은 구조의 주아가 생김

주아는 마늘의 끝에 붙어 있어 각종 병 및 바이러스 감염이 적다.

쫑(총포) 1개당 주아 수는 한지형마늘은 8~15개, 난지형 30~40개 정도

주아는 바이러스 감염이 인편보다 훨씬 낮고 조직이 치밀해 증식률이 높음



 주아재배의 효과

주아이용 우량종구 자가생산을 할 경우 종구비용의 70%정도 경영비 절감

바이러스 감염이 적어 30%정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늘재배면적의 15~20%의 면적이 필요하며 정밀관리가 용이하다.


주아재배에 의한 우량종구 생산 체계

10ha당 한지형마늘 주아이용 우량종구 생산체계

10ha당 한지형마늘 주아이용 우량종구 생산체계

마늘 수확 전·후에 충실한 주아를 채취한다.

보통 인편마늘보다 1주일정도 빨리 파종한다.

이듬해 주대가 녹아 없어지기 전에 수확한다.

10월 중·하순에 2~4g 정도의 통마늘을 파종한다.

이듬해 6월에 정상적인 육쪽마늘을 수확하여 종구용으로 활용한다.


주아채취 및 보관

병해충 피해가 없고 완전히 여문 주아를 채취(마늘 수확 전·후 채취)

화경(쫑 길이)을 20~30㎝ 되도록 길게 채취하여 서늘한 곳에 보관

화경이 노랗게 마를 때까지 충분히 후숙시킨 후 총포만 잘라 보관

화랑곡나방의 유충 피해 방지를 위하여 디메토(유) 1000배액을 2회 처리


파종전 준비

총포체 심기 : 쫑대를 짧게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준 후 소독

주아소독

파종전 2일정도 20℃의 미지근한 물에 담근 후 베노람(수)500배+디메토(수) 1,000배액으로 30분~1시간 침지소독 후 그늘에 말려 파종한다.

파 종

파종시기 : 일반 인편재배보다 7일 정도 일찍 파종(10월 중·하순)

파종간격(총포체) : 12~15×10㎝, 파종깊이 : 3㎝

기타 파종방법 : 모아심기, 줄뿌림, 점(흩어)뿌림으로 재배할 수 있다.

주아를 크기별로 대(0.4g이상), 중(0.2~0.4g), 소(0.2g이하)로 구분 파종


포장관리

재배관리는 일반재배에 준하여 관리한다.

파종 후 가뭄시 반드시 물주기 실시

퇴비는 충분히 주고 화학비료는 일반재배의 1/3정도 줄여 준다.

비닐피복은 일반재배와 같이하고 봄에“-” 찢기한 후 4월에 제거한다


수 확

일반(인편)재배보다 1주일 정도 일찍 수확(주대가 완전히 마르기 전)

주대가 완전히 마르거나 비가올 경우 유실양이 많다.

수확 후 주대가 있는 상태로 엮거나 통구마늘만 망사자루에 담아서 보관


통구마늘 재배

종구로 사용하기 적당한 크기 2~4g를 선별하여 파종한다.

2g이하 작은 것은 따로 파종하여 관리 한다.

통구마늘은 껍질이 두꺼워 뿌리내림이 불량하기 때문에 반드시 파종 전 2일정도 미지근한 물에 담근 후 소독하여 파종한다.(주아파종에 준한다)

파종거리는 15~20×10㎝가 적당하며 파종깊이는 5~7㎝깊이로 파종한다.

10a 당 통구마늘 소요량은 150~160㎏이 필요하다.

포장관리는 일반마늘재배와 같은 방법으로 관리한다.

이듬해 생산된 인편마늘을 우량종구로 2~3년 활용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