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옥수수

옥수수(10) - 담근먹이용(사일리지용) 옥수수

by 내오랜꿈 2015. 5. 11.
728x90
반응형


담근먹이란 옥수수를 비롯한 사료작물 또는 목초를 가축의 먹이로 쓰기 위해 발효 저장한 것을 말한다. 담근먹이는 발효시켜 저장하는 방법이 사람이 먹는 김치와 비슷하다 하여 풀김치라고도 하며 사일리지로 부르기도 한다. 또한 생옥수수를 땅 속에 묻어 저장한다고 해서 땅속에 저장한 풀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축산농가나 육종가들은 담근먹이라고 부르며, 간혹 엔실리지(ensilage: 담근먹이 제조 과정, 저장한 목초라는 뜻)라고 부르기도 한다. 


품종의 선택과 구입 


우리나라에서 옥수수는 담근먹이용으로 축산농가에 잘 알려져 있고, 사료작물 중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여 이용하는 작물이다. 황숙기 옥수수는 총 양분 함량 중 62%가 암이삭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담근먹이용으로 쓸 옥수수는 암이삭의 비율이 높고 생육 후기까지 잎이 마르지 않고 푸른색을 유지하는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옥수수는 생육 일수가 50일인 극조숙종에서 생육 일수가 330일 정도 되는 극만숙종까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장려하는 품종은 생육 일수가 110~140일 정 도인 중숙종~중만숙종이다. 다양한 작부체계를 위해서는 생육 일수가 80~90일 정 도인 조숙종의 재배도 검토돼야 하며 이를 위한 육종도 뒷받침돼야 한다. 


담근먹이용 옥수수 중 우리나라 품종은 광평옥, 청안옥, 강다옥, 청다옥 등이 있고, 수입 품종은 P3394(파이오니아3394), P3156, P31G66, P31N27, P32K61, P32P75, P32W86, P33D31, P34H31, GW6959, NC4880, NC7117 등이 있다. 광평옥, 청안옥, 강다옥은 알곡 및 담근먹이 겸용으로 건물 수량뿐만 아니라 알곡 수량도 많은 품 종이다. 특히 광평옥은 중·남부 평야지에서 많이 발생하는 검은줄오갈병에 중강 정도의 저항성을 보이고 있어 현재 보급되고 있는 품종 중에서 가장 병에 적게 걸리며 각종 재해에도 강한 특성을 보여 연차 간 지역 간에 수량 안정성이 높다. 현재 광평옥은 충북농산사업소,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5개 종묘회사에서 구입할 수 있고, 강다옥과 장다옥은 ㈜농우바이오와 (주)한농바이오산업에서 살 수 있다. 


옥수수를 단작으로 파종 적기에 파종할 때는 중만숙종을 선택하고 귀리, 호밀 등 앞작물의 수확이 지연되어 파종이 늦어질 때는 중숙종을 선택하는 것이 작부체계 상 유리하다.


담근먹이용 옥수수의 사료 가치 


옥수수는 재배 기간 동안 영양가와 수량이 최대치로 올라가는 시기가 있다. 이 시 기에 식물체 전체를 수확해서 소, 면양, 사슴 등 되새김 동물의 사료로 이용하면 단위 면적당 축산물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되새김을 하는 동물은 소화기관이 크고 길다. 반추위 내에는 미생물이 살고 있어서 돼지나 닭처럼 위가 하나인 동물이 이용하지 못하는 섬유질을 소화할 수 있다. 또한 되새김 동물들은 소화 생리적으로 반드시 섬유질이 많은 조사료를 일정량 섭취해야 질 좋은 젖과 고기를 더 많이 오랫동안 생산할 수 있고 번식이 잘 된다. 옥수수 같은 작물을 재배해서 영양소가 가장 많은 시기에 식물 전체(잎, 줄 기, 이삭)를 수확하여 생초, 건초 또는 담근먹이 형태로 급여하는 것을 양질 조사료 급여라 한다. 볏짚 등은 영양소 함량이 적고 소화율이 낮으며 기호성도 떨어지므로 질이 낮은 조사료로 분류된다. 우량한 젖소는 양질의 조사료를 먹여야 우유 생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며, 비육우의 경우도 질이 좋은 쇠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육성 기간 중에 양질 조사료를 충분히 급여해야 한다. 


담근먹이용으로 이용되는 원료는 옥수수, 목초, 야초, 호밀, 연맥, 수수 등이 있으나 그중에서도 옥수수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영양가도 가장 우수한 편이다. 옥수수가 담근먹이용으로 가장 좋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 면적당 영양가 생산량이 가장 많고 가축이 좋아한다. 둘째, 적기에 잘라낸 옥수수는 담근먹이 발효에 필수적인 수용성 당의 함량이 풍부하여 저장 시 젖산 발효 등이 잘 일어난 다. 셋째, 적기에 수확한 옥수수는 수분 함량(65~75%)이 담근먹이 조제에 적합하다. 넷째, 옥수수는 재배, 수확, 담근먹이 조제 및 이용 전 과정이 기계화가 가능하 므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에너지 함량이 높고 양분 균형이 좋아 양질의 우유와 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담근먹이는 생풀을 먹이로 줄 수 없는 겨울 동안의 조사료로만 생각돼왔다. 앞으로 합리적인 사양 관리로 양질의 우유와 고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조사료의 자급률을 높이고 담근먹이를 연중 계속 급여할 수 있는 주년 공급체계가 이뤄져야 한다. 




옥수수 중심의 작부체계 


담근먹이용과 청예(靑刈)용 옥수수를 중심으로 한 작부체계는 <표 3-29>와 같다. 작부체계는 재배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남부 지방에 비교적 유리하지만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의 피해에 주의해야 한다. 중부 지방에서는 호밀과 1년 2기작 체계가 대표적이고, 귀리도 포함시킬 수 있다. 


호밀과 옥수수를 심는 경우 호밀을 5월의 건조기에 수확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에 호밀 수확 후 건조한 땅에 옥수수를 심게 되면 옥수수의 발아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호밀을 되도록 빨리 수확해서 옥수수의 발아율 향상과 적정 개체 수를 확 보에 유의해야 한다. 건물 수량을 기준으로 할 때 중부 지방에서는 옥수수+호밀의 작부체계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부 지방에서는 작물의 재배 가능 기간이 길어져 귀리를 재배하는 데 유리하며, 검은줄오갈병의 피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옥수수 대신 수단그라스를 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검은줄오갈병이 종종 나타나는 지역에 옥수수를 심어야 한다면 이 병에 다소 저항성이 있는 광평옥을 심는 것이 좋다. 10a당 생초 수량과 건물 수량을 고려할 때 남부 지방에서는 1년 3 기작 작부체계가 유리하다. 




재배기술 


우리나라 축산업은 역사는 길지 않으나 1970년대부터 급격히 발전하였으며 국민 경제의 향상과 함께 앞으로도 더욱 큰 발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축의 주요 농후사료(濃厚飼料)인 옥수수 알곡 등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나 확대 일로에 있는 사료 수요로 볼 때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알곡용 옥수수 재배 기술에 보충하여 담근먹이용 옥수수를 재배할 때의 주요 사항만을 요약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따라서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은 알곡용 재배기술을 참조하기 바란다. 


가. 심는 시기 


알곡용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빨리 심을수록 옥수수 생육이 좋으며, 호밀과 같은 겨울작물의 뒷그루로 심을 경우에도 토양의 수분 조건이 좋으면 빨리 심는 것이 좋다. 평야지의 경우 4월 상순부터 심을 수 있으며, 해발 600m 이상의 산간지 및 북부지방에서는 5월 상순이 적기이다. 


나. 심는 거리 


담근먹이용 옥수수는 개체 수 확보를 위해 일반적으로 알곡용보다 20~30% 더 밀식하지만 너무 배게 심으면 쓰러짐과 병해를 조장하므로, 발아 후 입모 개체 수가 10a당 6,600(만숙종)~7,800(조숙종) 정도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심는 거리는 조숙종인 경우 이랑 너비×포기 사이를 75×17cm(7,800개체/10a) 또는 60×21cm로 하고, 중숙종은 75×19cm(7,000개체/10a) 또는 60×23cm로 하는 것이 안전성 있는 수량성 확보에 유리하다. 만숙종은 너무 배게 심으면 키가 커 쓰러질 우려가 있으므로 10a당 6,600개체(75×20cm 또는 60×25cm)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며, 6,700개체 이상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표3-30>. 심는 시기가 늦어질 경우에는 포기 사이를 다소 좁힘으로써 개체수를 많이 확보할 필요가 있다. 


사료 가치를 기준으로 볼 때도 밀도가 10a당 6,700개체와 8,300개체인 경우가 5,500개체인 경우보다 높았으며, 가소화양분총량(TDN)도 많았다<표 3-31>. 10a에 10,000개체 정도로 너무 배게 심으면 수량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소화율과 이삭 비 율이 낮아지고 쓰러짐이 우려되므로 심는 개체 수를 늘려서 종자와 노력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다. 시비량(施肥量) 


담근먹이용 옥수수는 알곡용 옥수수보다 배게 심기 때문에 비료량을 10~20% 정도 늘리는 것이 보통이다. 가축분뇨를 되도록 많이 주는 것이 땅의 거름기를 높이고 수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옥수수는 비료를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이므로 비료량이 부족하거나 재배 환경이 좋지 않으면 자람이 더디고 병에 걸리기 쉬우며 결국은 수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담근먹이용 옥수수 재배에 알맞은 표준시비량(질소:인산:칼리=20:15:15kg/10a)을 준수해야 한다<표 3-32>. 


새로운 개간지나 비옥도가 떨어지는 곳에서는 10a당 석회 150kg, 퇴비 3,000kg 이상을 뿌려주는 것이 높은 수량 확보에 유리하다. 인산, 칼리 및 석회 등은 전량 밑 거름으로 주고 질소의 1/2은 잎이 7~8매 때 또는 식물체가 무릎 높이까지 자랐을 때 웃거름으로 준다. 기타 재배법은 알곡용 옥수수와 동일하다. 




수확 시기 선택 


옥수수는 풋베기 사료와 담근먹이 모두 가능하지만 작물의 특성상 담근먹이로 이용하는 것이 질적·양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옥수수의 생육 단계별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의 성분 변화를 보면 총 양분 수량은 황숙기까지 계속 증가하므로 황숙기 이전에 일찍 수확하면 양분 손실이 많다<표 3-33>, <표 3-34>. 옥수수를 담근먹 이용으로 이용할 경우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황숙기에 수확하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건물 생산성과 품질을 고려할 때, 옥수수의 수확 적기는 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건물 수량이 높으면서 품질<표 3-35>이 우수한 황숙기 초기다. 이 시기는 수염이 나오는 때로부터 35~42일 정도 경과한 때이다. 


한편, 옥수수 담근먹이 제조는 완숙 초기까지 가능하나 잘라낸 후 방치하여 옥수수의 수분 함량이 60% 이하로 줄어들면 양질의 담근먹이를 제조하기가 어려우므 로 주의해야 한다. 수확기 이전에 태풍으로 쓰러졌을 때는 옥수수 대와 이삭이 부패하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빨리 수확하는 것이 좋다.






담근먹이 조제와 이용 


학자들은 담근먹이가 이용되기 시작한 것이 기원전 1500~2000년경으로 추정한다. 오늘날 축산업 발전에 시초가 된 시기는 1887년 프랑스의 A. Goffart 씨의 농장 경험 책자가 소개된 때다.


가. 담근먹이 조제 


옥수수를 담근먹이로 만들면 식물체와 토양 속에 있는 젖산 생성균이 공기가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발효를 일으켜 유산을 만들어냄으로써 잡다한 균의 번식을 억제 하여 저장성을 증진시켜준다. 즉, 담근먹이는 수확한 옥수수 식물체 속에 존재하고 있는 당분을 유산으로 전환시켜 pH를 낮춤으로써 불량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원리로 만들어진다. 그런데 수분 함량이 너무 낮거나 산도가 높아지면 다른 균들이 많이 번식해 유산이 낙산으로 분해되고, 단백질 또한 암모니아로 분해되어 품질과 기호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담근먹이의 품질을 결정하는 데는 수확 후 옥수수 식물체의 수분 함량과 산도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담근먹이 재료의 수분함량은 65~75%인데, 적당한 시기를 선택하여 옥수수를 수확하면 수분 함량이 담근먹이 발효에 적합한 범 위 내에 있다. 담근먹이용 옥수수 재료가 수분이 많을 경우는 햇볕에 미리 건조시 키거나 마른 볏짚 등을 섞어 넣어 담그면 조절이 가능하다. 반면에 너무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부족하면 물을 뿌려 조절해야 한다. 


옥수수는 수확 전에 수분 함량을 <그림 3-15>와 같이 간이 측정할 수 있다. 잘게 썬 재료(옥수수 식물체)를 손으로 움켜쥐어 어느 정도 압력을 가했을 때 나오는 물 의 정도와 덩어리지는 정도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다. 




나. 담근먹이의 품질 검정 


(1) 감각으로 검정 


옥수수 담근먹이 조제 현장에서 다른 어떤 약품이나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육안으 로 간단히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① 담근먹이의 색 ② 냄새 ③ 촉감 ④ 맛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담근먹이의 색은 짙은 황녹갈색(녹색이 포함된 황갈색 모양) 또는 황갈색이 좋으며 더불어 밝은 색을 띠는 것이 좋다. 냄새는 젖산 발효가 잘되어 요구르트와 비슷 한 산뜻하고 향긋한 냄새가 풍겨야 하며, 촉감은 손으로 만져 보았을 때 적당한 수 분이 포함된 촉촉하고 까슬까슬한 느낌이 나야 한다. 


(2) 화학적 방법으로 검정 


육안과 각종 감각으로 평가하면 사람들마다 느낌의 정도가 다소 다르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는 화학적인 실험으로 이뤄져야 한다. 


화학적인 평가 방법은 ① pH 측정 ② 유기산 조성 비율 조사 ③ 질소화합물 형성 정도 조사 등이 있다. 적합한 담근먹이는 젖산의 발효가 잘되어 pH가 낮아진다. 즉 pH 값이 4.0 이하가 돼야 양질의 담근먹이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담근먹이의 품질은 유기산인 젖산, 초산 및 낙산 등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젖산의 함량이 높고 다른 산의 함량이 낮을수록 사일리지의 품질이 양호하며 젖산과 다른 산의 비율이 8대2 정도면 합격으로 볼 수 있다. 담근먹이가 발효되는 중에 단백질이 분해되면 암모니아와 다른 화합물로 바뀌어 불쾌한 냄새가 난다. 이같이 냄새가 심한 것은 품질이 떨어지므로 암모니아태질소의 함량을 측정하여 품질을 평가해야 한다. 담근먹이는 목초 건초나 알팔파 등에 비해 조단백 함량은 낮으나 가소화양분총량(TDN)은 훨씬 높다. 이러한 양분의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이 높은 농후사료를 함께 급여하는 것이 좋다. 옥수수 담근먹이는 다즙질이라서 기호성이 높고 섭취량이 많으며 소화가 잘 되어 젖소 및 한우의 조사료로 가장 경제적이고 이상적인 사료라 할 수 있다. 

 

젖소는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로서 소화기관(위)이 크고 소화기관에 미생물이 기생하고 있어 돼지, 닭 등에 비해 섬유질을 잘 소화시키는 가축이다. 양질의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젖소에 사료를 충분히 줘야 하며 체중 600kg인 소는 건물중 기준으로 사료를 21kg 이상 먹여야 한다. 이때 40~50%는 섬유질이 풍부한 조사료로 줘야 한다. 옥수수 담근먹이만을 먹일 때는 수분 함량(70%)을 고려하여 21kg보다 많은 28kg 이상을 줘야 하루 30kg의 젖을 생산할 수 있다. 


한우의 경우 비육우로 육성하는 농가에서도 연중 양질의 담근먹이를 주는 것이 좋 다. 보통 소의 체중 1.5%에 해당하는 조사료를 주도록 최근 권장하고 있다. 즉, 체 중이 200kg인 소의 경우는 조사료를 건물중 기준으로 10kg 이상은 줘야 한다. 어미 소의 경우는 옥수수 담근먹이의 양이 2배 이상 증가된 20~25kg과 배합 사료 1kg 정도를 섞어야 한다. 


다. 담근먹이의 이용 


(1) 담근먹이 발효 단계 


담근먹이는 적당한 발효 단계를 거쳐야만 가축에게 먹이로 줄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제1단계(호기 단계) 

산소가 존재, 식물체 호흡, 단백질 분해(5~6시간 이내), 산도(pH) 6.0~6.5 범위 


○ 제2단계(혐기 단계) 

산소가 없는 단계, 산도 저하가 빠르다(24~72시간 이내), 젖산, 초산, 에탄올 분해, 산도 5.0 유지 


○ 제3단계(발효 단계) 

젖산균의 수 급증 단계(약 20일간 생성), 산도 4.0 


○ 제4단계(안정 단계, 저장 단계) 

산도가 4.0 범위에서 안정되고, 젖산균 계속 생성 


○ 제5단계(급여 단계) 

가축 먹이로 공급 가능(조제 후 40일부터), 공기와의 접촉으로 2차 발효 시작 


이와 같이 담근먹이를 가축에게 급여하기까지 5단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 에서는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발효가 진행되는데 산소가 있는 호기 단계(제1단 계)는 20.5℃, 산소가 없는 혐기 단계는 가장 높은 32℃, 발효 단계와 저장 단계는 다소 떨어진 28.8℃이고, 급여 중에는 28℃ 정도가 유지된다. 


(2) 담근먹이의 급여 


담근먹이를 만들어 가축에게 먹이기까지는 일반적으로 30~40일이 소요되는데 급여 시기가 되면 벙커사일로의 피복물을 벗기게 되어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2차 발 효가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부패균에 의한 발효가 진행되어 담근먹이의 품질이 떨어지고 곰팡이가 나타나므로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사일로 피복물을 한꺼번에 걷어내지 말고 일부분만 벗겨 되도록 2차 발효를 억제하면서 급여 시마다 조금씩 꺼내거나 겨울에는 2~3일분을 한꺼번에 꺼내 공기와의 접촉을 가능한 한 줄인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