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콩과작물

완두(2) - 생육 및 특성

by 내오랜꿈 2014. 9. 27.
728x90
반응형


형태적 특성



완두는 1년생이며, 남부지방에서는 가을에 파종해 월동을 하며 재배되는 덩굴성 식물이다. 경장으로 키가 큰 것은 150250cm, 왜성종은 70100cm 정도다. 주경으로부터 곁가지가 발생하고, 일반적으로 땅 가까이에서 곁가지가 발생하는 저절위분지, 주지 의 위쪽에서 곁가지가 발생하는 고절위분지로 구별 된다. 줄기는 속이 빈 원주형으로 마디가 많다. 잎은 복엽이고 13개의 소엽이 착생된다. 모든 마디에 는 2장의 탁엽이 착생되는데 소엽보다는 크다. 소엽 은 덩굴손으로 변하기도 한다.


꽃은 보통 12화이고 엽액에서 발생된 꽃자루의 끝에 착생된다. 나비 모양의 꽃으로 다섯 개의 화판(花瓣)으로 구성되는데 익판(翼瓣)2, 용골판(龍骨瓣)2 , 위의 화판은 기판(旗瓣)으로 크고 넓다. 용골판은 수술과 암술을 싸고 있어 타 화수정을 막고 있다. 꽃 색은 백색 또는 자색으로 나뉜다.


종자의 색깔, 크기, 모양, 주름의 유무, 배꼽에 붙어 있던 자리의 색깔 등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또 종자가 배꼽에 붙어 있던 자리는 보통 눈이라고 부르고 이 눈의 색깔은 검은 눈과 흰 눈으로 구별된다.


뿌리는 심근성으로 11.5m 깊이까지 침투한다. 뿌리의 분포는 옆으로 별로 확산 되지 않고 주근의 주위에 주로 분포하는 근계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발아 초기에 주근이 먼저 길게 신장하고, 측근은 비교적 짧고 근모의 발생도 늦으므로 유 묘 시에는 뿌리들이 거칠다. 따라서 이식 재배 시에는 이러한 뿌리들이 다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완두의 성분 특성

 

풋협의 구성 성분으로 풋협 100g84kcal의 열량이며, 수분 78.7%이고 단백질 6.4g, 지방 1.7g, 탄수화물 11.4g, 회분 0.8g 등이 있다. 건종실의 구성 성분으로는 수분 13.4%, 단백질 21.7%, 지방 2.3%, 탄수화물 60.4% 및 회분 2.2% 등이 있다. 단백질 100g당 아미노산의 조성은 라이신이 6.9 내지 8.2g, 함황아미노산인 메티오닌과 시스틴 1.4~2.7, 트레오닌 3.9, 트립토판 0.9g이다.




환경과 생육

 

완두는 보통 중일식물 또는 장일식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조생종 완두들은 일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완두는 두과작물 중에서 가장 저온에서 잘 자란다. 12의 온도에서 수분이 충분하면 발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온도는 발아의 최저온도며, 생육의 최저온도는 45이다. 영양생장을 하기 위한 최적온도는 1216이며, 25이상에선 발아 및 생육이 늦어지며, 35이상에선 생육이 정지한다.


완두는 저온 감응성 식물로 알려져 있으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꽃눈의 착생 절위는 품종 특성 외에 유묘기의 온도조건 또는 최아종자의 저온처리에 따라 다르다. 최아저온처리에 의한 품종 반응은 유묘기에 오랫동안 저온에 경과되는 사료용 완두는 저온감응성이 높고, 풋완두는 감응성이 낮다.


완두의 유묘는 -6-4정도의 온도에 잠깐 노출돼도 한해에 대한 내성을 가지나, 이 온도 이하에서는 한해 피해를 받기 시작하며, -7이하에서는 얼어서 죽는 개체가 발생한다. 한해에 대한 내성은 풋완두 보다 사료용 완두가 더 높다.


완두는 수분에 약해 물이 고여 있는 곳, 즉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는 뿌리가 자라지 못한다.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는 식물체가 일찍부터 마르고 병의 발생도 많다. 이것은 뿌리의 산소요구량과 관계가 깊고, 물이 고여 있는 땅은 산소부족 상태가 돼 뿌리의 호흡곤란으로 활력이 낮아진다.


완두는 콩과식물의 공통적인 특성인 뿌리에 근류균이 침입해 근류을 형성하고 공중질소를 고정해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근류균은 간상균(桿狀菌)으로 콩과의 종류에 따라 공생하는 균주도 다르지만, 완두와 공생하는 것은 Rhigobium leguminosarum이라고 하며 잠두에 공생하는 균종과 동일하다. 근류균은 호기성 균으로 근류는 뿌리 부근의 얕은 부분에 착생한다. 풋완두보다는 사료용 완두가 질소고정 능력이 더 크다. 사료용 완두는 일반적으로 식물체에 함유하는 질소 성분의 80%를 근류균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인산비료를 시용하면 완두의 뿌리 발육을 촉진하게 된다. 그래서 질소고정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근류균을 형성하는 동안에 질소비료가 과다하게 시용됐을 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완두는 무한 신육형 작물이다. 첫 번째 마디는 종종 분지를 만들며 영양생장을 하 나 두 번째 마디부터 완두종자를 맺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꽃은 각각의 생식절에 존재한다. 분지수, 협수, 협당 완두콩 수, 100립중, 엽면적 및 경장은 품종과 환경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영양생장이 왕성할 때는 식물체 사이의 경쟁이 증가해 수량은 감소한다. 수량의 증가에는 엽면적의 감소와, 경장의 감소보다 많은 분지수와 100립중의 증가가 필요하다. 엽면적의 감소는 유전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수량을 가장 잘 증가 시킨다. 엽면적의 감소에는 여러 유전자가 이용 가능하다.


이 중 Semi-leafless 초형은 밀식적응이므로 쓰러짐에 강해 기계화 가능한 재배 여건에서는 유망한 것으로 보인다. 조숙종은 대부분 생체량이 작고 물질전류 능력이 낮으며 중간 정도의 수량을 가진다. 중생종은 물질전류 능력이 좋고 중간의 생체량 종실 수량이 높다. 만숙종은 식물체 사이의 경쟁이 가장 높고 물질전류 능력이 가장 낮으며 종실 수량은 감소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