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콩과작물

완두(3) - 재배기술

by 내오랜꿈 2014. 9. 27.
728x90
반응형


1. 품종의 선택

 

. 외국의 품종 육성

 

1800년께 영국의 토머스 에드워드(Thomas Edward)가 최초의 완두 품종인 윌트 셔(Wiltshire)를 보급한 이래 1860년께 토머스 락스턴(Thomas Laxton)이 오늘날까지도 재배가 되고 있는 품종인 앨더만(Alderman), 그라두스(Gradus)를 육성한 바 와 같이 완두 품종 육성은 유럽에서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그 이후 미국과 유럽에서 육성된 다양한 품종 중 1950년대에 육성된 링컨은 단간종으로 각광을 받았으며, 1960년대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지금까지 많이 재배되고 있는 스파클을 비롯해 스프라이트(Sprite), 허스트 그린 샤프트(Hurst Green Shaft) 등과 같이 완두 고유의 초형을 가진, 즉 소엽, 탁엽 및 덩굴손이 있는 다양한 품종을 육성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기계화에 적합한, 즉 대량생산에 기반을 둔 품종 육성이 본격화되면서 일부 소엽과 탁엽이 없고 덩굴손이 발달한 소엽이 없는 품종 및 생장점 주위에만 대부분의 꽃이 피고 협이 맺는 반대화성(Semi-fasciation) 품종이 육성됐다. 웬슘 및 비키니 등이 이에 속하는 품종이다.

 

. 우리나라의 품종 육성

 

우리나라의 경우 1972년 미국으로부터 도입해 시험재배를 거쳐 1976년부터 재 배·보급되기 시작해 지금까지 가장 널리 재배되는 스파클 품종을 대체하고자 1988년부터 영남농업연구소에서 완두 품종 육성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1994년 사철완두를 육성한 이래 밀식, 단경, 무지주 재배에 적합한 대협완두(1997) 및 풋협 수확기가 도입종인 Sparkle보다 빠르며 동시에 많이 수확할 수 있는 올완두 (1998), 다청완두(2002) 및 청미완두를 육성 보급해 오고 있다.

 

. 완두 품종별 특성

 

사철완두 : 1987년 대전재래종과 미국 도입종인 스파클을 인공교배해 계통육성한 후 1994사철완두로 명명했다. 표준품종인 스파클보다 성숙기는 5일 빠르고, 도복에 강하며 단경이며, 풋협 100립중은 70.3g, 건종실 100립중은 22.2g. 표준품종인 스파클보다 단백질 함량은 24.8%, 전분 함량은 18.2%로 각각 2.5%, 2.9% 많은 편이다.


대협완두 : 1987년 스파클과 웬슘을 인공교배해 계통육성했다. 계통명은 밀양 9호 이며, 1998대협완두로 명명됐다. 표준품종인 스파클과 개화기는 비슷하나 성숙기는 2일 빠르고, 도복에 강하며, 풋콩 100립중은 41.1g으로 스파클보다 소립 종에 속한다.

 

올완두 : 올완두는 도입 품종인 스파클 과 웬슘을 교배해 1998년 우량 품종으로 선정하고 올완두로 명명했다올완두의 초형은 왜성으로 소엽이 있고 덩굴손이 발달했으며 자엽색은 황색, 꽃색은 백색인 품종이다. 올완두 개화기 및 풋협 수확기는 스파클보다 34일 정도 빠르고 경장 및 분지수는 스파클과 비슷했으나 스파클보다 협당 립수가 56립으로 많은편이며 1차 수확 비율이 높으며 병충해에 강한 품종이다올완두의 평균수량은 10a1,091kg으로 스파클에 비해 27% 증수되는 다수성이 다. 동계하우스 재배시험에서는 수량성이 스파클에 비해 다소 적었으나, 풋협 수 확기가 6일 빨라 농가 소득 측면에서는 매우 유리하다.



다청완두 : 다청완두는 1992년도에 교배해 2002년 우량 품종으로 선정돼 다청완 두로 명명했다. 다청완두의 초형은 왜성으로 소엽이 있고 덩굴손이 발달했으며 종피색은 황색, 자엽색은 황색, 꽃 색 은 백색인 품종이다. 다청완두의 개화기는 표준품종인 사철완두와 비슷하나 풋협 수확기는 사철완두보다 4일 빠르다. 경장은 사철완두보다 작으나 개체당 협수는 사철완두보다 많은 편이며, 1차 수확 비율이 높으며 병충해 에 강한 품종이다. 10a당 수량성은 1,526kg으로 표준품종 사철완두 1,414kg보다 8% 증수했다.




청미완두 : 조숙 고품질 다수성을 목표로 1992년 교배해 200312월 품종으로 결정돼 청미완두로 명명해 농가에 보급하게 됐다청미완두는 소엽을 가지고 있으며 자엽색은 녹색, 풋협은 녹색, 종자 모양은 구형이고 종피색은 녹색이며 제색은 백색이다. 청미완두의 개화기는 425일로 사철완두와 같으나 풋협 수확기는 527일로 비슷하고 경장은 비슷하며 100립중은 다소 가벼웠다10a당 평균수량은 1,561kg으로 표준품종 사철완두 1,382kg보다 13% 증수했다.




2. 작부체계

남부지방에서 논에 완두를 재배할 경우 주로 11월 중하순에 파종을 하고, 이듬해 5월에 수확하게 된다. 그러므로 벼 재배의 전후작으로 완두가 재배되고 있다. 밭 재배 시 무나 배추를 수확한 후 12월 상순께 파종해 5월 중하순에 수확한다. 또한 고추 재배의 주산지에서는 고추의 연작장해를 회피하기 위해 완두를 재배한다.


시설재배에서는 단일 작물을 계속해 재배 시 염류 집적, 병해충의 발생 등으로 인 한 연작장해를 회피하고자 가온 또는 무가온 재배로 완두를 재배한다.

 

3. 재배 및 포장관리

 

. 재배법

 

파종량은 5kg 내지 8kg(노지재배 시 5 내지 7, 촉성 및 시설재배 시 7 내지 8)이다. 종묘상에서 판매하는 완두 종자는 전량 소독돼 있으며 자가채종 종자 이용 시 살충제를 종자 1kg3g를 넣어 소독해 준다. 완두 재배 시 시비량은 300평당 퇴비 1,500kg, 요소 8.7kg, 용성인비 50kg, 염화칼리 16.7kg이 적당하나 시비량 검정에 의한 시비 처방을 따르는 것이 좋다.


파종은 대체로 이랑 너비를 8090cm로 해 두 줄로 심되, 포기 사이는 1520cm 로 해 한 곳에 24개의 종자를 심고, 34cm 정도의 흙을 덮는다. 입모 후 한 곳에 두 개 정도의 완두만 남기고 나머지는 잘라주는 것이 좋다. 월동을 위해 비닐피복을 하는 경우 비닐의 규격에 맞춰 조간거리를 40cm로 하는 것이 좋다.


토질은 배수가 좋은 사양토 또는 양토가 적당하다. 완두는 특히 산성이 강한 토양 에서는 잎이 황변하고 생장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약산성 또는 알칼리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으므로 석회를 10a150kg 정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토질에 대해서는 점질토 또는 양토가 좋지만 별로 가리지 않고 적응성이 넓다. 대 립용 완두를 수확하는 경우 사질토에서는 인산의 공급이 작아 립의 충실도가 떨어지므로 식질토가 좋다.


제초제 살포는 파종 복토 후 3일 이내에 하는 것이 좋다. 완두에 고시된 제초제는 없어 콩에 사용하는 토양처리제를 이용하면 된다. 제초제 처리 직후 피복하면 제초제 피해가 우려되므로 비닐피복은 제초제 사용 후 5 내지 7일께에 하는 것이 좋다.


완두의 줄기는 덩굴성이므로 결협기 이후부터 도복되기 시작해 지면에 닿은 꼬투 리가 부패하는 경우가 많다. 도복을 방지해 상품성을 높이고 햇볕이 잘 들게 하기 위해 완두에 지주를 설치해 지주로 유인한다. 완두 덩굴을 유인하는 방법은 농가 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바인더줄 유인 및 그물망 유인 등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망으로 유인했을 경우 풋완두 수량의 증수를 기대할 수 있다. 지주를 설치해 재배하면 수량성, 고품질, 조기 수확 등 유리한 점이 많으나 노력이 많이 든다. 또한 풋완두는 출하시기의 조만에 따라 가격차가 현저하므로 망으로 유인하면 풋완두 수량 증수와 함께 조기 수확량이 많아져 소득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완두는 밀식에 의해 증수할 수 있으나 최소한의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휴폭 60이상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농가의 수확 시기는 수확 적기보다 34일 늦은 풋협에 그물망이 생성하는 때다. 그러나 완두의 수확 적기는 개화 후 2530일께인 협의 꽃받침과 시작부가 탈색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농가에서 관행적으로 수확하는 것에 비해 수량은 8% 증수되며, 당도를 나타내는 과당의 함량이 6.6%로 매우 높다. 풋완두는 출하 시 신선도 유지가 중요하므로 생산물은 당일에 출하할 수 있는 거리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완두는 연작을 매우 꺼리므로 될 수 있는 한 5년 이상 연작하도록 한다. 논에 완두 재배 시 여름엔 벼를 재배하므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밭 재배나 시설재배 시 유의해야 한다.

 

. 춘파재배

 

완두의 생육적온은 1020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재배의 전 기간을 이 적온기에 맞추어 생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비교적 영향이 적은 유식물기를 저온에 서 보내고 개화부터 결협기가 적온기에 들도록 파종기를 조절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지역에서 몇 개의 작형이 있는 것은 아니며, 그 지역에 가장 유리한 작형에 따라 재배된다.


우리나라에 있어 완두의 작형으로는 춘·추파가 매우 표준적인 작형이지만 5월 하순의 출하는 가격이 낮아 소득 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가격이 높은 34월에 풋완두를 생산하기 위해 동계 비닐하우스 재배가 주목으로 끌고 있다. 그러나 남부지방에서 수확이 끝나는 시기인 6월 상순 이후에는 가격이 상승해 중부지방 재 배가 가능하다.


파종 시기는 남부지방의 경우 2월에 파종하나 중부지방은 3월이다. 완두의 월동 이 곤란하고 답리작이 어려운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재배 유형이다. 남부지방 재배의 경우, 추파재배보다 늦게 수확되므로 가격 면에서 추파재배에 비해 불리하 다. 그러나 남부지방에서 수확이 끝나는 6월부터는 풋완두의 공급이 감소해 가격 이 다시 상승한다. 반촉성이나 조식재배에 의한 수량성 증대 및 조기 수확 등으로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재배 방법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추파재배

 

추파재배의 파종 시기는 노지 비닐멀칭 재배 시 11월 중순에서 12월 상순이다. 이 파종 시기는 남부 해안가와 남부 내륙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내한성이 강한 어 린 시기에 월동을 하고, 봄에 기온 상승과 함께 급속히 신장 개화 결실을 하는 것 이다. 월동이 가능한 남부지방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수확을 전후해 기온과 강우에 의해 수량이 좌우된다.


추파재배의 경우 춘파재배보다 유리한 점은 첫째로 수량이 춘파재배보다 약 30% 정도 증수된다는 것이다. 완두는 봄에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인해 겉마름 현상이 나타나는데, 월동을 해 영양생장을 춘파재배보다 충분히 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춘파재배보다 풋협 수확기가 빨라진다. 개화기는 춘파재배보다 20일에서 30일 정 도 빠르며, 풋협 수확기는 10일 정도 빨라진다. 완두는 수확기에 따라 가격의 차이가 크므로 소득 면에서 유리하다.


추파재배 시 주의할 점은 월동을 하기 전에 완두의 어린 싹이 토양의 표면을 뚫고 나온 상태에서 월동하는 것이 좋다. 너무 자라면 월동 시 갑자기 오는 한파에 피해를 받기도 하며, 싹이 나오지 않으면 겨울에 건조해 입모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월동 후 완두의 싹이 비닐을 밀고 일어날 때 비닐 구멍을 뚫어주는 시기는 2월 하순에서 3월 상순께다. 지주 설치는 초장 1015cm일 때 하는 것이 좋다.

 

. 시설재배

 

풋완두의 조기 출하를 위해 11월에 파종해 다음해 2월 하순부터 수확하는 작형으 로 무가온 및 가온하우스 재배가 있다. 최근에는 12월 출하를 위해 9월에 파종하는 농가도 있다. 무가온 이중하우스 재배는 남부 해안 일부 지역으로 한정된다. 가온하우스의 경우는 5이상이 유지되도록 하우스를 관리한다.


완두의 유식물은 저온에 잘 견디지만 꽃과 꼬투리는 냉해를 입기 쉬우므로 무가온 하우스 재배에서 특히 유의해야 한다. 완두의 꽃과 꼬투리는 냉해에 민감하므로 생육온도를 7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냉해를 입은 꽃은 낙화하므로 피해가 매우 심하다. 협에 피해를 주면 협에 하얗고 줄 모양의 반점이 생긴다. 협 내의 완두콩이 얼은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생육이 진행돼 수확할 수 있어도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또한 종자의 발아력을 떨어뜨린다.


3월 하순에서 4월 초순에 흔히 꽃샘추위가 오는데 이 시기는 무가온 하우스에서 2·3중 비닐을 벗긴 상태이므로 일기예보에 유의해 냉해 방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 병해충 방제

 

병해충의 피해는 다른 두과작물에 비해 적다. 주로 습기가 많을 때 노지재배 시 발생하는 흰가루병, 콩알을 파먹는 완두 바구미가 있으며 방제 대책으로는 윤작을 하거나 발생 초기에 살균제 및 살충제를 살포하면 된다. 시설재배 시에는 잿빛 곰 팡이병이 발생하기 쉽다.

 

 

. 잿빛 곰팡이병

 

Botrytis cinerea에 의해 발병되며, 습기가 많은 곳에서 줄기, , 협의 부패를 일으킨다.잿빛 곰팡이병이 발생하면 아래에 있는 잎들은 심하게 낙엽이 된다. 첫째 병징은 희미하고 회색의 줄무늬이다. 보통 잎의 아래 부위에 병반이 나타난다. 협의 병징은 협의 끝에 잘 발생하고, 상품성 및 수량을 감소시킨다. 협의 부패 결과로 물에 적신 듯한 병반에 회색의 곰팡이가 나타나고, 흰색의 균사로 뒤덮이게 된다. 결국 회색이 된다.


만일 토양에 칼리가 결핍되면 칼리를 시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칼리가 결핍되면 잿빛 곰팡이병에 걸리기 쉽기 때문이다.




. 흰가루병

 

흰가루병은 Erysiphe pisi가 흰가루병을 일으키며, 완두에 있어 생육후기에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낮에는 따뜻하고 건조하며, 밤에는 이슬이 생길 정도로 차 가운 경우에 발생하는 병이다.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면 경장, 협 무게, 착협 수, 마디수, 건물중에 영향을 미친다.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는 곳에서는 흰가 루병을 방제하면 수량을 증수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풋협 수확기 이후에 많 이 발생해 큰 피해를 주고 있지는 않다.


흰가루병의 첫째 병징은 식물체 최하위의 가장 오래된 잎의 상위 부위에 작고 색 깔이 좋지 않은 반점을 띤다. 이 병징은 차차로 하얗고 가루가 있은 것으로 변한 다. 또한 심하게 감염된 잎은 푸른색을 띠는 흰색으로 변한다. 잎과 줄기, 협이 감 염될 수 있으며, 잎의 낙엽 및 식물체의 고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 충해

 

완두는 팥, 녹두, 동부 등 다른 두과작물과 마찬가지로 종자 저장 중 바구미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 발아에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자가 채종에 의한 종자 생산을 거의 하지 않고 매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나 약제에 의한 바구미 방제만 잘 하 면 자가 채종 종자 이용에 문제가 없다. 완두콩 바구미는 5월 상순부터 6월 상순까지 발생하는데, 발생량 및 피해량은 남부해안지대보다 내륙산간지대가 많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