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생강과

생강(8) - 병충해(2) : 뿌리썩음병 방제기술

by 내오랜꿈 2016. 2. 13.
728x90
반응형


1. 발생상황

 

우리나라 생강 생산의 가장 큰 제한요인이 되는 병해로 매년 평균 피해율이 2030%에 이를 정도로 발생이 큰 병해다. 생강 생육기가 5월부터 10월말까지 대단히 길기 때문에 생육기의 기상이 병발생의 다소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발생이 많은 해는 6월 하순에서 시작되는 장마기가 8월까지 오랜 기간 계속되고 장마 후 불볕더위가 9월까지 연장되는 해로써 이 기간 중 비가 많이 오면 대발생하게 된다. 1998년도 생강 주산단지의 뿌리썩음병 발생정도를 보면 포장에 따라서는 단 한 포기의 수확도 불가능할 정도로 발병이 심한 밭도 적지 않게 발견된다.

 

2. 병원균


Pythium myriotylum(: Pythium zingiberum)으로서 물과 관련이 깊은 조균류의 곰팡이다. 병원균은 포자낭(유주자낭)과 난포자를 형성한다. 병원균은 끝이 약간 부풀어 오른 시험관 모양의 유주자낭을 형성하며 그 크기는 7090×80100µm이다. 난포자는 둥글고 그 직경이 2228mm씩 자란다. 균사생육 최고온도는 4043°C , 최저온도는 57°C 이고 최적온도는 3337이다. 포자낭의 형성적온은 2535°C 이고 난포자 형성적온은 1520°C 이다. pH 67에서 가장 잘 자란다. 병원균은 극고온성에 속하며 토양수분에 대단히 민감해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급격히 진전한다.

 

1. 온도 및 토양수분별 병반진전속도

온도
(°C )

병반진전속도
(/)

식물체 고사에
걸리는 일수

토양수분량
(최대용수량의 %)

병반진전속도
(/)

지하근경의
부패정도

35~40

28

5.0

100

19

++

25~30

22

6.4

80

20

++

20

18

8.0

60

14

++

15

9

15.9

20

1

 

병원균은 생강 외에 여러 작물을 침해하여 잘록병, 뿌리썩음병 혹은 작물 생장을 저해하는 다범성균으로 생강을 심지 않더라도 타 작물에 기생하여 토양 내 생존력이 양호하다.

 

2. 생강 뿌리썩음병균의 타작물에 대한 병원성

병 원 성

강함 (발병율 >10%)

약함 (발병율 >10%)

없음 (발병율 : 0)

오이, 수박, 참외, 호박, 고추, 토마토, , 메밀, 대두, 완두, 참깨, 메론, 근대,

가지, 귀리, 수수, 녹두, 잠두, 동부, 들깨, 배추, 양배추, , 양파, , 시금치, 당근, , 아욱, 샐러리

쑥갓, 보리, 담배,
부추, 율무, 땅콩,
옥수수

 

3. 병의 증상 및 진단방법

 

생강이 4월말 재식한 후 발아하여 34잎 정도가 지상부로 출현한 때인 6월말~7월초부터 발생하는데 지하부의 줄기, 근경이 병원균에 의하여 수침상으로 썩기 때문에 썩는 부분에 해당하는 지상부의 잎이 노랗게 황화하기 시작한다. 점차 지하부의 썩음이 진전함에 따라 지상부 전체가 노랗게 변색하고 이윽고 황갈색으로 전부 고사하게 된다. 초기의 증상이 잎이 노랗게 변색하므로 농민들은 이 병을 노랑병으로 부른다. 병에 걸린 주를 뽑아서 관찰하여 보면 줄기의 지제부 부근이 수침상으로 썩어 잘 탈락하며 근경도 옅은 회색으로 병이 진전하면서 그 표면에 흰색의 균사가 나와 있고 더 진전하면 근경의 내부가 완전히 썩어서 속이 빈채로 미이라화된다. 일단 썩음이 시작된 근경은 수확한 후에도 계속 수침상으로 진전하기 때문에 상품으로의 가치가 전혀 없으며 따라서 수확시 생강의 일부분만 썩었다하더라도 그 생강은 폐기대상이 된다. 생강의 생육초기 지상부의 아랫 잎이 노랗게 변색하는 것은 생강 뿌리썩음병의 진단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생강의 지하부 새싹이 가장 병원균에 의하여 침해되기 쉽고 다음이 지하부줄기, 근경, 뿌리, 지상부줄기, 잎 등의 순이다.






그림 1. 생강 뿌리썩음병의 병징

그림 2. 생강 뿌리썩음병의 병징

 

4. 발생생태

 

. 전염방법

 

병원균은 균사, 팽윤균사, 난포자 혹은 피낭포자 형태로 토양입자에 흡착하거나 병든 식물체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제1차 전염원이 되며 제2차 전염은 병환부에 형성된 유주자낭에서 분출한 유주자가 토양 수분을 따라 주위로 확산하여 퍼짐으로서 이루어진다. 병원균은 표토로부터 10cm 이내의 토양에 주로 분포한다.

 

그림 3. 토양깊이별 뿌리썩음병균의 밀도

 

. 발생환경

 

생육기 특히 장마기간이 길고 여름철 기온이 높아 9월까지 불볕더위가 지속되면 대발생한다. 생강을 연작하면 병원균이 포장에 누적됨으로 발생이 심해진다. 병원균이 물 속에서 번식 전염하므로 저습지, 찰흙토양, 지하수위가 낮은 포장, 물빠짐이 좋지 않은 곳에서 발생이 심하다.

 

5. 방제대책

 

. 비가림재배하면 병원균의 유입이 적어 병 발생이 적다.

. 종강을 해당연도 작물보호제 지침서(한국작물보호협회)에 따라 적용약제를 사용한다.

. 연작지는 비기주작물로 윤작하거나 토양을 다조멧 입제 등의 토양훈증제로 소독한 후 재배한다.

. 물빠짐이 좋은 포장에 재배하고, 저습지 등의 지하수위가 낮은 포장에서의 재배를 피한다.

. 발병주는 조기에 제거하고 적용약제를 7월초순부터 2030일 간격으로 강우직전 혹은 직후에 지하부 위주로 관주해 준다.

 

3. 비가림 재배시 생강 뿌리썩음병의 발생정도

재배형태

지역별 발병율 (%)

서 산

태 안

완 주

비 가 림

5.0

4.8

노 지

15.7

26.6

6.2

 


그림 4. 생강 뿌리썩음병의 약제방제효과 및 수량

: 1) 관행방제: 리도밀동수화제 1,000배액 발병초부터 20~30일 간격 3회 살포.

      2) 체계방제: 토양소독+종강소독+관행방제.

 

4. 토양소독에 의한 생강 뿌리썩음병 방제효과

구 분

처 리

토 양 소 독*

관 행 방 제

입 모 율 (%)

90.1

85.3

초 장 ()

36.8

32.8

발 병 율 (%)

3.5

34.2

수 량 (.10a)

1,260

714

잡초발생정도

+++

 

5. 작부체계와 뿌리썩음병 발생정도

작 부 체 계

조 사 포 장 수

뿌리썩음병 발병주율(%)

초 년 재 배

13

2.3

2 년 윤 환

4

0.6

매 년 윤 환

4

10.7

답 전 윤 환

4

5.0

2 년 연 작

11

22.6

3 년 연 작

6

15.1

4년이상 연작

3

26.3

 

 

참 고 문 헌


고영진 외. 1998. George N. Agrios.

농촌진흥청. 채소병해충(표준영농교본) 1999. 삼미인쇄.

농협중앙회. 채소병해충방제(농업기술 및 농업경영 교육용 교재) 1998(농협중앙회).

농선어촌문화협회. 1987. 작물병해충사전(일본).

춘계개. 1978. 균류도감(일본). 작부체계와 뿌리썩음병 발생정도 토양소독에 의한 생강 뿌리썩음병 방제효과표 비가림 재배시 생강 뿌리썩음병의 발생정도. 10%), 약함 (발병율 > 10%), 없음 (발병율 : 0) )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온도 및 토양수분별 병반진전속도표 온도 및 토양수분별 병반진전속도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