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생강과

생강(7) - 병충해(1) : 각종 병해충 방제 및 저장

by 내오랜꿈 2016. 2. 13.
728x90
반응형


 

생강은 고온다습한 기후에 적당하며, 생육적온은 2030이고 15이하에서는 생육이 정지되며 10이하에서는 생리적 동해(凍害))로 부패한다. 토양적응성은 넓은 편이나 부식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되며, 보수력이 있는 참흙(양토)이 적당하다.

 

1. 생강의 병해충 방제

 

. 부패병

 

(1) 발생원인 및 병징


6월경부터 발생하여 8월경에 심하게 발생하며 병원균의 발육적온은 28이고 최저 5, 최고 40정도이다. 사멸온도는 52에서 10분간이라고 알려져 있고 기주식물은 소형 생강계통보다 대형 생강계통에서 많이 발생된다. 발병부위는 처음에는 뿌리줄기에서 발생해서 차차 줄기나 잎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상부의 병징은 처음 한 두개의 잎과 줄기가 담황색으로 시들고 황갈색으로 변해서 말라죽는다.

 

(2) 방제법


종자 생강은 무병지의 건전한 것을 선택하며 적용 약제로 소독한 후 그늘에서 말린 다음 파종한다. 발병의 염려가 있는 밭에서는 파종전에 석회를 10a200정도 시용하고 토양소독을 실시한다. 질소비료의 지나친 시용을 피하 고 인산, 칼리질 비료를 더 주도록 한다. 연작을 피하고 34년간 화본과 등의 다른 작물을 재배하거나 생강을 재배하지 않았던 밭이나 논재배를 하면 발병이 적다. 발병된 포기는 즉시 제거하고 발병된 밭에는 물대기를 할 때 병원균이 전염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 백성병(흰별무늬병)

 

(1) 발생원인 및 병징


연중 발생하나 특히 가을에 심하게 발생하며 잎은 회백색 35의 둥글고 작은 병반이 생기며 오래된 병반은 점차로 투명해진다. 병반은 부정형의 커다란 백색의 병반이 되고 지상부 전체가 말라 죽으며 병무늬 위에는 흑점이 빽빽하게 밀생한다. 피해잎 중에는 병자 각의 형태로 월동하고 다음해 여기에 병포자가 생기고 빗방울과 같이 비산하여 만연된다.


(2) 방제법


퇴비를 충분히 주어 비료 부족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현재 등록된 적용약제가 없다. 병 발생시에는 44식 석회보르도액에 전착제를 첨가해서 살포한다. , 석회보르드액은 15이하 및 32이상에서 살포하면 약해 우려가 있다.

 

. 생강도열병

 

(1) 발생원인 및 병징


생강잎이 처음에는 청백색 수침상의 작은 반점을 만들고 점차 확대되어서 갈색 의 원형, 타원형, 또는 부정형의 병무늬가 된다. 또는 잎의 중심에 병이 발생하여 가늘고 긴 병무늬가 되는 경우도 있다. 병원균은 피해부에서 균사상태로 월동하고 다음해 여기에 분생포자가 생겨서 전염발병하고 그 후는 병반상에서 생긴 분생포자가 비산해서 만연된다.

 

(2) 방제법


이 병원균은 병든 잎에서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며 다음해 다시 포자를 내어 발생하므로 병든 식물은 일찍 제거하여 태워버림으로써 이듬해의 전염원을 없앤다. 현재 등록된 적용약제가 없다. 백성병 방제와 동일하고 벼의 도열병 방제에 준한 약제를 살포한다.

 

. 문고병(무늬마름병)

 

(1) 발생원인 및 병징


토양에 사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벼잎집무늬마름병, 배추 밑둥썩음병과 비슷한 균이다. 땅과 가까운 줄기에 벼의 잎집무늬마름병 처럼 부정형 병반이 생겨 확대되며 심한 것은 줄기가 물러 썩고 생육이 쇠퇴한다. 포자를 잘 형성하지 않는 균으로 균사와 균핵을 형성하며 병균의 발육적온은 30의 고온이다. 균핵의 형태로 종근이나 토양에서 월동한 후 균사를 뻗어 전염한다. 온도가 30내외로 매우 높고 토양이 다습할 때 발생이 많다.

 

(2) 방제법


종강은 무병지의 것을 사용하고 병의 발생이 없었던 포장에 재배하거나 물빠짐이 좋은 포장에 재배하고 배수에 유의해야 한다. 현재 등록된 적용약제가 없다. 발병이 심한 곳은 토양 훈증에 의하여 토양 소독을 실시한다.

 

. 파밤나방

 

(1) 발생생태


1년에 45회 발생하며, 어른벌레는 510월까지 발생한다. 어른벌레는 810정도 크기로 황갈색을 띠고 있다. 다 자란 애벌레는 35정도이며, 몸색깔의 변화가 심하고 일반적으로 녹색을 띤다. 암컷은 알덩어리로 약 1,00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파밤나방은 잡식성으로 잎 등을 갉아먹는다.

 

(2) 방제법


크게 자란 애벌레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방제효과가 떨어지므로 갓 태어난 애벌레 시기인 발생초기에 중점 방제해야 한다. 이 해충은 산란수와 발생 회수가 많아 방제에 어려움이 크다.

 

. 조명나방

 

(1) 발생생태


1년에 23회 발생하고 유충으로 피해주의 줄기 속에서 월동한다. 애벌레는 줄기 속을 먹어 들어간 구멍으로 배설물을 배출한다. 피해가 심하면 그 피해 부위의 상부가 말라죽거나 바람이 불면 그 부분이 부러진다.

 

(2) 방제법


유충은 기주식물의 줄기속에서 월동하므로 파종전까지 전년도에 피해를 받은 줄기를 소각하여 전염원을 없앤다. 피해가 심한 곳은 2화기 성충 발생최성기에 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다.

 

2. 생강의 수확

 

수확 적기는 10월 중순에서 11월 상순이며 종자용 생강은 서리가 내리기 전에 수확하여 줄기와 잎을 제거한 후 저장한다. 저장용 생강은 부패병의 발생이 없고, 배수가 좋은 밭에서 생산 한 것을 택해야 하며 수확기가 너무 빠르거나 늦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생강의 저장


생강 토굴저장은 경험적으로 대개 온도 13습도 90%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15이상 계속 유지될 때는 발아되고 10이하에서는 부패한다. 저장방법은 산물로 적채한 채 흙이나, 부직포 또는 비닐 등으로 덮어서 장기 저장하는 방법으로 인위적인 저장관리가 불가능한 실정이며, 토굴저장 시 부패율이 5개월 내에 1050%로 상당히 높을 뿐만 아니라 출하시기의 선택이나 작업상의 번거로움 등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 토굴저장고의 구조는 대부분 수직으로 45m 내려간 후 수평으로 38m 정도의 저장굴이 35개의 분기된 굴로 구성된 수직굴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생강 저장굴의 규격은 보통 출입구인 수직통로는 붕괴 등의 문제로 폭은 1~1.5m 정도로 매우 좁게 하고, 분기된 수평 굴의 높이는 1.72.0m, 폭은 1~2m 정도로, 토굴 1개소는 45톤 정도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림 1. 토굴저장 방법

 

수확 후 종강을 저장하기 전에 온도를 3033, 습도 90~95의 실내에서 8일 간 두어 치유한 다음 꺼내어 1215의 땅속에 저장한다. 온도가 18이상 계속되면 싹이 트며 20이상에서는 부패하기 쉽고 10이하에서도 부패한다. 수확 후 바로 저장을 할 때는 45일 정도 환기를 해주며 종자용 생강은 베노람밀.티람 수화제 1,000배액에 30~60분간 담근 다음 젖은 상태에서 저장을 한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3. 농업기술 3월호

__________. 1990. 채소재배(표준영농교본22, 개정판).제목, 기관명, 담당자, 전화번호로 이루어진 표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