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고추

10. 고추 재배 형태의 분화

by 내오랜꿈 2015. 3. 4.
728x90
반응형


재배 형태의 분화


우리나라에서 현재 고추의 재배 형태는 조숙 재배와 촉성 재배, 반촉성 재배, 억제 재배 등으로 구분한다. 이처럼 재배 형태가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홍고추 및 풋고추의 주년 생산이 가능해졌다. 조숙 재배는 아주심기 후 재료에 따라 노지재배, 터널재배, 비가림하우스 재배로 나눌 수 있다. 최근 탄저병 억제 및 국내 자급률 향상을 위해 비가림 지원과 재배가 적극 권장되고 있다.


터널재배에서 조기 아주심기에 따른 서리 및 우박 피해 예방, 수량 증대, 농약 절감을 목적으로 일라이트 부직포를 이용한 재배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재배 형태는 대체로 재배되는 시기에 따라 구분된다. 재배 형태에 따른 재배 시기 는 <그림 5-1>과 같다.




현재 가장 많은 재배 형태는 노지 조숙재배로 건고추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노지 조숙재배는 전국 어디에서나 가능하고 지역에 따라 재배 기간이 다소 달라지지 만 대체로 남부지방은 4월 하순에, 중부지방은 5월 상순에 아주심기해 서리가 오 기 전까지 재배를 지속할 수 있다. 터널조숙재배는 중남부 지역에서 많이 재배하는 형태로 노지에 소형터널을 설치해 노지조숙재배보다 다소 아주심기 시기를 앞 당겨 재배하는 형태이다. 무리하게 아주심기 시기를 앞당기면 냉해나 동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일라이트부직포 터널재배는 서리를 예방할 수 있으나 동해는 막을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지역별 아주심기일 보다 7일 정도 조기 아주심기를 할 수 있다.

 

촉성 재배는 11월 중순경에 아주심기해 시설 내에서 월동하면서 풋고추를 생산하는 형태로 난방비를 감안하면 남부지방에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반촉성 재배는 2월 하순경에 아주심기해 7월까지 재배하는 형태로 중남 부 지방에 적합하지만 난방비를 감안하면 남부지방에서 난방을 적게 하고 보온을 충실히 해 재배하는 것이 적합하다. 억제 재배는 고온기에 육묘를 해 9월 중순경에 아주심기·재배하는 형태로 역시 시설 내에서 월동한다.

 

노지재배는 장마, 태풍, 가뭄 등 기상 환경 조건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아 작황의 변화가 심하다. 시설재배는 적정 환경 조건이 아닌 시기에 재배하기 위해서는 외 부 환경과 차단할 수 있는 시설과 시설 내를 적정 조건의 환경으로 조성해줄 수 있는 부대장치가 필요하다.

 

어떤 재배 형태를 선택할 것인지는 해당 지역의 입지 조건과 경제성 및 재배자의 기술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 재배 형태 선정 시 가장 중요한 것 은 경제성으로 어느 지역에 어떤 재배 형태가 가장 많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지를 생산비를 감안해서 해야 한다. 생산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난방비로 중부지방은 남부지방보다 난방비의 비중이 높으므로, 시설재배는 난방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한 남부지방 위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728x90
반응형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고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고추 터널조숙재배  (0) 2015.03.04
11. 고추 노지조숙재배  (0) 2015.03.04
9. 고추 육묘 관리  (0) 2015.03.04
8. 고추 특수재배기술  (0) 2015.03.04
7. 국가별 고추류 수출입 동향  (0) 201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