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추재배 현황과 경영적 특성
가. 국내재배 현황
고추는 이용 용도에 따라 크게 건고추와 풋고추로 나누어지지만 옛날에는 건고추용 재배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고추는 우리나라에서 1975년 이래 채소류 중 가장 넓은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작목이다. 연도별 재배현황을 보면(<표 2-1>), 2004년의 재배면적은 61,894ha에서 154,960톤의 건고추가 생산되어 10a당 평균수량은 250kg이었다.
<표 2-1> 연도별 건고추 재배면적 및 생산량
연도 | 재배면적 | 10a당 (kg) | 생산량 (M/T) | 전체 채소재배면적에 대한 비율(%) |
---|---|---|---|---|
1946~1950 | 10,729 | 205 | 22,270 | - |
1950~1955 | 11,376 | 324 | 36,974 | 11.1 |
1956~1960 | 13,320 | 208 | 27,607 | 11.7 |
1961~1965 | 17,277 | 230 | 39,797 | 13.0 |
1966~1970 | 30,867 | 223 | 66,799 | 15.2 |
1971~1975 | 55,346 | 159 | 84,531 | 25.8 |
1976~1980 | 103,751 | 109 | 115,595 | 38.8 |
1981~1985 | 120,853 | 124 | 148,882 | 33.4 |
1986~1990 | 89,955 | 188 | 165,026 | 26.1 |
1991~1995 | 81,787 | 172 | 173,951 | 22.0 |
1996~2000 | 76,740 | 254 | 194,995 | 20.5 |
2001 | 70,736 | 255 | 180,120 | 19.3 |
2002 | 72,104 | 267 | 192,753 | 21.6 |
2003 | 57,502 | 230 | 132,500 | 19.6 |
2004 | 61,894 | 250 | 154,960 | 20.5 |
2005 | ||||
---|---|---|---|---|
2006 | 53,097 | 220 | 116,915 | |
2007 | 54,876 | 292 | 160,398 | |
2008 | 48,825 | 253 | 123,508 | |
2009 | 44,817 | 262 | 117,324 | |
2010 | 44,584 | 214 | 95,392 | |
2011 | 42,574 | 181 | 77,110 | |
2012 | 45,459 | 229 | 104,246 | |
2013 | 45,360 | 260 | 117,816 | |
2014 | 36,120 | 236 | 85,068 |
,
그러나 해에 따라 재배면적과 수량에 심한 차이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주로 노지에서 고추가 재배되므로 당해의 기후요인에 영향을 받아 작황이 불안정하여 가격변동이 심하였기 때문이다. 풋고추의 연도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표 2-2>와 같다.
2004년에는 재배면적이 6,485ha이고 생산량은 255,319톤으로 10a당 평균 수량은 3,937kg이었다. 풋고추의 재배면적은 최근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으로‘70년대에는 전체 채소면적의 0.1~0.2%이었던 것이 1997년에는 1.4%도로 많아졌고, 2004년도에는 전체 채소 재배면적의 2.2%까지 차지하면서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표 2-2> 풋고추의 연도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
연도 | 재배면적(ha) | 10a당 | 생산량 | 채소 전체 재배면적에 대한 비율(%) |
---|---|---|---|---|
1966~1970 | 138 | 2,499 | 3,425 | 0.1 |
1971~1975 | 327 | 1,461 | 4,608 | 0.2 |
1976~1980 | 953 | 1,248 | 11,457 | 0.4 |
1981~1985 | 1,850 | 1,395 | 25,625 | 0.52 |
1986~1990 | 2,386 | 1,806 | 42,145 | 0.72 |
1991~1995 | 3,660 | 2,408 | 89,427 | 0.98 |
1996~2000 | 4,981 | 3,165 | 159,164 | 1.33 |
2001 | 5,517 | 4,198 | 231,630 | 1.54 |
2002 | 4,620 | 4,078 | 188,403 | 1.38 |
2003 | 5,648 | 3,863 | 218,164 | 1.92 |
2004 | 6,485 | 3,937 | 255,319 | 2.15 |
2005 | ||||
---|---|---|---|---|
2006 | 5,605 | 4,211 | 236,052 | |
2007 | 5,966 | 4,253 | 253,738 | |
2008 | 6,060 | 4,328 | 262,254 | |
2009 | 5,704 | 4,087 | 233,211 | |
2010 | 5,392 | 3,989 | 205,071 | |
2011 | 4,814 | 3,846 | 185,147 | |
2012 | 4,995 | 3,961 | 197,869 | |
2013 | 4,851 | 3,733 | 181,069 | |
2014 | 4,619 | 4,025 | 185,915 |
표 2-3. 고추의 시도별 재배면적(2014년도)
시도별 | 건고추 | 풋고추 | ||
---|---|---|---|---|
재배면적(㏊) | 비율(%) | 재배면적(㏊) | 비율(%) | |
서 울 | 7 | 0.01 | 40 | 0.86 |
부 산 | 48 | 0.13 | 0 | |
대 구 | 127 | 0.48 | 19 | 0.41 |
인 천 | 589 | 1.63 | 0 | |
광 주 | 139 | 0.38 | 293 | 6.34 |
대 전 | 83 | 0.22 | 9 | 0.19 |
울 산 | 182 | 0.50 | 4 | 0.08 |
경 기 | 2,919 | 8.08 | 316 | 6.84 |
강 원 | 2,674 | 7.40 | 841 | 18.20 |
충 북 | 3,242 | 8.97 | 97 | 2.10 |
충 남 | 3,792 | 10.49 | 452 | 9.78 |
전 북 | 4,584 | 12.69 | 128 | 2.77 |
전 남 | 6,792 | 18.80 | 620 | 13.42 |
경 북 | 8,587 | 23.77 | 138 | 2.98 |
경 남 | 2,335 | 6.46 | 1,654 | 35.80 |
제 주 | 20 | 0.05 | 3 | 0.06 |
세 종 | 30 | 0.19 | 4 | 0.08 |
계 | 36,120 | 100 | 4,619 | 100 |
---|
건고추의 지역별 재배면적은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북이 전체의 23.77%로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다음이 전남, 전북, 충남, 충북 순이다. 풋고추의 지역별 재배면적은 경남이 35.8%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강원이 18.2%를 차지하여 이 두 지역을 합하면 전체의 54%로 시설재배의 입지조건이 좋은 남부지방에서 반 이상이 재배되어 생산되고 있다.
나. 국외 생산현황
고추의 수확면적은 세계적으로 해에 따라 다소 달라지지만 2003년에는 1,643천ha이고, 지역적으로 구분해 보면 아시아 지역에서 절반 이상의 면적을 재배하고 있어 가장 큰 재배지역이다(<표 2-4>). 다음은 아프리카, 북미, 유럽의 순이다. 수량과 생산량의 경우는 재배기술의 차이도 있겠지만 지역 및 국가에 따라서 풋고추(단고추 포함)를 많이 이용하는 지역과 건고추(고추가루)를 많이 이용하는 지역이 있으므로 지역에 따라 직접 비교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아시아, 북미, 오세아니아 및 유럽의 경우는 풋고추(단고추 포함) 등의 수요가 많아 단위 수량이 10,000kg/ha 이상으로 높다.
<표 2-4> 세계의 고추 재배면적
국가명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
수확면적 | 순위 | 수확면적 | 순위 | 수확면적 | 순위 | |
중국 | 553 | 1 | 573 | 1 | 603 | 1 |
인도네시아 | 143 | 3 | 151 | 2 | 155 | 2 |
멕시코 | 147 | 2 | 140 | 3 | 141 | 3 |
나이지리아 | 90 | 4 | 91 | 4 | 91 | 4 |
터어키 | 78 | 5 | 88 | 5 | 88 | 5 |
가나 | 75 | 7 | 75 | 7 | 75 | 6 |
한국 | 76 | 6 | 77 | 6 | 63 | 7 |
미국 | 35 | 8 | 33 | 8 | 32 | 8 |
베닌 | 21 | 13 | 26 | 10 | 27 | 9 |
이집트 | 26 | 9 | 26 | 9 | 26 | 10 |
북한 | 24 | 10 | 24 | 11 | 25 | 11 |
스페인 | 23 | 11 | 23 | 12 | 22 | 12 |
세르비아 | 19 | 14 | 20 | 13 | 21 | 13 |
불가리아 | 22 | 12 | 20 | 14 | 20 | 14 |
루마니아 | 18 | 15 | 19 | 15 | 20 | 15 |
※ 자료 : FAOSTAT DATABASE, FAO 농업생산연감 2002.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작물통계 2004.
2003년도 국가별 수확 면적을 보면 중국이 603천ha로 가장 많고, 인도네시아, 멕시코, 나이지리아, 가나, 한국, 미국의 순이다. 북한의 경우는 25천ha에서 59천 톤의 고추가 생산되고 있어 한반도에서의 수확면적은 90천ha로 세계 5위의 면적이 된다. 이들 나라의 경우는 단고추 혹은 풋고추의 수량을 포함시킨 것으로서 한국의 건고추만의 수량에 비해 상당히 높다(<표 2-5>). 국가별 수출액과 수입액은 <표 2-6> 및 <표 2-7>과 같다.
<표 2-5> 세계의 고추 생산량
국가명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
생산량 | 순위 | 생산량 | 순위 | 생산량 | 순위 | |
중 국 | 9,884 | 1 | 10,535 | 1 | 11,529 | 1 |
멕시코 | 1,871 | 2 | 1,785 | 2 | 1,854 | 2 |
터어키 | 1,560 | 3 | 1,750 | 3 | 1,760 | 3 |
스페인 | 979 | 4 | 980 | 4 | 994 | 4 |
미국 | 857 | 5 | 844 | 5 | 845 | 5 |
나이지리아 | 715 | 6 | 720 | 6 | 720 | 6 |
인도네시아 | 580 | 7 | 635 | 7 | 553 | 7 |
이집트 | 387 | 10 | 387 | 8 | 390 | 8 |
이탈리아 | 392 | 9 | 326 | 10 | 358 | 9 |
한 국 | 412 | 8 | 381 | 9 | 350 | 10 |
네덜란드 | 295 | 11 | 310 | 11 | 315 | 11 |
가 나 | 270 | 12 | 270 | 12 | 270 | 12 |
루마니아 | 185 | 14 | 197 | 14 | 249 | 13 |
튀니지 | 214 | 13 | 210 | 13 | 193 | 14 |
불가리아 | 144 | 18 | 167 | 16 | 170 | 15 |
※ 자료 : FAOSTAT DATABASE, FAO 농업생산연감 2002.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작물통계 2004.
주) 건고추와 풋고추의 합계(양념류 제외)
<표 2-6> 세계 국가별 고추 수출액
국가명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
수출액 | 순위 | 수출액 | 순위 | 수출액 | 순위 | |
네덜란드 | 435,766 | 1 | 506,425 | 1 | 751,456 | 1 |
스페인 | 389,691 | 3 | 405,506 | 2 | 563,669 | 2 |
멕시코 | 426,847 | 2 | 364,657 | 3 | 424,930 | 3 |
미 국 | 90,946 | 4 | 90,660 | 4 | 107,686 | 4 |
캐나다 | 68,127 | 5 | 73,545 | 5 | 90,098 | 5 |
이스라엘 | 46,106 | 6 | 38,306 | 7 | 67,349 | 6 |
한 국 | 40,257 | 7 | 35,785 | 8 | 49,570 | 8 |
프랑스 | 37,111 | 8 | 39,987 | 6 | 40,956 | 8 |
터어키 | 19,652 | 11 | 24,675 | 10 | 34,900 | 9 |
벨기에 | 22,521 | 10 | 22,920 | 11 | 34,315 | 10 |
오스트리아 | 19,542 | 12 | 21,919 | 12 | 33,750 | 11 |
헝가리 | 24,988 | 9 | 25,405 | 9 | 29,629 | 12 |
중 국 | 3,214 | 20 | 4,215 | 21 | 15,519 | 13 |
뉴질랜드 | 10,071 | 14 | 10,271 | 15 | 14,846 | 14 |
이탈리아 | 9,840 | 15 | 11,964 | 14 | 13,608 | 15 |
※ 자료 : FAOSTAT DATABASE, FAO 무역연감 2002. 농림부 농림축산물수출입 동향 2004.
<표 2-6> 세계 국가별 고추 수입액
국가명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
수입액 | 순위 | 수입액 | 순위 | 수입액 | 순위 | |
미국 | 567,728 | 1 | 458,279 | 1 | 625,692 | 1 |
독일 | 358,325 | 2 | 378,767 | 2 | 484,326 | 2 |
영국 | 168,789 | 3 | 168,985 | 3 | 222,045 | 3 |
프랑스 | 110,845 | 4 | 105,080 | 4 | 157,660 | 4 |
캐나다 | 103,417 | 5 | 102,685 | 5 | 122,288 | 5 |
네덜란드 | 54,168 | 7 | 61,401 | 7 | 103,570 | 6 |
이탈리아 | 43,462 | 9 | 56,758 | 8 | 83,505 | 7 |
일본 | 67,567 | 6 | 71,121 | 6 | 82,434 | 8 |
오스트리아 | 53,880 | 8 | 51,313 | 9 | 71,588 | 9 |
스웨덴 | 39,689 | 10 | 39,399 | 10 | 55,589 | 10 |
스위스 | 28,927 | 11 | 30,550 | 11 | 41,009 | 11 |
한국 | 14,361 | 16 | 12,604 | 19 | 40,065 | 12 |
체코 | 24,395 | 12 | 29,579 | 13 | 34,196 | 13 |
벨기에 | 20,129 | 14 | 21,547 | 14 | 33,271 | 14 |
폴란드 | 0 | 138 | 29,919 | 12 | 31,034 | 15 |
※ 자료 : FAOSTAT DATABASE, FAO 무역연감 2002. 농림부 농림축산물수출입 동향 2004.
다. 경영적 특성
고추는 다른 작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작물이다. 2003년 노지재배 고추의 경영비는 527천원으로 지난 90년대 평균경영비 371천원 보다 29.4% 증가되었고, 소득은 1,807천원으로 90년대 평균소득(1,167천원)보다 54.9% 증가하였다. 연도별 건고추 표준소득의 변화를 보면<표 1-10>, 1980년대 후반기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1997년에 가격이 낮아진 것을 제외하고는 2001년까지 꾸준히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2002년에는 오히려 낮아졌다.
시설재배 고추의 2003년도 경영비는 6,940천원으로 지난 90년대 평균 경영비 4,184천원에 비교하여 65.9% 정도 증가하였으나 소득은 7,626천원으로 90년대 평균소득 5,779천원에 비해 32% 증가하는데 그쳤다. 풋고추의 연도별 소득도 건고추와 마찬가지로 1980년대 후반부터 급속히 증가되었다가 1995년 이후부터는 연차 간에 소득의 차이가 컸다(<표 1-11>).
<표 1-11> 노지재배 고추의 경영비 비교
연도 | 조수입(원) | 경영비(원) | 소득(원) | 소득률(%) |
---|---|---|---|---|
1977 | 182,356 | 56,168 | 126,188 | 692 |
1980 | 686,083 | 103,817 | 582,266 | 84.9 |
1985 | 707,075 | 210,304 | 496,771 | 70.3 |
1986 | 456,333 | 215,933 | 240,400 | 52.7 |
1987 | 646,464 | 272,785 | 373,679 | 57.8 |
1988 | 436,545 | 257,335 | 179,210 | 41.1 |
1989 | 538,747 | 263,949 | 274,798 | 51.0 |
1990 | 855,496 | 303,101 | 552,395 | 64.6 |
1991 | 1,188,148 | 352,160 | 835,988 | 70.4 |
1994 | 1,292,961 | 333,391 | 959,570 | 74.2 |
1995 | 1,613,201 | 346,718 | 1,266,483 | 78.5 |
1996 | 1,468,026 | 364,566 | 1,103,460 | 75.2 |
1997 | 1,286,034 | 356,494 | 929,540 | 72.3 |
1998 | 1,754,039 | 376,567 | 1,377,472 | 78.5 |
1999 | 1,868,956 | 417,872 | 1,451,084 | 77.6 |
2000 | 1,837,157 | 427,518 | 1,409,639 | 76.7 |
2001 | 2,159,900 | 472,751 | 1,687,149 | 78.1 |
2002 | 1,887,237 | 466,915 | 1,420,322 | 75.3 |
2003 | 2,333,302 | 526,632 | 1,806,670 | 77.4 |
* ‘03 농축산물 소득 자료집, 농촌진흥청, 2004.
<표 1-12> 시설재배 고추의 경영비 비교
연도 | 조수입(원) | 경영비(원) | 소득(원) | 소득률(%) |
---|---|---|---|---|
1979 | 566,805 | 109,685 | 457,120 | 80.6 |
1980 | 739,665 | 152,422 | 587,243 | 79.4 |
1985 | 951,101 | 332,142 | 618,959 | 65.1 |
1986 | 844,292 | 362,853 | 481,439 | 57.0 |
1987 | 1,243,169 | 362,949 | 880,220 | 70.8 |
1988 | 1,072,130 | 363,298 | 688,832 | 64.2 |
1989 | 3,526,040 | 1,163,642 | 2,362,398 | 67.0 |
1990 | 4,484,025 | 1,219,001 | 3,265,024 | 72.8 |
1991 | 6,579,831 | 1,851,266 | 4,728,565 | 71.9 |
1992 | 6,593,873 | 1,627,602 | 4,966,271 | 75.3 |
1993 | 7,317,199 | 2,279,108 | 5,038,091 | 68.9 |
1994 | 8,630,576 | 2,651,486 | 5,979,090 | 69.3 |
1995 | 8,002,917 | 3,667,734 | 4,335,183 | 54.2 |
1996 | 12,017,590 | 4,547,245 | 7,470,345 | 62.2 |
1997 | 12,329,250 | 6,423,222 | 5,906,028 | 47.9 |
1998 | 13,133,629 | 5,373,944 | 7,759,985 | 59.1 |
1999 | 13,266,709 | 6,609,017 | 6,657,692 | 50.2 |
2000 | 11,752,659 | 6,807,048 | 4,945,611 | 42.1 |
2001 | 12,757,658 | 7,089,564 | 5,668,094 | 44.4 |
2002 | 14,240,804 | 7,040,423 | 7,200,381 | 50.6 |
2003 | 14,565,510 | 6,939,619 | 7,625,891 | 52.4 |
* '03년 농축산물 소득 자료집, 농촌진흥청, 2004.
2003년도 노지 및 시설고추의 소득 분석표<표 2-10> 및 <2-11>과 같다.
비목별 | 수량 | 단가(원) | 금액(원) | 비 고 | ||
---|---|---|---|---|---|---|
조 수 입 | 주산물가액 | 230kg | 2,298417 | |||
부산물가액 | 34,855 | |||||
계 | 2,333,302 | |||||
경 영 비 | 중 간 재 비 | 종묘비 종자 | 0.7㎗ | 59,836 | ||
무기질 비료 | 171.2kg | 43,240 | ||||
유기질 비료 | 468.6kg | 29,748 | ||||
농약비 | 88,443 | |||||
광열동력비 | 33,462 | |||||
수리비 | 59 | |||||
제재료비 | 67,878 | |||||
소농구비 | 1,364 | |||||
대농구 삼가비 | 50,344 | |||||
영농시설 삼각비 | 5,838 | |||||
수리비 | 49,460 | |||||
계 | 380,212 | |||||
임차료(토지) | 60,002 | |||||
고용노력비 | 24.5시간 |
| 85,887 | 남 4.3시간 | ||
여 20.3시간 | ||||||
축력비 | 0.1시간 | 531 | ||||
계 | 526,632 | |||||
자가노력비 | 158.8시간 |
| 674,412 | 남 76.2시간 | ||
여 82.6시간 | ||||||
소 득 | 1,806,670 | |||||
부가가치 | 1,953,090 | |||||
소득률(%) | 77.4 |
* ‘03 농축산물 소득자료집, 농촌진흥청, 2004.
비목별 | 수량 | 단가(원) | 금액(원) | 비 고 | ||
---|---|---|---|---|---|---|
조 수 입 | 주산물가액 | 5,156kg | 2,822 | 14,550,232 | 상품화율 93.9% | |
부산물가액 | 15,278 | |||||
계 | 1,456,510 | |||||
경 영 비 | 중 간 재 비 | 종묘비 종자 | 2.1㎗ | 14,501 | 291,323 | |
종 묘 | 2,346.3주 | 146 | ||||
무기질 비료 | 255,277 | |||||
유기질 비료 | 3,925.7kg | 271,197 | ||||
농약비 | 201,038 | |||||
광열동력비 | 2,215,221 | |||||
수리비 | 1,613 | |||||
제재료비 | 1,273,202 | |||||
소농구비 | 7,026 | |||||
대농구 삼가비 | 473,399 | |||||
영농시설 삼각비 | 982,381 | |||||
수리비 | 75,729 | |||||
기타요금 | 28,378 | |||||
계 | 6,075,784 | |||||
임차료 농기계.시설 | 6,444 | |||||
토지 | 47,650 | |||||
위탁영농비 | 29,237 | |||||
고용노력비 | 207.1시간 | 남 6,130 | 780,504 | 남 17.8시간 | ||
여 3,587 | 여 192.3시간 | |||||
계 | 6,939,619 | |||||
자가노력비 | 581시간 | 남 6,136 | 2,795,031 | 남 279.4시간 | ||
여 3,583 | 여 301.6시간 | |||||
소 득 | 7,625,891 | |||||
부가가치 | 8,489,726 | |||||
소득률(%) | 52.4 |
* ‘03 농축산물 소득자료집, 농촌진흥청, 2004.
채소 전체 생산액 중 고추 전체의 생산액 비율은 1980년대 중반까지는 채소 전체 생산액의 거의 40%까지 달했다가 이후 1989, 1990년대에는 각각 11.2%, 14.7%까지 감소하였다. 이후 고추 전체 생산액은 채소 전체 생산액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1980년대 후반 시설고추 생산액이 분리되면서 노지고추의 생산액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이후 연차 간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꾸준히 2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풋고추의 생산액은 198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3년도에는 채소 전체 생산액의 7.1%까지 증가하였고, 1989년 풋고추 생산액을 분리한 이후 12배 이상 증가하였다(<표1-14>).
<표1-14> 채소 전체 생산액 중 고추 전체의 생산액 비율
연도 | 채소 전체 생산액(A) | 고추 전체 (B) | 노지고추 (C) | 시설고추 (D) | 비율(%) | ||
---|---|---|---|---|---|---|---|
B/A | C/A | D/A | |||||
1961 | 8,707 | 3,305 | 3,305 | 0 | 37.96 | 37.96 | 0.00 |
1965 | 36,201 | 9,473 | 9,473 | 0 | 26.17 | 26.17 | 0.00 |
1970 | 110,892 | 40,348 | 40,348 | 0 | 36.38 | 36.38 | 0.00 |
1975 | 405,515 | 155,983 | 155,983 | 0 | 38.47 | 38.47 | 0.00 |
1980 | 1,449,122 | 569,002 | 569,002 | 0 | 39.27 | 39.27 | 0.00 |
1985 | 2,241,539 | 849,799 | 849,799 | 0 | 37.91 | 37.91 | 0.00 |
1986 | 1,991,579 | 643,522 | 643,522 | 0 | 32.31 | 32.31 | 0.00 |
1987 | 1,888,885 | 542,271 | 542,271 | 0 | 28.71 | 28.71 | 0.00 |
1988 | 2,513,784 | 689,263 | 689,263 | 0 | 27.42 | 27.42 | 0.00 |
1989 | 2,580,341 | 291,185 | 248,548 | 42,637 | 11.28 | 9.63 | 1.65 |
1990 | 3,323,243 | 488,093 | 427,227 | 60,866 | 14.69 | 12.86 | 1.83 |
1991 | 3,843,547 | 771,487 | 662,791 | 108,696 | 20.07 | 17.24 | 4.21 |
1992 | 4,279,182 | 1,180,424 | 1,041,047 | 139,377 | 27.59 | 24.33 | 3.63 |
1993 | 4,554,767 | 1,186,181 | 1,043,076 | 143,105 | 26.04 | 22.90 | 3.34 |
1994 | 5,413,798 | 1,162,088 | 914,542 | 247,546 | 21.47 | 16.89 | 5.43 |
1995 | 6,515,995 | 1,426,961 | 1,199,618 | 227,343 | 21.90 | 18.41 | 3.49 |
1996 | 6,356,343 | 1,668,291 | 1,356,649 | 311,642 | 26.25 | 21.34 | 4.90 |
1997 | 6,316,983 | 1,336,655 | 989,141 | 347,514 | 21.16 | 15.66 | 5.50 |
1998 | 6,720,501 | 1,344,193 | 983,465 | 360,728 | 20.00 | 14.63 | 5.37 |
1999 | 6,817,556 | 1,682,447 | 1,114,242 | 568,205 | 24.68 | 16.34 | 8.33 |
2000 | 6,724,215 | 1,510,383 | 1,043,860 | 466,523 | 22.46 | 15.52 | 6.94 |
2001 | 7,273,558 | 1,784,072 | 1,183,688 | 600,384 | 24.53 | 16.27 | 8.25 |
2002 | 6,769,382 | 1,355,999 | 904,322 | 451,677 | 20.03 | 13.36 | 6.67 |
2003 | 7,618,911 | 1,360,108 | 816,481 | 543,627 | 17.85 | 10.72 | 7.14 |
* ‘03 농림통계연보, 농림부, 2003.
건고추의 연도별, 월별 가격 동향은 <그림 2-12>와 같다. 연도별로는 2003년 고추 작황이 좋지 않았던 이유로 2004년도 전반기에 가장 높게 유지되다가 2004년산 고추가 수확되는 7월 이후부터는 평년가격을 유지하였다. 월별로는 고추가 수확되는 7월, 8월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낮고, 김장철이 시작되는 11월 이후에 높게 유지되어 다음해 햇고추가 나오는 시기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간의 풋고추의 가격동향은 2002년 11월을 제외하고는 연차 간에 차이는 크지 않았다. 월별로는 온도가 떨어지는 11월부터 가격이 높게 유지되다가 온도가 다시 높아지는 3월부터 가격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2-1>).
그림 2-1. 연도별, 월별 건고추 가격동향(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상품)
그림 2-2. 연도별, 월별 풋고추 가격동향(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상품)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고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고추의 일반사항(4) - 고추의 생리형태적 특성 (0) | 2015.01.15 |
---|---|
3. 고추의 일반사항(3) - 고추의 영양적 가치와 약리적 효능 (0) | 2015.01.15 |
1. 고추의 일반사항(1) - 원산지 및 내력 (0) | 2015.01.15 |
고추의 특성 및 영양학적 가치 (0) | 2013.09.15 |
풋고추의 특성 및 영양학적 가치 (0) | 201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