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고추

2. 고추의 일반사항(2) - 고추재배 현황과 경영적 특성

by 내오랜꿈 2015. 1. 15.
728x90
반응형


2. 고추재배 현황과 경영적 특성


출처:경상북도농업기술원(http://db.gba.go.kr/sub02/sub01_view.php?info_no=209&kind_code=08)


가. 국내재배 현황


고추는 이용 용도에 따라 크게 건고추와 풋고추로 나누어지지만 옛날에는 건고추용 재배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고추는 우리나라에서 1975년 이래 채소류 중 가장 넓은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작목이다. 연도별 재배현황을 보면(<표 2-1>), 2004년의 재배면적은 61,894ha에서 154,960톤의 건고추가 생산되어 10a당 평균수량은 250kg이었다.


<표 2-1> 연도별 건고추 재배면적 및 생산량


연도

재배면적
(ha)

10a당
수량

(kg)

생산량

(M/T)

전체 채소재배면적에

대한 비율(%)

1946~1950

10,729

205

22,270

-

1950~1955

11,376

324

36,974

11.1

1956~1960

13,320

208

27,607

11.7

1961~1965

17,277

230

39,797

13.0

1966~1970

30,867

223

66,799

15.2

1971~1975

55,346

159

84,531

25.8

1976~1980

103,751

109

115,595

38.8

1981~1985

120,853

124

148,882

33.4

1986~1990

89,955

188

165,026

26.1

1991~1995

81,787

172

173,951

22.0

1996~2000

76,740

254

194,995

20.5

2001

70,736

255

180,120

19.3

2002

72,104

267

192,753

21.6

2003

57,502

230

132,500

19.6

2004

61,894

250

154,960

20.5

2005





2006

53,097

220

116,915


2007

54,876

292

160,398


2008

48,825

253

123,508


2009

44,817

262

117,324


2010

44,584

214

95,392


2011

42,574

181

77,110


2012

45,459

229

104,246


2013

45,360

260

117,816


2014

36,120

236

85,068


,

그러나 해에 따라 재배면적과 수량에 심한 차이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주로 노지에서 고추가 재배되므로 당해의 기후요인에 영향을 받아 작황이 불안정하여 가격변동이 심하였기 때문이다. 풋고추의 연도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표 2-2>와 같다.

2004년에는 재배면적이 6,485ha이고 생산량은 255,319톤으로 10a당 평균 수량은 3,937kg이었다. 풋고추의 재배면적은 최근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으로‘70년대에는 전체 채소면적의 0.1~0.2%이었던 것이 1997년에는 1.4%도로 많아졌고, 2004년도에는 전체 채소 재배면적의 2.2%까지 차지하면서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표 2-2> 풋고추의 연도별 재배면적 및 생산량


연도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
(M/T)

채소 전체 재배면적에

대한 비율(%)

1966~1970

138

2,499

3,425

0.1

1971~1975

327

1,461

4,608

0.2

1976~1980

953

1,248

11,457

0.4

1981~1985

1,850

1,395

25,625

0.52

1986~1990

2,386

1,806

42,145

0.72

1991~1995

3,660

2,408

89,427

0.98

1996~2000

4,981

3,165

159,164

1.33

2001

5,517

4,198

231,630

1.54

2002

4,620

4,078

188,403

1.38

2003

5,648

3,863

218,164

1.92

2004

6,485

3,937

255,319

2.15

2005





2006

5,605

4,211

236,052


2007

5,966

4,253

253,738


2008

6,060

4,328

262,254


2009

5,704

4,087

233,211


2010

5,392

3,989

205,071


2011

4,814

3,846

185,147


2012

4,995

3,961

197,869


2013

4,851

3,733

181,069


2014

4,619

4,025

185,915



표 2-3. 고추의 시도별 재배면적(2014년도)


시도별

건고추

풋고추

재배면적(㏊)

비율(%)

재배면적(㏊)

비율(%)

서 울

7

0.01

40

0.86

부 산

48

0.13

0


대 구

127

0.48

19

0.41

인 천

589

1.63

0


광 주

139

0.38

293

6.34

대 전

83

0.22

9

0.19

울 산

182

0.50

4

0.08

경 기

2,919

8.08

316

6.84

강 원

2,674

7.40

841

18.20

충 북

3,242

8.97

97

2.10

충 남

3,792

10.49

452

9.78

전 북

4,584

12.69

128

2.77

전 남

6,792

18.80

620

13.42

경 북

8,587

23.77

138

2.98

경 남

2,335

6.46

1,654

35.80

제 주

20

0.05

3

             0.06

세 종

30

0.19

4

             0.08

36,120

100

4,619

100


건고추의 지역별 재배면적은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북이 전체의 23.77%로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다음이 전남, 전북, 충남, 충북 순이다. 풋고추의 지역별 재배면적은 경남이 35.8%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강원이 18.2%를 차지하여 이 두 지역을 합하면 전체의 54%로 시설재배의 입지조건이 좋은 남부지방에서 반 이상이 재배되어 생산되고 있다.


나. 국외 생산현황


고추의 수확면적은 세계적으로 해에 따라 다소 달라지지만 2003년에는 1,643천ha이고, 지역적으로 구분해 보면 아시아 지역에서 절반 이상의 면적을 재배하고 있어 가장 큰 재배지역이다(<표 2-4>). 다음은 아프리카, 북미, 유럽의 순이다. 수량과 생산량의 경우는 재배기술의 차이도 있겠지만 지역 및 국가에 따라서 풋고추(단고추 포함)를 많이 이용하는 지역과 건고추(고추가루)를 많이 이용하는 지역이 있으므로 지역에 따라 직접 비교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아시아, 북미, 오세아니아 및 유럽의 경우는 풋고추(단고추 포함) 등의 수요가 많아 단위 수량이 10,000kg/ha 이상으로 높다.


<표 2-4> 세계의 고추 재배면적


국가명

2001년

2002년

2003년

수확면적
(천㏊)

순위

수확면적
(천㏊)

순위

수확면적
(천㏊)

순위

중국

553

1

573

1

603

1

인도네시아

143

3

151

2

155

2

멕시코

147

2

140

3

141

3

나이지리아

90

4

91

4

91

4

터어키

78

5

88

5

88

5

가나

75

7

75

7

75

6

한국

76

6

77

6

63

7

미국

35

8

33

8

32

8

베닌

21

13

26

10

27

9

이집트

26

9

26

9

26

10

북한

24

10

24

11

25

11

스페인

23

11

23

12

22

12

세르비아

19

14

20

13

21

13

불가리아

22

12

20

14

20

14

루마니아

18

15

19

15

20

15

※ 자료 : FAOSTAT DATABASE, FAO 농업생산연감 2002.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작물통계 2004. 

2003년도 국가별 수확 면적을 보면 중국이 603천ha로 가장 많고, 인도네시아, 멕시코, 나이지리아, 가나, 한국, 미국의 순이다. 북한의 경우는 25천ha에서 59천 톤의 고추가 생산되고 있어 한반도에서의 수확면적은 90천ha로 세계 5위의 면적이 된다. 이들 나라의 경우는 단고추 혹은 풋고추의 수량을 포함시킨 것으로서 한국의 건고추만의 수량에 비해 상당히 높다(<표 2-5>). 국가별 수출액과 수입액은 <표 2-6> 및 <표 2-7>과 같다.


<표 2-5> 세계의 고추 생산량


국가명

2001년

2002년

2003년

생산량
(천톤)

순위

생산량
(천톤)

순위

생산량
(천톤)

순위

중 국

9,884

1

10,535

1

11,529

1

멕시코

1,871

2

1,785

2

1,854

2

터어키

1,560

3

1,750

3

1,760

3

스페인

979

4

980

4

994

4

미국

857

5

844

5

845

5

나이지리아

715

6

720

6

720

6

인도네시아

580

7

635

7

553

7

이집트

387

10

387

8

390

8

이탈리아

392

9

326

10

358

9

한 국

412

8

381

9

350

10

네덜란드

295

11

310

11

315

11

가 나

270

12

270

12

270

12

루마니아

185

14

197

14

249

13

튀니지

214

13

210

13

193

14

불가리아

144

18

167

16

170

15

※ 자료 : FAOSTAT DATABASE, FAO 농업생산연감 2002.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작물통계 2004. 
주) 건고추와 풋고추의 합계(양념류 제외)


<표 2-6> 세계 국가별 고추 수출액


국가명

2001년

2002년

2003년

수출액
(천$)

순위

수출액
(천$)

순위

수출액
(천$)

순위

네덜란드

435,766

1

506,425

1

751,456

1

스페인

389,691

3

405,506

2

563,669

2

멕시코

426,847

2

364,657

3

424,930

3

미 국

90,946

4

90,660

4

107,686

4

캐나다

68,127

5

73,545

5

90,098

5

이스라엘

46,106

6

38,306

7

67,349

6

한 국

40,257

7

35,785

8

49,570

8

프랑스

37,111

8

39,987

6

40,956

8

터어키

19,652

11

24,675

10

34,900

9

벨기에

22,521

10

22,920

11

34,315

10

오스트리아

19,542

12

21,919

12

33,750

11

헝가리

24,988

9

25,405

9

29,629

12

중 국

3,214

20

4,215

21

15,519

13

뉴질랜드

10,071

14

10,271

15

14,846

14

이탈리아

9,840

15

11,964

14

13,608

15

※ 자료 : FAOSTAT DATABASE, FAO 무역연감 2002. 농림부 농림축산물수출입 동향 2004.


<표 2-6> 세계 국가별 고추 수입액


국가명

2001년

2002년

2003년

수입액
(천$)

순위

수입액
(천$)

순위

수입액
(천$)

순위

미국

567,728

1

458,279

1

625,692

1

독일

358,325

2

378,767

2

484,326

2

영국

168,789

3

168,985

3

222,045

3

프랑스

110,845

4

105,080

4

157,660

4

캐나다

103,417

5

102,685

5

122,288

5

네덜란드

54,168

7

61,401

7

103,570

6

이탈리아

43,462

9

56,758

8

83,505

7

일본

67,567

6

71,121

6

82,434

8

오스트리아

53,880

8

51,313

9

71,588

9

스웨덴

39,689

10

39,399

10

55,589

10

스위스

28,927

11

30,550

11

41,009

11

한국

14,361

16

12,604

19

40,065

12

체코

24,395

12

29,579

13

34,196

13

벨기에

20,129

14

21,547

14

33,271

14

폴란드

0

138

29,919

12

31,034

15

※ 자료 : FAOSTAT DATABASE, FAO 무역연감 2002. 농림부 농림축산물수출입 동향 2004.


다. 경영적 특성


고추는 다른 작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작물이다. 2003년 노지재배 고추의 경영비는 527천원으로 지난 90년대 평균경영비 371천원 보다 29.4% 증가되었고, 소득은 1,807천원으로 90년대 평균소득(1,167천원)보다 54.9% 증가하였다. 연도별 건고추 표준소득의 변화를 보면<표 1-10>, 1980년대 후반기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1997년에 가격이 낮아진 것을 제외하고는 2001년까지 꾸준히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2002년에는 오히려 낮아졌다. 

시설재배 고추의 2003년도 경영비는 6,940천원으로 지난 90년대 평균 경영비 4,184천원에 비교하여 65.9% 정도 증가하였으나 소득은 7,626천원으로 90년대 평균소득 5,779천원에 비해 32% 증가하는데 그쳤다. 풋고추의 연도별 소득도 건고추와 마찬가지로 1980년대 후반부터 급속히 증가되었다가 1995년 이후부터는 연차 간에 소득의 차이가 컸다(<표 1-11>).


<표 1-11> 노지재배 고추의 경영비 비교


연도

조수입(원)

경영비(원)

소득(원)

  소득률(%)

1977

182,356

56,168

126,188

692

1980

686,083

103,817

582,266

84.9

1985

707,075

210,304

496,771

70.3

1986

456,333

215,933

240,400

52.7

1987

646,464

272,785

373,679

57.8

1988

436,545

257,335

179,210

41.1

1989

538,747

263,949

274,798

51.0

1990

855,496

303,101

552,395

64.6

1991

1,188,148

352,160

835,988

70.4

1994

1,292,961

333,391

959,570

74.2

1995

1,613,201

346,718

1,266,483

78.5

1996

1,468,026

364,566

1,103,460

75.2

1997

1,286,034

356,494

929,540

72.3

1998

1,754,039

376,567

1,377,472

78.5

1999

1,868,956

417,872

1,451,084

77.6

2000

1,837,157

427,518

1,409,639

76.7

2001

2,159,900

472,751

1,687,149

78.1

2002

1,887,237

466,915

1,420,322

75.3

2003

2,333,302

526,632

1,806,670

77.4

* ‘03 농축산물 소득 자료집, 농촌진흥청, 2004.


<표 1-12> 시설재배 고추의 경영비 비교


연도

조수입(원)

경영비(원)

소득(원)

소득률(%)

1979

566,805

109,685

457,120

80.6

1980

739,665

152,422

587,243

79.4

1985

951,101

332,142

618,959

65.1

1986

844,292

362,853

481,439

57.0

1987

1,243,169

362,949

880,220

70.8

1988

1,072,130

363,298

688,832

64.2

1989

3,526,040

1,163,642

2,362,398

67.0

1990

4,484,025

1,219,001

3,265,024

72.8

1991

6,579,831

1,851,266

4,728,565

71.9

1992

6,593,873

1,627,602

4,966,271

75.3

1993

7,317,199

2,279,108

5,038,091

68.9

1994

8,630,576

2,651,486

5,979,090

69.3

1995

8,002,917

3,667,734

4,335,183

54.2

1996

12,017,590

4,547,245

7,470,345

62.2

1997

12,329,250

6,423,222

5,906,028

47.9

1998

13,133,629

5,373,944

7,759,985

59.1

1999

13,266,709

6,609,017

6,657,692

50.2

2000

11,752,659

6,807,048

4,945,611

42.1

2001

12,757,658

7,089,564

5,668,094

44.4

2002

14,240,804

7,040,423

7,200,381

50.6

2003

14,565,510

6,939,619

7,625,891

52.4

* '03년 농축산물 소득 자료집, 농촌진흥청, 2004.


2003년도 노지 및 시설고추의 소득 분석표<표 2-10> 및 <2-11>과 같다.



비목별

수량

단가(원)

금액(원)

비 고

주산물가액

230kg

2,298417

부산물가액

34,855

2,333,302

종묘비 종자

0.7㎗

59,836

무기질 비료

171.2kg

43,240

유기질 비료

468.6kg

29,748

농약비

88,443

광열동력비

33,462

수리비

59

제재료비

67,878

소농구비

1,364

대농구 삼가비

50,344

영농시설 삼각비

5,838

수리비

49,460

380,212

임차료(토지)

60,002

고용노력비

24.5시간

 

85,887

남 4.3시간

여 20.3시간

축력비

0.1시간

531

526,632

자가노력비

158.8시간

 

674,412

남 76.2시간

여 82.6시간

소 득

1,806,670

부가가치

1,953,090

소득률(%)

77.4

* ‘03 농축산물 소득자료집, 농촌진흥청, 2004.


비목별

수량

단가(원)

금액(원)

비 고

주산물가액

5,156kg

2,822

14,550,232

상품화율

93.9%

부산물가액

15,278

1,456,510

종묘비 종자

2.1㎗

14,501

291,323

종 묘

2,346.3주

146

무기질 비료

255,277

유기질 비료

3,925.7kg

271,197

농약비

201,038

광열동력비

2,215,221

수리비

1,613

제재료비

1,273,202

소농구비

7,026

대농구 삼가비

473,399

영농시설 삼각비

982,381

수리비

75,729

기타요금

28,378

6,075,784

임차료 농기계.시설

6,444

토지

47,650

위탁영농비

29,237

고용노력비

207.1시간

남 6,130

780,504

남 17.8시간

여 3,587

여 192.3시간

6,939,619

자가노력비

581시간

남 6,136

2,795,031

남 279.4시간

여 3,583

여 301.6시간

소 득

7,625,891

부가가치

8,489,726

소득률(%)

52.4

* ‘03 농축산물 소득자료집, 농촌진흥청, 2004.


채소 전체 생산액 중 고추 전체의 생산액 비율은 1980년대 중반까지는 채소 전체 생산액의 거의 40%까지 달했다가 이후 1989, 1990년대에는 각각 11.2%, 14.7%까지 감소하였다. 이후 고추 전체 생산액은 채소 전체 생산액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1980년대 후반 시설고추 생산액이 분리되면서 노지고추의 생산액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이후 연차 간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꾸준히 2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풋고추의 생산액은 198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3년도에는 채소 전체 생산액의 7.1%까지 증가하였고, 1989년 풋고추 생산액을 분리한 이후 12배 이상 증가하였다(<표1-14>).


<표1-14> 채소 전체 생산액 중 고추 전체의 생산액 비율


연도

채소 전체

생산액(A)

고추 전체

(B)

노지고추

(C)

시설고추

(D)

비율(%)

B/A

C/A

D/A

1961

8,707

3,305

3,305

0

37.96

37.96

0.00

1965

36,201

9,473

9,473

0

26.17

26.17

0.00

1970

110,892

40,348

40,348

0

36.38

36.38

0.00

1975

405,515

155,983

155,983

0

38.47

38.47

0.00

1980

1,449,122

569,002

569,002

0

39.27

39.27

0.00

1985

2,241,539

849,799

849,799

0

37.91

37.91

0.00

1986

1,991,579

643,522

643,522

0

32.31

32.31

0.00

1987

1,888,885

542,271

542,271

0

28.71

28.71

0.00

1988

2,513,784

689,263

689,263

0

27.42

27.42

0.00

1989

2,580,341

291,185

248,548

42,637

11.28

9.63

1.65

1990

3,323,243

488,093

427,227

60,866

14.69

12.86

1.83

1991

3,843,547

771,487

662,791

108,696

20.07

17.24

4.21

1992

4,279,182

1,180,424

1,041,047

139,377

27.59

24.33

3.63

1993

4,554,767

1,186,181

1,043,076

143,105

26.04

22.90

3.34

1994

5,413,798

1,162,088

914,542

247,546

21.47

16.89

5.43

1995

6,515,995

1,426,961

1,199,618

227,343

21.90

18.41

3.49

1996

6,356,343

1,668,291

1,356,649

311,642

26.25

21.34

4.90

1997

6,316,983

1,336,655

989,141

347,514

21.16

15.66

5.50

1998

6,720,501

1,344,193

983,465

360,728

20.00

14.63

5.37

1999

6,817,556

1,682,447

1,114,242

568,205

24.68

16.34

8.33

2000

6,724,215

1,510,383

1,043,860

466,523

22.46

15.52

6.94

2001

7,273,558

1,784,072

1,183,688

600,384

24.53

16.27

8.25

2002

6,769,382

1,355,999

904,322

451,677

20.03

13.36

6.67

2003

7,618,911

1,360,108

816,481

543,627

17.85

10.72

7.14

* ‘03 농림통계연보, 농림부, 2003.


건고추의 연도별, 월별 가격 동향은 <그림 2-12>와 같다. 연도별로는 2003년 고추 작황이 좋지 않았던 이유로 2004년도 전반기에 가장 높게 유지되다가 2004년산 고추가 수확되는 7월 이후부터는 평년가격을 유지하였다. 월별로는 고추가 수확되는 7월, 8월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낮고, 김장철이 시작되는 11월 이후에 높게 유지되어 다음해 햇고추가 나오는 시기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간의 풋고추의 가격동향은 2002년 11월을 제외하고는 연차 간에 차이는 크지 않았다. 월별로는 온도가 떨어지는 11월부터 가격이 높게 유지되다가 온도가 다시 높아지는 3월부터 가격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2-1>).


그림 2-1. 연도별, 월별 건고추 가격동향(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상품)
건고추 가격동향 그래프


그림 2-2. 연도별, 월별 풋고추 가격동향(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상품)
풋고추 가격동향 그래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