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제2부-사람] ① 이 험한 곳까지 오셨네, 땅 투기 정상회담 이후 볼 수도 없는 땅 사려는 사람들…한풀 꺾였으나 연천과 철원을 지나 동진 중 ▣ 출처:<한겨레21> 제678호 2007/09/20 ▣ 해마루촌(파주)=글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 사진 박승화 기자 eyeshot@hani.co.kr 김동현(51) 이장은 “부동산 업자들이 걸어오는 전화 때문에 짜증이 나 못 살겠다”고 말했다. 그가 사는 파주시 대성동 마을은 100여 개의 ‘민통선 마을’ 가운데 유일하게 비무장지대(DMZ) 안쪽에 자리해 있다. 마을은 한국 정부의 행정력이 미치지 않는 곳이어서, 들어가보려면 유엔사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왜는 왜겠습니까. 거래할 만한 비무장지대 땅을 봤으면 좋겠다는 거죠. 마을 출입을 가능하게 해주면 사례를 하겠다는 거예요.” 그는 “요구를 딱 잘라 거절했지만 끈질기게 전화를 걸어오는 탓에 화가 난다”고 말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이후 휴전선과 접한 파주·양구·철원 일대에 땅 투기 열풍이 불고 있다는 얘기는 더 이상 뉴스가 아니다. 국내 신문과 방송이 한두 차례 휩쓸고 지나간 것은 물론이고, 2006년 1월16일에는 미국의 <뉴욕타임스>까지 나서 “부동산에는 이데올로기가 없다”는 제목으로 이 일대 개발 열풍을 소개했다. 비무장지대 땅은 비무장지대 남방 한계선 너머에 있는 철조망 저편의 땅이다. 당연히 들어갈 수 없고, 많은 경우 먼 발치에서도 바라볼 수 없다. 거래는 지적도를 보고 이뤄진다. 비무장지대 땅은 통일이 돼도 정부가 공익적 목적에 맞게 활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잘못 손댔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충고가 잇따른다. 그런데도 투기 열풍은 가라앉지 않는다. 비무장지대와 민통선 이북 지역의 땅을 둘러싼 잡음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땅을 둘러싼 잡음은 크게 세 시기로 나뉜다. 첫 번째는 철원 대마리처럼 정부 정책에 따라 민통선 북방 지역에 집단 이주해 땅을 일군 사람들과 땅의 원소유자 사이의 다툼이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일기 시작한 법정 다툼으로 이주민들은 땅을 잃었다. 두 번째 소동은 1983년에 일어났다. 전두환 정권은 1982년 12월 ‘수복지역 내 소유자 미복구토지의 복구등록과 보존등기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라는 긴 이름의 한시 특별법을 내놓는다. 법이 뜻하는 바는 간단하다. ‘수복지역’이란 애초 북의 통치 아래 있었지만, 전쟁으로 남한의 땅이 된 38선 이북의 철원·양구·고성 등과 파주군 장단면·군내면·진서면 및 진동면 지역을 뜻한다. 이 수복지역 가운데 소유관계를 보여주는 등기 서류가 사라진 땅의 소유관계를 교통정리하겠다는 것이다. 당연히 휴전선 155마일 일대에 ‘짜고 치는 고스톱’들이 성행하기 시작했다. 1993년 검찰은,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호·송현·검장·사천·저진리 일대에 소유권이 불분명한 민통선 땅 159만여 평을 착복한 혐의로 명파리에 살던 김영기(당시 69살)씨 등 11명을 구속하고 이동섭(당시 79살)씨 등 19명을 불구속 입건한다. 이들은 가짜 보증인 3명을 동원해 땅을 자기 명의로 돌려놨는데, 그 면적은 현내면 5개 마을 전체 임야의 43.8%에 해당할 정도였다. 특별법으로 민통선 지역의 소유관계는 어느 정도 정리됐다. 땅 투기 열풍은 세 번째 소동이다. 임진강 건너 민통선을 형성하는 전진교를 지나 10분 정도 차를 달리면 도착하는 파주시 진동면 해마루촌에서 만난 오아무개(65)씨는 “몇 해 전 가족 중 하나가 물려받은 철조망 바깥의 땅을 1억3천만원에 팔아먹었다”고 말했다. “참 신기하더라고. 어떻게 들어갈 수도 없는 그 땅을 살 생각을 했을까.” 부동산꾼들은 국가기록원에서 일제시대 토지사정 자료를 뒤져 상속자를 수소문하거나, 마을을 돌아다니며 땅 주인들을 접촉한다. 법망을 피하는 신종 수법 등장 민통선과 비무장지대 땅 투기 열풍은 2005년을 정점으로 어느 정도 사그라지는 분위기다. 1995년 저조한 수준에 머무르던 토지거래는 남북 정상회담 이후 꾸준히 늘기 시작해 2005년에 정점을 찍었다. 필지를 기준으로 본 2006년의 토지 거래 건수는 2005년에 견줘 20~30%씩 줄었다. (그래프 참조) 게다가 2001년 11월20일 파주시가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되는 바람에 파주 일대에서는 투기 목적의 땅 매매는 등기가 이전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계약을 맺고 공증을 받거나, 빚을 진 것처럼 속여 근저당을 설정하는 등의 신종 수법이 등장했다. 투기 열풍은 연천과 철원을 지나 동진하는 중이다. 철원에서 평당 몇천원에 거래되는 땅들이 이제는 싸면 평당 4만~5만원, 비싸면 10만원대까지 올랐다. 지난해 철원에서 거래된 땅 면적은 1835만 평이다. 경원선 근처 땅은 평당 20만~30만원을 줘도 구하기 힘들다.
|
728x90
반응형
'스크랩 > 생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Z 보고서 [제2부-사람] ③ ‘평화관광’ 같이 가실래요? (0) | 2007.09.22 |
---|---|
DMZ 보고서 [제2부-사람] ② 자력갱생, 그 잔인한 40년 (0) | 2007.09.22 |
DMZ 보고서 [제1부-생태] ⑦ DMZ 생태지도- 동해안권 (0) | 2007.09.22 |
DMZ 보고서 [제1부-생태] ⑥ DMZ 생태지도- 중·동부 산악지역 (0) | 2007.09.22 |
DMZ 보고서 [제1부-생태] ⑤ DMZ 생태지도- 중부 내륙지역 (0) | 2007.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