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뿌리채소류

순무

by 내오랜꿈 2015. 2. 6.
728x90
반응형



1. 명칭

 

학명 : Brassica rapa L.

영명 : Turnip, White turnip, Rapini, Seventop turnip

중국명 : 蕪菁, 蔓菁, 圓根, 扁夢卜

 

순무(Brassica rapa L.)의 학명 중 Brassica는 그리스의 brasso(삶는다) 또는 켈트어의 bresic(양배추)으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하며, rapa는 그리스의 rapus로부터 나온 것으로 켈트어의 rab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영어의 turnipturnnæp의 합성어로 turn은 영어로 turned 또는 round, 프랑스어의 tour 즉 둥근 모양을 뜻한다. næp은 앵글로색슨어로 라틴어의 napus에서 나온 것이다. 중국어로는 무청(蕪菁), 만청(蔓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순무를 쉿무우, 쉿무수라고도 한다.



2. 원산지 및 내력

 

[ 원산지 내력 ]


지중해연안의 남부유럽을 원산으로 하는 일원설(一元說), 지중해연안과 아시아 특히 아프카니스탄을 기원으로 하는 이원설(二元說), 지중해연안, 유럽북쪽, 시베리아 지방을 주장하는 다원설(多元說)이 있다


순무는 기원전부터 유럽에서 재배되었으며, 미주에는 1540년 카티어(Cartier)가 캐나다에 처음으로 전파하였다.

 

중국에서는 시경(詩經, B.C 770)에 봉()이라는 기록이 있고, 이아(爾雅, 기원전 4세기경)에도 순무의 이름이 나타나 있다. 중국에서는 영양채소로서 또한 기근시 구황작물(救荒作物)로 재배되고 있다. 일본은 일본서기(日本書記, 720)에 기록이 있으며, 중부지방을 경계로 서쪽지역에서는 동양계 품종, 동쪽지역에서는 서양계 품종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 경계선을 순문선(中尾,1967)이라고 부른다. 이 경계선은 작물의 전파경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에서의 내력 ]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12361251)에 종자가 약제로 쓰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강화도에서는 1천년 전부터 재배되어 온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중엽 이규보(11681241)의 시문집(詩文集)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의 가포육영(家圃六泳)에서 외, 가지, 순무, , 아욱, 박의 여섯가지 채소에 대하여 읊고 있는데, 순무에 관해서는 담근 장아찌는 여름철에 먹기 좋고 소금에 절인 김치 겨울 내내 반찬 되네 뿌리는 땅속에서 자꾸만 커져 서리맞은 것 칼로 잘라 먹으니 배 같은 맛이지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각종 문헌에 순무가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봄에는 새싹을 먹고 여름에는 잎을 먹으며 가을에는 줄기는 먹는 순무는 황달을 치료하고 오장에 이로우며 씨를 말려서 오래 먹으면 장생할 수 있다고 기록된 것으로 보아 순무는 다양한 요소를 이용된 것 같다. 근년까지도 전국적으로 재배되었으나 최근에는 점차 사라져가고 있어 강화군과 김포군, 이천군, 경북 북부의 일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3. 국내외 재배동향

 

국내의 재래종 품종은 백색, 자색, 적색 계통이 있는데 현재에는 주로 자색이 재배되어지고, 예전에는 봄, 가을재배가 일반적이었으나 년중 소비형태의 다변화에 따라 내한성, 내서성품종을 이용하여 주년재배를 하고 있다.

 

<수확기>
 - 추파재배 : 10~11월 수확
 - 춘파재배 : 5~6월 수확
 - 하파재배 : 2~3월 수확

 

4. 품종

 

신스카야(Sinskaja, 1928)는 잎의 모양과 모용(毛茸)의 유무에 따라 유럽형과 아시아형으로 나누며 다시 7지리군으로 분류하였다.

유럽형에서는 서유럽의 야생형에 가까운 텔토우군(Teltow), 절엽의 서유럽군으로 서유럽에서 러시아에 걸쳐 재배되고 있는 것, 유모전변엽(有毛全變葉)의 유럽군, 아시아형으로서는 원시적인 절엽과 전변엽의 아프카니스탄군으로 잎에 모용이 없이 입성인 것, 전변무모(全變無毛)의 일본형군, 유럽형과 아시아형의 중간으로 유럽형에 가까운 소아시아 및 팔레스타인군으로 모용이 많고 팔레스치나에서 재배되고 있는 것, 돌연변이라고 추정하는 페트로프스키형 러시아군으로 러시아를 중심으로 서유럽에서부터 시베리아에서 재배되고 있는 황색뿌리인 것으로 분류하였다.

일본형군은 일본재래계와 유럽품종계로 나뉘는데 일본재래계의 품종은 중국으로부터 한국을 거쳐 도입되어 관서지방에서 성립된 것으로 잎이 입성이며 털이 없고 대부분은 비파잎과 같다. 추대하기 쉽고 종자가 유럽 품종계보다 크며 종자의 종피형은 A형이다. A형종자는 물을 흡수하면 수포상으로 점질물(粘質物)이 있다. 유럽계 품종은 중국 동북부 또는 시베리아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초자가 개장성이고 잎에 털이 많으며 결각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뿌리에 착색되는 것이 많고 추대기는 늦다. 종자는 작고 종피는 B형이다. B형 종자는 표피세포가 가습 시에도 피막상으로 점질물질이 없으며 일본의 동부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근년 일본 순무의 재배품종을 일본재래계, 유럽품종계, 중간계로 나누고 다시 뿌리모양, 색깔 등의 특성에 따라 17품종군, 31대표품종과 58의 유사품종을 기록하고 있다.

  

5. 형태적 특성

 

뿌리는 목부비대형이며 모양은 둥근 것, 편구형, 원추형, 원통형, 쇠뿔형 등 유전적 특성에 따라 품종마다 다르다. 원시적인 모양은 길고 가로로 줄무늬가 있으며 육질이 여물다. 한편 진화된 것은 편구형으로 땅위로 솟아 나오는데 육질이 연하고 즙이 많다. 뿌리의 색깔은 흰 것이 많지만 자홍색, 홍색, 녹색, 황색인 것도 있다. 근출엽은 길이 3060, 장타원형, 도란형, 또는 피침형으로 통잎에서부터 우상(羽狀)으로 깊게 벌어진 것도 있다. 재배품종에 따라 털이 없는 것부터 털이 밀생한 것, 잎에 색소가 나타나는 것도 있다. 화경의 잎에는 자루가 없고 줄기를 싸고 있다. 꽃은 총상으로 착생되고 4월경에 개화되는데 황색이다.

 

과실은 장각과로 약 6, 세장한 주둥이가 있고 성숙되면 벌어진다. 종자는 둥글고 평평하며 미끄럽다. A게놈종으로 염색체수는 2n=20이다.

 

6. 생리 생태적 특징

 

종자는 예취 후 1개월 내외의 휴면이 있으며, 발아적온은 1520이며, 10이하 40이상에서는 발아가 불량하다. 지상부, 지하부 생육온도는 낮기온 18, 밤기온 13, 지온 1823이며, 뿌리의 비대적온은 1324, 지온 2429이다. 꽃눈은 발아직후부터 13이하의 저온에 감응하면 분화되는 것으로 되어있으며 유묘보다 큰 묘가 쉽게 감응한다. 저온감응성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유럽계 품종은 저온감응성이 둔하고 꽃눈분화가 더디므로 조기추대가 문제되는 봄 재배에서 이용하면 유리하다.

뿌리 비대에 가장 좋은 용수량은 6580%이며, 심한 다습조건이나 건조에서는 산소와 수분부족으로 생육이 억제된다. 재배 가능한 토양산도는 pH5.57.5이나 비교적 산성토양에 강하다. 뿌리의 비대가 왕성한데 잎의 생육이 쇠퇴하면 바람들이가 생기기 쉬우며, 토양조건과 시비방법이 부적당할 때, 해충에 의해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기근이, 주피의 발육이 내부 목질부의 비대에 따르지 못하여 발육이 불균형하게 되는 경우나 생육초중기에 건조하다 후기에 강우가 있으면 열근이 되기 쉽다.

 

7. 식품가치 및 이용

 

순무 잎에는 무기질, 비타민류의 함량이 많으며, 뿌리에는 트립토판(tryptophane)과 리진(lysine)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김포, 강화 등의 일부지방에서만 재배되고 있으며 생식, 김치용, 각종요리에 이용되고 있다. 순무는 한방에서 오장을 이롭게 하고 몸이 가벼워지며 기()를 늘려준다고 하였으며 씨는 볶아 기름을 짜서 하루에 한 숟가락 씩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눈빛이 영롱해진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순무의 수익성 및 조수입 2천만원 경영모형(2015 영농활용자료)

 

순무의 10a당 수량은 3,320kg이며, 조수입은 4,019천원, 경영비 1,571천원으로 소득은 2,448천원으며 소득율은 61%수준임

10a당 생산비는 2,492천원이며 순수익은 1,526천원원임

조수입 20,000천원을 달성하는 경영모형 규모는 0.66ha이며 경영비 5,081천원이 소요되며, 소득은 14,923천원임

 

. 10a당 순무 수익성


(기준 : 1기작/10a)

구 분

금 액()

비 고

조 수 입

수 량(kg)

3,320 kg

금 액()

4,019,198

 

비 용

중간재비

1,126,817

경영비-(임차료+고용노임)

경 영 비

1,571,617

 

생 산 비

2,492,485

 

수 익

부가가치

2,892,381

조수입-중간재비

소 득

2,447,581

소득율 : 61%

순 수 익

1,526,713

조수입-생산비

생 산 성

노동생산성

37,082

부가가치/노동시간

토지생산성

2,892

부가가치/

노동시간

78 시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