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는 고온성 작물이며, 뿌리는 심근성이면서도 넓게 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엽면적이 넓어 증산량이 많아 물을 좋아하는 작물이다. 그러나 습해에는 약하다. 이러한 가지의 생리적 특성 때문에 정식 후 관리를 잘해야 품질이 좋은 과실을 수확하고 수량을 늘릴 수 있다. 가지는 6월에서 10월까지 계속 수확되지만 겨울철의 수요가 적기 때문에 작형의 분화 발달이 뒤떨어져 있다. 그러나 남부의 따뜻한 지역에서 보온이 잘 되는 하우스를 이용하면 촉성재배 및 반촉성재배, 억제재배를 할 수 있다.
가. 촉성재배
촉성재배는 8~9월에 파종하여 12~5월에 수확하거나 11월에 파종하여 3~6월에 수확하는 작형이다. 주로 남부 지방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출이 시작되면서 활성화된 작형이다. 국내 시판용으로는 명절을 전후해서 가격이 좋은 시기에 출하를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나 남부지방의 따뜻한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시설 안의 온도를 낮에는 22~26℃, 밤에는 17℃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가지는 일조가 많아야 생육이 잘되고, 과실의 색깔은 자외선이 있어야 잘 나타나므로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비닐을 피복한 하우스에서 재배하고 채광(採光)이 잘 되게 관리해야 한다.
(1) 육묘
저온기 하우스에서 재배가 이루어지므로 접목묘의 정식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고온기에 육묘하게 되므로 관리에 주의를 요한다. 발아 시에 잦은 관수는 발아를 늦게 하며, 불균일하게 발아한다. 해충의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아메리카잎굴파리, 온실가루이, 총채벌레 등의 방제에 유의해야 하며, 묘를 구입할 때는 균일한 묘를 구입하여야 작물의 후기 생육에 문제가 없다.
(2) 아주심기 및 관리
이 재배 작형은 청고병 피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아주심기 전에 토양 소독 등 토양 관리에 주의하여야 하며, 아주심기 전 토양에 충분히 관수한다. 아주심기에 충분히 관수하고 고온기에 정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묘가 시들기 쉬운데 한낮에는 약간 차광하여 빨리 활착시킨다. 과다한 기비는 작물이 과번무되어 착과가 안되므로 주의한다. 보온 관리, 착과를 위한 생장조정제 처리, 유인 등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작형이므로 재배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저온기의 잿빛곰팡이, 고온기의 잎곰팡이병 피해가 심하므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나. 반촉성재배
12~1월에 파종하고, 3~4월에 하우스나 대형터널에 정식하여 4~6월에 수확하는 작형이며, 이 작형은 중부·남부지역 단동 비닐온실에서 국내에 시판하기 위한 재배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가온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보온 대책을 세워야 한다. 내수용으로 장가지 계통을 주로 재배한다. 이 작형도 따뜻한 지방에서는 재배가 가능하다.
(1) 육묘
저온기에 육묘하기 때문에 묘의 생육이 늦으므로 아주심기 전에 여유를 두고 육묘하는 것이 좋다.
(2) 아주심기 및 관리
저온기에 아주심기를 하기 때문에 활착이 잘 이루어지게 토양 온도 확보와 보온에 유의해야 한다. 제1번과가 착과된 큰 모종을 정식한다. 이때 지온이 낮으면 활착이 늦어지고, 기형과가 발생하게 되며, 석과가 많아진다. 그러므로 이중터널을 설치하여 밤의 온도를 10℃ 이상으로 유지시키고, 온도가 낮을 때는 간이난방기로 난방을 한다. 3월부터 환경이 좋아지기 때문에 과번무에 유의한다.
다. 조숙재배
2~3월에 온상에 파종 육묘하여 늦서리의 위험이 없어지고, 지온이 충분히 높아진 다음에 정식하는 작형이다. 수확은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할 수 있는데 도시 근교에서 많이 경영되고 있다. 접목하여 육묘할 경우 소요기간은 계란형 가지의 경우 100~105일, 장가지는 110일, 대장가지는 120일 정도를 요한다. 접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개 70~80일 정도 소요된다.
라. 노지재배
경기도, 강원도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재배작형으로 3~4월에 파종하여 5~6월에 정식하는 작형이다. 이 작형은 기상의 변화에 민감하므로 배수 등 포장 관리에 유의하여 재배한다. 노지 모판에 파종하여 60~70일간 육묘한 다음 정식한다. 수확 시기가 조숙재배보다 늦고, 생육 기간이 짧아 수량이 적으며, 농가당 재배 면적도 작다.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배관리(4) - 아주심기 및 초기 세력 관리 (0) | 2015.02.09 |
---|---|
재배관리(3) - 토양 관리 (0) | 2015.02.09 |
재배관리(1) - 파종 준비 (0) | 2015.02.09 |
육묘일수 및 생육환경 (0) | 2015.02.08 |
생리적 특성 및 각종 생리장해 (0) | 201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