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특작과학원 자료/마늘

마늘(8) - 주요 병해의 진단과 방제

by 내오랜꿈 2015. 2. 6.
728x90
반응형


주요병의 진단과 방제

 

우리나라 마늘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은 병 13, 해충 9종으로 22여 종 정도로 알려져 있고, 주로 큰 피해를 주는 병해는 잎마름병, 흑색썩음균핵병, 바이러스 등이며, 해충으로는 고자리파리, 뿌리응애, 선충 등이다.


보통 병해충 발생 피해는 가해자인 병해충, 먹이인 숙주식물, 주변 환경 등 3대 조건에 좌우되어 피해 정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처럼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병해충이 발생되므로 발생생태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여 병해충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바이러스

 

한국산 마늘에서 분리된 바이러스는 7종 가운데 응애 전염 모자이크바이러(GMbMV)는 국내에서, 그리고 나머지 6종은 외국에서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늘 바이러스병에 의한 피해 정도는 매우 심각하다조직배양으로 생산한 종구마늘이나 주아재배로 생산된 종구는 기존 마늘보다 1556%가 증수된다.

 

(1) 병징과 발생경과

황록색 모자이크 증상이 잎 전면에 나타나며,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식물체의 크기가 건전주와 차이가 없으므로, 외관상으로는 구분이 힘들다. 심한 경우에는 생육이 불량하며, 여러 가지 바이러스가 중복 감염되면 더욱 위축되고 인경의 비대가 빈약해진다. 마늘 모자이크바이러스(GMV)의 병징은 뚜렷하나 잠복 바이러스(GLV: 칼라바이러스)는 병징이 뚜렷하지 않다. 잠복바이러스는 기주식물에 피해를 가해하지 않지만 다른 바이러스와 복합감염 시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병원균

한국산 마늘에서 분리된 바이러스 가운데 6(GMV, GLV, LYSV, OYDV, OYDV-G, WoYSV)은 진딧물에 의하여 전파된다는 사실이 외국에서 확인되었, 응애전염 모자이크바이러스(GMbMV)는 마늘혹응애(Aceria tulipae)에 의하여 전파되고 이 응애는 마늘의 종구에서 월동하여 대기온도가 20이상이 되면 마늘 식물체의 지상부로 이동하여 잎을 가해하여 특이한 증상인 잎의 말림과 황색 큰 무늬를 동반한 생육불량이 나타난다. 잎의 주엽맥을 따라 이동하면서 번식을 되풀이하여 밀도가 급속히 커져, 이웃 마늘로도 이동하여 응애전염 모자이크바이러스(GMbMV)를 전파함이 확인되었다(구 등 1998). 마늘은 영양번식에 의하여 재배되므로 종구전염이 가장 큰 문제이다. 바이러스 입자 크기가 일정치 않아 500nm 미만에서 700nm 내외이다. GMVGLV는 모두 불활성화 온도는 5560에서 10분 정도이며, 내희석성은 10-210-3, 내보존성2일이다.

 

(3) 발생하기 쉬운 조건

 

- 저지대에서 몇 년씩 계속 재배할 때 많이 발생한다.

- 작업과정에서 병든 식물과 접촉하는 등 부주의할 경우 발생이 많다.

- 건조가 계속되며, 진딧물의 발생이 많으면 GMV가 많이 발생하기 쉽다.

- GMV의 이병성 품종을 재배하면 발생이 많다.

 

(4) 방제법


- 바이러스는 일단 감염되면 완전한 치료는 불가능하므로 가능한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바이러스 감염이 적은 조직배양 종구나 고랭지 생산종구를 사용하거나 내병성 품종을 재배한다.

- 진딧물 등 매개충의 방제를 철저히 한다.

- 종구 사용할 때 가급적 큰 우량 종구를 사용한다.

 

. 탄저병

 

이 병은 마늘의 전 생육기를 통하여 발생하고 저장 중에도 발생한다.

 

(1) 병징과 발생경과


발병 부위는 잎 또는 마늘통에서 발생한다. 처음 외축의 잎이나 엽초의 하축 가까이에 여러 가지 모양의 암녹색 또는 흑색의 반점이 생긴다. 잎에 발생하면 끝부분부터 회갈색으로 되어 마르고 그 부분에 작은 반점이 많이 생긴다.

 

(2) 병원균


콜레트리쿰 코코데스(Colletrichum coccodes)라는 곰팡이의 침입으로 일어나며 병반 위에 담황색 내지 담홍색의 포자층이 형성된다. 분생 포자는 무색단포, 타원형 또는 방추형으로 만곡하고 크기가 1828×34μ, 강모는 포자층에 존재하고, 암갈색으로 04개의 격막을 가지며, 크기는 80315×3.75.6미크론 정도이다. 이 병균의 발아 최적온도는 20로 최저온도 4, 최고온도 34pH는 최적 5.7이고, 2.49.2에서 번식한다. 병원균은 병든 조직에 형성되는 균핵의 형태로 흙 속에서 오랫동안 생존하므로 토양전염을 한다. 또한 종자에 붙은 병균이 제1차 전원염이 된다.

 

(3) 방제법

 

해당 작물 적용약제로 종자소독을 한 후, 그늘에서 말린 다음 파종한다.

발병이 심한 땅에서는 가급적 연작을 하지 않는다.

 

. 노균병

 

봄과 가을에 발생하는 병으로 3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가장 심하게 만연하는 시기는 4월 중순경으로 이 병균은 15전후의 기온을 좋아하고찬비가 내릴 때 발생이 가장 심하며, 5월 하순에는 점차 적어진다. 9월 중순 전에 파종하는 남부지방에서는 10월 중순11월 초순경에도 발생한다. 이 병은 , 양파, 쪽파에서도 발생한다.

 

(1) 병징과 발생경과

 

발병 부위는 잎 또는 화경에 발생하고, 표면에 긴 타원형 또는 방추형의 커다란 황백색의 병반이 생기고, 처음에는 흰곰팡이가 생기나 나중에는 암자색으로 변하고 비를 만나면 분생포자는 씻겨 내려서 담황백색으로 된다. 어린잎에 서는 황녹색의 병반이 되고 병반의 상부는 말라 죽는다. 이 병균은 병환부에 난포자를 형성하여 피해 식물, 종자 및 토양 속에서 겨울을 지나 초봄부터 발생하, 그 발생표면에 분생포자를 만들어 이것에 의해서 공기 전염으로 제2차 전염이 된다.


(2) 병원균

 

잎에 희미한 황녹색의 반점이 생겨 점차 황색의 다각형무늬로 확대되며, 면에는 휜색의 곰팡이가 생긴다. 병든 잎은 마르게 되고 그 후에는 2차 기생균이 부착되어 흑갈색으로 된다. 피해 정도는 말라 들어가는 것이 빠르면 빠를수록 통의 비대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수량이 반감하여 50% 이하일 때도 있다잠복기간은 4월에는 14일 이내이나 5월 상순경이 되면 47일로 단축되고 세대번식을 반복함으로써 병엽에서 건강엽으로의 감염이 극히 빠르며, 특히 발병한 마늘밭에서는 구가 작으며 저장 중의 마늘에 부패도 많이 생겨서 경제적인 손실이 매우 크다


병원균은 물과 관련이 깊은 수생균(水生菌)의 일종으로 돌림병균과 가까운 종이지만 토양전염이 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병원균은 분생포자를 형성하며, 후자는 월동을 위한 내구체로 불량한 환경에서 잘 견딘다병원균은 대표적인 저온균으로서 포자 발아에는 이슬과 같은 물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마늘에서 생육 후기에 비료기가 떨어져 쇠약하게 자랄 때 발생이 많은 경향이 있다. 또한 비가 자주 오는 해에 발생이 많다.

 

(3) 방제법

 

발병지에서는 적어도 3년간 다른 작물을 재배하여야 한다.

종자 마늘은 무병한 땅에서 재배된 것을 택한다.

발병 잎을 모아서 태운다.

 

. 잎마름병


마늘에서는 중부 지방에서 5월경에 많이 발생하고, 파에서도 5월에서 11초까지 발생하며, 기주식물은 마늘, , 양파이다. 봄에 비가 자주 오는 해에는 5월 중하순 경부터 잎에 발생이 심하고 피해가 크다.


(1) 병징과 발생경과

 

주로 잎에 발생하나 심하면 잎집과 인편에도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회백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병반 주위가 담갈색을 띠고 중앙부위는 적갈색으로 변한다. 간혹 적갈색의 병반이나 흑갈색의 병반만 형성될 때도 있. 병반이 상하로 길게 확대되고 심하면 잎끝까지 엽맥을 따라 변색된다. 후에 병반상에는 검은 곰팡이(분생포자)가 밀생한다. 이 검은 곰팡이는 균사 또는 분생포자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자낭각의 형태로 월동하며, 이들이 발아하여 생긴 분생포자나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공기 전염한다. 또한 종자내부에서 균사의 형태로 종자 전염하기도 한다. 주로 비가 자주 와서 다습해지면 발생이 많아지며 마늘 생육 후기에 쇠약할 때 많이 발생된다.

 

(2) 병원균

 

병균은 진균(곰팡이)의 일종으로 자낭균에 속하며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원균은 332온도범위 내에서 생육하고 비교적 고온을 좋아하나 분생포자의 발육적온은 2025이고, 약산성에서 잘 발육한다. 단자경은 담갈색 내지 갈색이고, 격막 23, 크기는 4060μ×5.76.3μ으로 총생 또는 단생한다. 분생포자는 토양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종구에 붙어있는 병원균이 1차 전염원이 될 수도 있다. 2차 전염원은 1차 전염원에 의하여 형성된 병반에서 분생포자가 주위 포자에 만연한다. 강우가 많고 온도가 높은 연도에는 발생이 많으며, 질소질 비료의 과용으로 식물체가 도장하거나 질소비료가 부족하여 식물체가 연약하면 병 발생이 많아진다하우스재배나 연작하는 포장에는 병 발생이 증가한다. 토양산도는 pH5.56.0 정도가 적당하며, 배수가 양호하고 부식이 충분한 토양에서 병의 피해가 적다.

 

(3) 방제법

 

- 종자 소독을 실시한다.

- 수확 후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하고, 이병 잔재물이 포장에 남아있지 않도록 땅속에 깊이 묻는다.

- 발병이 많은 곳은 23년 간격으로 돌려짓기를 한다.

- 발병 직전 또는 발병 초기부터 10일 간격으로 수확 714일 전까지 35회 정도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 재배적인 방법으로 건전종구를 사용하고, 퇴비를 충분히 사용하며, 균형시비를 하여 식물체가 강건하게 자라도록 한다.


. 무름병

 

박테리아(Bacteria)의 침입으로 발생하는데 생육 초기에 지제부로부터 발병해서 부패되고, 냄새가 나며 잎이 마르고 넘어진다. 마늘의 인편이 무르고 부패할 때도 있고, 비가 올 때 수확하면 저장 중에도 발병한다.

 

(1) 병징과 발생경과

 

지제부에서 발병하여 지하 연백부를 부패시키는데 녹색부에서는 처음 방추형 암녹색이고, 잎맥을 따라서 작은 방추형 수침상의 연화부가 나타나고 이것을 중심으로 상하로 진전되어 상부의 잎은 황변한다.

 

(2) 병원균

 

토양에 서식하는 세균의 일종으로 3235의 고온에서 잘 번식하며, pH 6 이상의 중성이나 약알칼리 토양에서 잘 자란다. 병원균은 기주식물이나 잡초의 뿌리 근처에서 생존하며, 대개 표토로부터 15cm 이내에 분포하나 25cm 상의 깊이에서 생존하는 것도 있다. 세균의 번식에는 토양 내의 다습조건이 필수적이며, 건조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약하다. 병원균은 식물의 표피를 뚫고 직접 침입하는 일은 없으며, 주로 관개수, 빗물, 토양곤충 등을 통하여 식물체의 상처 부위로 침입한다.

 

(3) 방제법

 

피해주는 발견 즉시 제거하고, 연작을 피하며, 23년간 벼과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좋다.

이 병원균은 무, 양배추, 토마토, 감자, 강낭콩, 오이, 토란 등에도 발생되므로 이들의 작물이 부패했을 때는 그 토양에 마늘을 재배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병은 석회 부족 시 발병이 많으므로 석회를 기준량을 준다.

질소 비료를 너무 많이 주면 병 발생이 많아지므로 3요소의 균형시비를 한다.

세균성이면서 토양병해이므로 약제의 살포효과는 대단히 낮다. 따라서 예방적 살포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발병이 우려되거나 발병 초기에 적용농약을 살포한다.


. 잎집썩음병

 

이 병은 외국에서는 춘부병이라 부르는데 34, 10전후의 다습환경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계속 발병하나 봄에 많이 발생한다. 국내 마늘밭에서 발생되고 있으나 정확한 피해면적이나 기초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 병징과 발생경과

 

생육 중기에 마늘의 잎집이 담갈색으로 변해 썩어 들어가고 진전되면 줄기 전부와 구까지도 부패한다. 지상부는 하엽부터 황화되기 시작하고 심한 포기는 전체가 부패 고사한다. 초기에는 잎의 엽맥을 따라 담갈색 줄무늬 모양으로 길게 변색되기도 한다.

 

(2) 병원균

 

음성 간상세균으로 14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생육온도 범위는 238이고, 생육적온은 2729이다. 병원균은 운동성이 있어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스스로 이동하여 전파될 수 있다.

 

(3) 방제법

 

수확 후 이병주는 제거하여 소각하고 생육기 중 발병주는 발견 즉시 제거한다.

배수가 잘되도록 하고 시설재배는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등록된 약제가 없다.

 

. 마늘 분홍썩음병

 

(1) 병징과 발생경과

 

인편의 상처로부터 감염되며 습기가 있을 때는 연부하고 건조할 때는 위축 건부되어 단단해져서 갈색으로 변하는데 표면에 백색의 분상물이 생길 때도 있다발생 경로는 마늘에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양파와 같이 종구에 붙어 기생하여 전염하거나 포자의 형태로 죽은 식물체나 토양 속에서 월동하고 이듬해 기주의 인경에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병원균

 

후사륨균의 일종인 균의 기생에 의하고 마늘과 양파에서 생기나 파에서는 볼 수 없다. 두 종류의 분생포자를 만드는데 대형의 포자는 건상이고 격막이 13개 있고, 크기는 2542 × 4.56.3μ, 소포자는 단포 무색이다.

 

(3) 방제법

 

이 병이 발생된 지역에서는 23년간 다른 작물을 재배한 다음 마늘을 재배할 때는 토양 소독으로 석회질소를 10a4050kg 시용한다.

씨마늘 소독을 철저히 실시한다.

 

. 오갈병

 

이 병은 빠를 때는 4월부터 발생하나 대부분 5, 6월경 많이 발생한다. 마늘 외에도 파, 양파에도 발생한다.

 

(1) 병징과 발생경과

 

병징을 자세히 관찰하면 몇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로 한 포기 전체가 황변하고 현저히 작아지는 것이 있고, 둘째, 잎에 황색 또는 담황색의 모자이크 현상이 나타나고 잎이 구부러지며 위축되고 생육이 불량하다. 셋째, 잎은 보통색이나 반입은 없고 요철이 되어 파상을 나타내고, 기형이 되어 포기 전체가 위축되고 구부러져서 생육이 불량하다. 넷째, 잎에는 황색의 반입이 있으나 구부러지지 않으면서 생육이 불량한 것이 있고, 다섯째, 잎은 황변하고 구부러지나 병반은 없다. 이상과 같이 이 병에 걸리면 생육이 현저히 저해될 뿐만 아니라 잎이 일찍 마르므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오갈병은 마늘 종구(종자)와 진딧물총채벌레 등에 의하여 전염된다. 특히, 마늘은 영양번식을 하므로 인편에 감염되었던 것을 파종하면 나타난다.

 

(2) 병원균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마늘은 거의 Virus에 감염되어 있으며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는 대개 모자이크 바이러스(Garlic Mosaic Virus)와 잠재 바이러스(Garlic Latant Virus)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에 걸리면 마늘은 수량과 품질이 급격히 떨어진다.


(3) 방제법

 

종자 마늘은 반드시 건전한 것을 선택하여 파종한다.

마늘은 채종포를 설치해서 이병주는 발견 즉시 제거한다.

이 병의 전염을 막기 위하여 진딧물, 총채벌레 등을 철저히 구제한다.

 

. 흑색썩음균핵병

 

파에서 발생되었으나 마늘에는 1988년 전남 고흥군에서 발견된 후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난지형 마늘에서 가장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병이 되고 있다. 현재 전남, 경남, 제주, 충남 일부 지역의 주산단지에서 발생되어 피해를 주고 있고 양파, 쪽파에도 발생되고 있다. 이 병은 토양전염성 병해로 일단 발병된 포장은 매년 되풀이하여 발생되어 현재까지 특별한 방제법이 없기 때문에 항상 경계하여야 할 병이다.

 

(1) 병징과 발생경과

 

이 병의 숙주작물은 마늘, 양파, 대파, 쪽파 등 파 속 작물로 알려져 있다. 원균이 균핵상태로 토양에 잠복해 있다가 마늘 파종 후 뿌리에서 나오는 분비물에 유인되어 발아하여 뿌리, 인경, 잎으로 발생한다. 인경에는 처음 흰 균사가 표면에 나타나고, 진전되면 인경 전체가 흑색으로 변해 썩는다. 후에 인경과 뿌리가 변색되어 썩고, 심하면 지상부 줄기까지 물러 썩는다. 지상부의 잎은 아래쪽부터 누렇게 변하고, 심해지면 포기 전체가 갈색으로 변해 말라 죽는다. 파종 후 2개월째부터 수침상으로 뿌리가 부패하는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월동 후 많이 발생한다. 피해주의 줄기나 잎은 시들거나 황변되지, 반점 등의 증상이 없어 생리장애처럼 보이나 뽑아 보면 인경 표피에 깨알모양 또는 부스럼형태의 흑색균핵이 다수 형성되어 벼멸구 피해처럼 군데군데 괴멸, 고사된다. 논마늘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 밭마늘에 주로 발생되고 처음에는 포장에 농기계가 들어가는 입구나 가장자리에 발생되다가 매년 피해 면적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균핵의 크기는 보통 0.50.6mm로서 다른 균핵병보다 매우 작다. 균핵은 1520범위에서 가장 양호하게 형성된다.

 


(2) 발병조건

 

주로 주산단지의 연작지대에서 뿌리응애, 선충, 고자리 파리 등의 피해와 동시에 발생한다. 여름에는 땅속에 휴면상태로 있다가 910월식물체 지하부에 침입, 기주에서 월동한 다음 이른 봄부터 4월까지 발생하며, 지온이25이상이 되면 휴면에 들어간다. 병원균은 병 발생 정도가 마을단위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서 병든 포장에서 사용했던 트랙터, 쟁기 등의 농기계에 의해 인접한 건전한 밭에 퍼지게 되고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을 퇴비로 사용할 경우도 전염원의 하나로 추정된다. 한편 균핵이 마늘이나 쪽파 등의 종구에 잠복해 있다가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 간 종구교환이나 구입재배 시 전염될 가능성이 높다.

 


(3) 방제법

 

지금까지 발표된 방제법으로 완전 방제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만 병원균의 병원원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되며 일단 지상부에 피해가 나타나면 방제가 어렵다오염지역에서는 농기계 공동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사용 후 반드시

농기계를 소독세척 후 사용한다.



병든 포기는 일찍 제거하여 잔사물을 없애고, 피해를 받았던 식물체는 퇴비로 사용하지 않는다.

영양번식 파 속 작물 종구 구입 시 균핵병의 감염여부를 확인 후 건전종구를 구입한다.

답전윤환이 가능한 지역이나 이모작이 가능한 지역은 벼 재배로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발생이 심한 포장은 45년 파 속 식물 외의 작물로 돌려짓기 한다.


종구소독법 : 종구에 해당 작물 적용약제를 처리한다.


토양소독법 : 가스훈증에 의한 방법으로 땅이 건조할 경우 멀칭 직전에 물을 살포하여 실시하며 소독방법은 마늘파종 4주 전에 다조멧 입제 30kg/10a 살포 경운 비닐멀칭 경운 발아검사 마늘파종 순으로 처리한. 비닐 밀폐소독 후 다시 경운 파종하므로 이 방법은 토양 미생물까지도 전멸시켜 작물생육에 더 큰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생육기 방제법 : 마늘 파종 전후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약액이 토양에 충분히 스며들게 하여야 효과가 있으므로 비 온 후나 비 오기 직전에 살포하거나 관수한다. 이 병의 균핵 대부분은 마늘 수확 후 종구에 붙어 있거나 마늘 주변 흙에 잔류되어 후작물 재배를 위한 경운 정지작업을 할 때 토양과 혼합되어 잠복해 있다(5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