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잡초 방제
▶ 잡초를 방제하지 않으면 콩의 키가 지나치게 커지고 줄기가 연약해져 쓰러지기 쉬우며 수량이 49% 감소합니다.
잡초 방제포장 잡초 발생포장
▶ 이렇게 하면 됩니다.
1) 제초제를 이용한 잡초 방제
① 제초제의 선택 및 살포시기
토양처리제(싹 나기 전): 파종한 후부터 3일 이내 제초제 살포
경엽처리제(싹이 난 후): 화본과 잡초 3~5엽기에 처리
② 제초제 살포방법
<토양처리제>
- 파종한 후 물 20ℓ당 적용약제에 따라 사용량 조절
- 10a당 살포량이 보통 100ℓ이나 약제에 따라 다름
- 입제 살포 시 콩을 파종 후 흙을 곱게 부셔서 복토한 후 토양 표면에 골고루 뿌려줌
- 동력분무기로 살포 시 살포 물량을 늘려 뿌려줌
- 가뭄이 심할 때에는 살포물량을 늘려 골고루 뿌려줌
<경엽처리제>
- 적용이 가능한 잡초 종류와 시기를 파악하여 살포
- 물 20ℓ당 적용약제에 따라 사용량 조절하여 살포
- 10a당 살포 물량이 보통 120ℓ이나 약제에 따라 다름
- 비선택성 제초제는 밭고랑에만 살포해줌
- 제초제 종류에 따라 잡초가 방제되는 시기가 다름
▶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 수분이 지나치게 많은 토양은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비온 직후에는 토양처리제를 살포하지 마세요.
▶ 논 콩에 제초제 처리 시 인근 벼 포장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 모래땅이나 진땅에서는 약해의 염려가 있습니다.
▶ 비선택성 제초제 살포 시 농작물의 잎과 줄기에 묻지 않도록 해주세요.
▶ 비선택성 제초제 살포 시 바람이 많은 날에는 바람에 날라 가서 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 비선택성 제초제가 상수취수원으로 흘러 들어갈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는 사용하지 마십시오.
2) 북주기(배토)를 이용한 잡초방제
① 시기
제초제 살포 시: 파종 후 30∼40일경 1회 실시
제초제 무살포 시: 파종 후 30일경부터 개화 10일 전까지 2∼3회
② 방법
콩이 자라는 초기 단계에 골 사이를 긁어줌(중경배토) 소형관리기, 승용관리기, 트랙터 부착 배토기 등을 이용
3) 비닐피복 재배
① 피복비닐의 준비
∙ 잡초방제를 위해 빛을 투과하지 않는 흑색비닐 사용을 권장함
∙ 비닐두께는 0.02㎜ 이상인 것이 좋음
※ 두께 0.01㎜ 이하의 비닐은 찢어지기 쉬움
∙ 이랑 폭 1.2m 2열 재배 시 10a당 5개 소요(100m)
※ 이랑의 폭 0.8m 1열 재배 시 10a당 15개 소요(100m)
∙ 트랙터 부착 피복용 비닐의 2열의 간격은 35㎝가 적당함
∙ 피복용 비닐의 콩 파종용 구멍 크기는 5㎝가 적당함
② 비닐피복시기
∙ 밑거름 살포 및 로타리작업 후 가급적 파종 직전에 피복
③ 비닐피복방법
㉮ 로타리 작업
※ 무동력비닐피복기 이용시 로타리와 골을 만들어줌
㉯ 피복용 비닐을 비닐피복기에 설치
㉰ 비닐피복기를 끌고 가면서 피복용 비닐을 펼침
㉱ 펼쳐진 비닐이 흙에 골고루 묻히도록 해줌
㉲ 피복된 비닐이 높은이랑에 밀착되도록 팽팽히 당겨줌
④ 비닐피복기
∙ 인력, 무동력, 기계이용(관리기 및 트랙터 부착 비닐피복)
인력피복기이용 피복작업 인력파종기이용 파종작업
휴립·피복 동시작업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비닐피복 시 주의사항
▶ 피복 후 토양수분이 적절할 때 파종하세요.
▶ 생육이 왕성해 쓰러질 수 있으므로 노지보다 약간 늦게(1주일) 심어주세요
▶ 파종간격을 노지재배보다 약간 넓히는 것이 좋습니다.
▶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는 습해발생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 콩 재배 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잡초
강아지풀 방동사니 바랭이
털별꽃아재비 깨풀 쇠비름
▶ 잡초 방제약제
※ 2014 작물보호제 농약 지침서 기준(한국작물보호협회)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콩과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16) - 수확 후 관리 (0) | 2015.06.10 |
---|---|
콩(15) - 기상재해 및 대책 (0) | 2015.06.10 |
콩(13) - 병해의 진단 및 방제 (0) | 2015.06.10 |
콩(12) - 병해충 방제 (0) | 2015.06.10 |
콩(11) - 생육환경 (0) | 201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