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루썩음병(Pythium rot)
(1) 병징
유묘기에는 잘록증상으로 엽육이 썩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처음에는 지제부가 수 침상으로 갈색을 띤다. 병징은 땅에 가까운 아래 잎부터 발생되어 속잎으로 진전 되며, 주로 엽육이 심하게 썩는다. 아래 잎은 회갈색으로 변색되면서 세균무름병 같이 보이기도 하나 감염 부위가 물컹하게 썩지 않으며 악취도 없다.
(2) 병원균 : Pythium ultimum Trow
(3) 발생생태
병원균은 토양 속에서 월동 후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이 심하지만 외부 병징은 고온 건조 시에 잘 나타난다. 병든 식물체내에서 난포자 상태로 월동한 병원균은 이듬해에 토양온도가 10℃ 이상이 되면 다시 발아하여 활동을 시작한다. 병원균은 물을 따라 전반되며, 관수 후 2∼3일 내에 식물체로 침입한다. 전염원은 주로 토양에 존재하나 관수로 전염될 수도 있으며, 뿌리에 상처가 있을 때 침입이 용이하다. 주로 토양 전염되며, 작물이 습해를 받게 되면 병 발생이 더욱 조장된다.
(4) 방제
건전 토양에서 육묘하고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 시설 또는 육묘상이 지나치게 저온이나 고온이 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2. 역병(Phytophthora root rot)
(1) 병징
발병주는 아래 잎이 시들고 연한 적갈색을 띠기도 한다. 진전되면 포기 전체가 심하게 시들고 결국 고사한다. 전 생육기에 발생하며, 생육 후기에 감염되면 뿌리 발달이 미약하고, 내부가 갈색으로 변하며 하엽에 수침상의 병반이 나타나기도 한다. 시들음 증상은 뿌리혹병이나 뿌리마름병과 유사하다.
(2) 병원균 : Phytophthora drechsleri Pethyb&Lafferty
(3) 발생생태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침수되면 발생하기 쉽다. 병원균은 종자전염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서 유입된다. 병든 식물체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월동 후 1차 전염원이 되는데, 토양 온도가 10℃ 이상 올라가면 활동하기 시작한다. 배추 역병균은 국내에 널리 퍼져 있지만 아직 배추에는 큰 피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4) 방제
재배토양이 과습하거나 침수되지 않도록 배수를 철저히 하고 병든 포기는 뿌리주변 흙과 함께 조기에 제거한다. 역병이 발생된 포장은 3년 이상 윤작하여 재배하고 작물의 정식 전에 재배토양을 소독 처리하여 약해의 잔류위험이 없을 때 정식하여 재배한다. 적용약제는 없으며 고추, 토마토 역병약제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약해 또는 잔류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3. 뿌리마름병(brittle root rot)
(1) 병징
뿌리의 지제부가 마른 상태로 잘록하게 썩어 들어가고, 잎은 푸른 상태로 시든다. 진전되면 병든 그루는 생육이 점점 부진하게 되고, 생육 후기에 결구가 불량하게 된다. 비바람 등에 의해 쉽게 넘어지게 된다.
(2) 병원균 : Aphanomyces raphani Kendr.
(3) 발생생태
크로미스타(Chromista)의 난균문에 속하는 균류로서 균사, 유주자, 난포자를 형성한다. 균사에는 격막이 없고 균사의 직경은 4∼10㎛이다. 유주자는 구형으로 유주 자낭 내에서 형성되며, 직경이 8∼12㎛이다.
(4) 방제
발병 포장은 비 기주 작물과 윤작하고 건전한 상토를 사용하거나 상토를 소독 후 육묘한다. 석회를 10a당 150∼180kg 시용하면 발병억제 효과가 있다. 한편 토양습도가 높지 않도록 배수를 철저히 하고 작물 정식 전에 등록 약제를 토양에 처리한다.
'원예특작과학원 자료 > 배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배추 병충해(3) - 점균병, 뿌리혹병, 노균병 (0) | 2015.02.07 |
---|---|
14. 배추 병충해(2) - 밑둥썩음병, 균핵병, (0) | 2015.02.07 |
12. 배추 영양생리장해(8) - 토양오염 (0) | 2015.02.06 |
11. 배추 영양생리장해(7) - 이산화질소, 아황산, 오존, 암모니아 피해 (0) | 2015.02.06 |
10. 배추 영양생리장해(6) - 방울배추(액아 발생) (0) | 201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