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특작과학원 자료/백합과작물

염교(2) - 품종 및 생리생태적 특성

내오랜꿈 2014. 9. 18. 19:12
728x90
반응형



1. 명 칭

 

제목

염교

학명

Allium chinense G. Don

영명

Rakkyo

중국명

, 蕎頭


염교(Allium chinense G. Don)의 속명은 마늘이나 양파에서와 같으며 종명은 중국 원산에서 연유한 것이다. 염교의 중국어로는 해 이고 부추와 흡사하며 톡 쏘는 맛(辛辣)이 있는 부추라는 뜻으로 날()로부터 나온 말이다. 영어의 Rakkyo는 일본 명칭을 그대로 쓴 것이다.


2. 원산지 및 내력

 

마늘생장점 배양을 통한 효율적인 우량종구 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유식물체를 기내 재배양시 유식물체 분화 및 생장에 미치는 배지의 물리성 및 생장조절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식물체 및 잎의 분화는 배지의 물리성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유식물체의 생장은 고체배지보다 액체배지에서 양호하였다. 또한 생장조절물질의 무첨가보다 kinetin 2 /L 단독처리 혹은 GA3 1 /L를 복합처리 시 유식물체 분화 및 생장에 더 효과적이였다.

 

3. 국내외 재배동향

 

국내에 염교가 도입된 것은 분명하지 않으나 제주도에서는 오래전부터 재배된 적이 있으며 1960년대 말 대일 수출을 위하여 전남북 지방에서 주로 재배되었으나 7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수출이 어려워져 재배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어 현재에는 거의 재배되지 않고 있어, 현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거 거의 전량이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4. 주요 품종 특성

 

중국에서는 품종이 많고 당초본(唐草本. 7세기)에는 붉은 것(赤 色), 흰 것의 두 종류가 기록되어 잇다. 흰 것은 재배종의 속하고 붉은 것은 야생종에 속한다. 대만에서도 변이가 있고, 일본인이 1938년 대만에서 도입한 것을 구슬염교라고 이름 붙쳐 구슬염교, 락타, 팔방 등은 일본의 대표적 품종이 되었다. 염교는 절임한 가공품으로 연중 소비되지만 수확은 67월에 집중되고, 영양번식 식물이므로 품종분화가 적다. 염교는 2년 계속해서 재배해서 수확하면 구의 크기는 작고 수량은 많아 가공용으로 알맞으나 구가 긴 모양이 되므로 구의 상반부를 끊게 되는데 이럴 경우는 껍질이 벗겨지는 결점이 있다. 또 난지에서는 비교적 수량이 많지만 서늘한 지역에서는 수량이 적다. 품종개량의 목표는 수량성과 수확 가공 시 껍질이 벗겨져서 분구부위가 노출되지 않는 품종을 육성하는 것이다.

 

5. 형태적 특성

 

염교는 4배체 또는 3배체의 다년생 초본(2n=16)으로 지하부에 610개 이상의 인경을 형성하며 여름동안 휴면한다. 잎의 인경의 위쪽에서 총생하고 가늘고 길이 3050인데 안쪽이 편평하며 뒤쪽은 둥글고 납물질로 덮여있어 특이한 냄새가 난다. 가을에 길이 4060의 화경이 추출되고 자색의 작은 꽃이 산형화서로 착생된다. 꽃자루는 길이 2.53, 꽃잎은 6개인데 종모양이고 수술이 6, 암술이 1개이다. 결실하지 않으므로 증식은 인경으로 분구한다. 분구양식은 가을과 봄, 두 번 진행된다. 인경은 겉껍질이 희고 긴 계란형으로 길이 24이다.

 

6. 생리생태적 특성

 

) 염교의 생활사


휴면각성기로부터 발아기까지를 살펴보면 7월 하순8월 하순에 휴면각성된 종구를 심으면 종구는 발근, 추대, 맹아의 순으로 생육이 진행된다. 발아까지의 기간은 720일인데 이것은 토양수분이나 지온에 따라 좌우된다. 토양수분은 1520mm의 강우가 필요하고 비가 오면 지온을 낮추게 되어 발아에 도움된다. 발아 후 개화기는 10월 중순11월이고 종구의 소질에 따라 개화된 개체의 활력이 다르다. 지상부에서는 분구아가 전엽되고 지하부에서는 근군이 왕성하게 형성된다. 발아 후 종구내의 분구아는 모두 전엽하기 시작하고 전엽된 마디에 새로운 액아(분구아)가 형성된다. 이것은 다음해 봄에 전엽되고 비대하는 것으로 수량에 크게 영향을 주는 분구아이다. 지하부에서는 뿌리가 땅속깊이 신장하는데 깊이 40cm, 넓이의 직경 5060cm로 확대되어 근군 형성이 왕성하다. 이 시기는 근군형성기로서 잎무게에 비해 뿌리무게는 2배 가량이 된다.


개화로부터 다음해 봄의 전엽개시기까지는 월동기이므로 발육이 중지상태이지만 월동전까지 잎은 78배 정도로 전엽하는데 이때 경엽이 굵은 것일수록 큰 구가 생산된다. 전엽으로부터 구비대 개시기까지는 가을에 분화된 분구아가 봄의 해동기를 지나는 사이에 전엽되고 5월 상순경의 비대기까지 왕성하게 전엽된다. 잎의 전개가 순조로운 염교밭은 땅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잎이 덮히게 되고 동화양분이 지하부로 전류되어 구비대가 순조로와진다.


구비대로부터 휴면기까지의 사이에는 13시간 정도의 일장과 12°C 이상의 기온조건에서는 잎에서 만들어진 광합성 산물의 전류로 구가 비대된다. 동시에 비대되는 구 하나하나에 새로운 분구아가 형성된다. 이때 장일일수록 또한 영양분이 충분히 축적되어 있을수록 구형성은 왕성해진다. 그리고 6월경에는 꽃눈도 분화한다. 구 비대개시는 휴면 도입이므로 구비대 후기는 휴면기이다. 휴면기간은 구비대가 끝난 후 약 1개월 정도이다.

 

) 잎의 생육


염교의 생육적온은 2023°C 정도이며 이 온도범위에서 1일 신장량은 2025mm이고 시기는 10월과 5월로서 연중 두 번이다. 30°C 이상에서는 잎표면에 납물질이 분비하여 생육이 정체된다. 난지형 마늘 재배지대에서는 월동 중 한해의 피해가 별 문제 없으나 내륙지방에서는 한해를 입게 된다. 재식 후 10월경까지는 잎수의 증가가 현저하나 그 후 난동인 해를 제외하고는 월동 중 잎수의 증가는 없는 편이며 봄이 되어 46월에 걸쳐 잎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7월에는 잎이 마르고 잎수는 급속히 준다. 엽중은 잎수의 증가와 같은 경향이나 재식 후 10월까지의 엽중량은 적다.


) 뿌리의 발육


염교의 뿌리는 종구의 근반(根盤)으로부터 발근하며 발근수는 근반이 큰 종구일수록 많다. 생육함에 따라 근수가 증가하지만 10월 상순중순경에 발근수 증가가 가장 많고 4월 상순 이후에 다시 많아진다. 한 포기의 뿌리수가 많은 것은 100본 가까이 되지만 적은 것은 30본 전후로 차이가 많다. 그런데 잎수에서와 같이 수확구 1구당 근수로 환산하면 1114본 정도로 차이가 없다. 근중도 근수와 대체로 동일한 상태로 증가하지만 4월 이후는 별로 증가하지 않는 것이 근수의 증가와는 다르다. 2차적으로 발근하는 봄의 뿌리는 굵고 희며 싱싱한 신장상태를 보이지만 별로 분지하지 않으므로 무게는 증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향은 마늘과 양파에서도 같은 상태이다.

 

) 분구양식


염교의 분구는 외관적으로는 재식 후의 가을과 비대기전의 봄의 2회에 걸쳐 분구된다. 이러한 분구는 분구전에 분구아(分球芽)가 분화되어 발육해서 일어나는 것이다. 5월에 분화된 분구아는 가을에,910월에 분화한 분구아는 다음해 5월에 분구한다. 지하부의 인편기부에 분구아가 분화하는 것이지만 모든 엽액에서 착생되는 것은 아니다.


가을에 분구하는 분구아는 이미 종구속에 분구아가 있어 이것을 모구라고도 한다. 모구는 수확전의 5월에 분구아가 분화된 것이다. 따라서 5월에 영양이 풍부하고 비대가 좋은 큰 구에서는 분구아를 많이 내장하고 있다.


분구아가 맹아되고 발육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엽액에 분구아가 분화된다. 품종 계통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1절위(제일엽의 엽액)에 분화하는 경우나 3절위(3엽의 엽액)에서 분화하는 경우 등 일정하지 않다.


염교는 봄에 기온의 상승과 장일조건에서 비대 개시하는데 구의 비대엽(인편엽)은 일반적으로 56매이다. 염모의 모구는 발아로부터 수확기까지 약 1213매 정도 출엽하므로 12매로부터 56매를 뺀 나머지의 67 절위가 유효구분절위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염교의 분구아의 분화는 5월과 910월의 2회로 나누어지지만 장일조건에서는 많고 단일조건에서는 억제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5월에 분구아가 분화되는 것이 가장 능률적이다. 따라서 염교생산에는 먼저 종묘용 염교를 충실하게 양성하고 이것을 일찍 심어 초기생육을 왕성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비대


염교의 비대는 양파나 마늘과 같이 일장과 온도조건이 관계하고 56월에 엽초가 급속히 비후하며 잎의 생장이 정지되면서 구가 비대 충실해진다.


대체로 일장 13시간 이상, 기온 12°C 이상에서 비대되지만 염교 체내의 질소와 수분이 많으면 비대가 늦어진다.

 

) 꽃의 분화


염교의 꽃(花房)의 분화기는 5월 하순6월 상순이지만 개화는 10월 중순 이후이다.

 

) 휴면


염교의 휴면도 마늘이나 양파와 같이 구가 형성됨에 따라 휴면한다. 휴면정도는 마늘보다는 얕고 품종이나 재배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7. 식품가치 및 이용

 

염교의 가식부 100g 당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1>와 같다. 염교는 절임에 이용하고 있으며 당질과 무기질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은 낮은 편이다.


염교는 대부분 인경을 초지(酢漬: 식초에 담근식품)로 이용되며 중국에서는 초지(酢漬), 당초지(糖酢漬), 밀지(密漬)로 해서 사용했으며 열대 지방에서는 카레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절임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1> 염교의 영양성분표(가식부 100g)

영 양 분

함 량

영 양 분

함 량

생 것

익힌 것

생 것

익힌 것

에너지 Kcal

52

125

mg

0.2

1.2

kJ

218

523

나트륨 "

1

940

수 분 g

86.2

64.9

칼 륨 "

100

41

단백질 "

0.6

0.8

레티놀 µg

0

0

지 질 "

0.1

0.2

카로틴 "

0

0

당 질 "

12.6

31.0

비타민A1효력 IU

0

0

섬유질 "

0.3

0.6

비타민B1 mg

0.03

0.01

회 분 "

0.2

2.5

비타민B2 "

0.02

0.01

칼 슘 mg

6

16

나이아신 "

0.9

0.2

15

23

비타민C "

10

미량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