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아가는 모습/농사

오이, 직파가 정답이 아닐까?

by 내오랜꿈 2017. 4. 29.
728x90
반응형


오이나 수박, 호박 같은 박과 작물은 가지과 작물보다 확실히 생육적온이 높은 편이다. 고추, 토마토와 같은 시기에 모종을 옮겨 심어도 일평균기온이 20℃를 넘어가야 제대로 자란다. 중부내륙지방은 5월에 들어서야 고추나 오이 모종을 심지만 남부지방은 대부분 4월 중순이면 심는다. 그러나 남부지방도 4월의 최저기온은 10℃ 언저리에서 맴도는 경우가 많다. 10℃는 박과작물이 자라기에는 턱없이 낮은 온도다. 몇 년 동안 오이 모종을 키워 옮겨 심으면서 박과 작물의 이런 생육 특성을 생각할 때 굳이 고추와 같은 시기에 심어야 할 이유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건 당연지사. 올해는 작정하고 모종을 키워 심는 것과 직파하는 것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기로 했다.



▲ 4월 초에 파종한 직파 오이. 발아하는데 보름 이상 걸렸고, 발아한 지 일주일 된 모습.

▲ 2월 말에 포트 파종한 뒤 50일 정도 키워 4월 10일경 옮겨 심은 오이 모습. 이 정도 차이라면 오이는 애써 모종을 키울 이유가 없지 않을까?


위 사진 두 장은 4월 초에 직파한 오이 모습이고 마지막 사진은 2월 말에 실내에서 포트 파종하여 50일 정도 키운 뒤 4월 10일경 노지에 옮겨 심은 오이다. 수확할 때까지 지켜봐야 정확한 비교가 되겠지만 파종 40일 차이가 이 정도라면 2월 달부터 모종 키운다고 야단법석을 피울 이유는 없을 것 같다. 느낌상으로 지금 자라는 모습을 놓고 비교했을 때는 20일 정도 차이 날까 말까 하다. 해마다 오이를 직파해서 키우기도 했지만 모두 여름 파종이었다. 봄에 모종을 키워 심은 오이가 한여름을 지나면 생명을 다하는 게 보통이라 6월 말이나 7월 초 정도에 오이를 직파하면 늦여름부터 가을까지 계속 오이를 수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1월 말 포트 파종하여 3월 초에 옮겨 심은 양배추. 결구가 진행중이다.

▲ 1월 말에 포트 파종, 3월 초 옮겨 심은 브로콜리.  


4월의 마지막 주말, 낮기온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25℃ 위로 올라간다. 텃밭에서 한두 시간 움직이니 온몸이 땀범벅이다. 마늘, 양파밭 풀 정리하다 보니 브로콜리 꽃봉오리가 제법 크게 자라 있다. 그 옆에선 양배추도 결구가 진행되고 있다. 3월 초에 모종을 옮겨 심으면서 냉해 입을까 걱정할 때가 엊그제 같은데 20여 일 지나면 수확해도 좋을 만큼 자랄 것 같다. 이곳에서는 양배추, 브로콜리의 2월 초 파종, 3월 초 옮겨 심기가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 




무심히 지나치는 시간 속에 비파 열매도 어느새 엄지 손톱 크기로 자라 있다. 어쩌면 내버려둬도 알아서 잘 자라는 자연의 시간 속에 괜히 인간의 시간이 개입되어 늦고 빠름을 계산하고 있는 것 아닐까. 오이만 해도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열흘 일찍 수확하고자 한 달 일찍 씨앗을 넣는 행위를 하고 있는 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이건 분명 자본주의 세상이 굴러가는 기본적인 잣대가 되는 효율성이라는 기준에도 어울리지 않는데 말이다. 농사란 게 효율성으로만 따지는 게 아니라고 한다면야 할말 없지만...

728x90
반응형